KR200448627Y1 - 치약압출장치 - Google Patents

치약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627Y1
KR200448627Y1 KR2020090009767U KR20090009767U KR200448627Y1 KR 200448627 Y1 KR200448627 Y1 KR 200448627Y1 KR 2020090009767 U KR2020090009767 U KR 2020090009767U KR 20090009767 U KR20090009767 U KR 20090009767U KR 200448627 Y1 KR200448627 Y1 KR 200448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ase
pressing
tubula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수
Original Assignee
황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수 filed Critical 황희수
Priority to KR2020090009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56Holders for collapsibl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는, 튜브와 배출부 및 상기 튜브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튜브형 치약의 압출장치로서, 상기 치약의 상기 배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치약 고정부가 구비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소정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치약의 상기 튜브가 위치되는 제2안착부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된 치약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튜브형 치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수단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약압출, 제1케이스, 제2케이스, 압출수단

Description

치약압출장치{Apparatus for extruding tooth paste}
본 고안은 튜브형 치약의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알뜰하게 치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단가를 낮추어 보다 많은 사람이 기술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도록 한 치약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튜브형 치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치약의 뚜껑을 열고 치약의 배출구에 칫솔을 댄다. 그리고 손으로 치약 튜브에 압력을 가하면 튜브 내부에 저장된 치약이 압출되어 나와 칫솔에 묻게 된다.
이러한 튜브형 치약에서 치약 튜브 내부에 치약이 많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치약의 인출이 용이하지만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여 치약 튜브 내부에 저장된 치약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치약의 인출이 불편하다. 따라서 치약을 알뜰하게 인출하여 사용하려면 치약의 후미(後尾)에서부터 치약 튜브를 밀착하여 배출구 쪽으로 치약을 몰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치약 튜브 내부의 치약을 완전하게 짜내기 위해 치약 튜브를 말거나 하는 등의 행위를 하여야 한다.
또한 아울러 치약은 욕실 세면대 위에 일반적으로 보관하게 되는데 욕실 세면대 위에 보관된 치약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세면대 위에서 돌아다니게 되어 욕실 세면대를 지저분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튜브형 치약에서 보다 편리하고 알뜰하게 치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치약압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반면 종래의 치약 디스펜서등에 비해 기능상 더욱 우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치약을 욕실 세면대 등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할 있어 세면대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치약압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는,
튜브와 배출부 및 상기 튜브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튜브형 치약의 압출장치로서,
상기 치약의 상기 배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치약 고정부가 구비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소정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치약의 상기 튜브가 위치되는 제2안착부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된 치약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튜브형 치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수단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형성하는 단차의 높이는 상기 튜브형 치약의 연결부의 직경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치약 고정부는 2중 라인 탄성클립으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형 치약의 연결부를 2중라인 사이에 끼우면서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드 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드축에 끼워지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용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롤러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단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케이스가 회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스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잠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잠금수단은, 제1케이스 하단의 제2안착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이 있는 고리부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는 파지부가 포함된 잠금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각각 끼워지는 고리홈과 파지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접착테이프 또는 진공흡착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의하면 튜브형 치약을 사용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튜브형 치약을 편리하고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고, 시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튜브형 치약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을 욕실 세면대 등에 손쉽게 부착된 상태로 사용할 있고 세면대의 미관을 수려하게 요지할 수 있는 치약압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는 벽면에 부착되며 튜브형 치약(10)이 고정되어 안착되는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에 결합되며 제1케이스(100)에 고정된 튜브형 치약(10)을 감싸는 제2케이스(2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에 고정된 튜브형 치약(1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30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튜브형 치약(10)의 모양과 대응하도록 대략 일측 방향이 긴 사각 평면 형태를 가지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케이스(100)의 후면에는 제1케이스(100)를 욕실 등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수단(110)이 구비된다.
상기 부착수단(110)은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벽면 접착테이프로 형성되거나 욕실 등의 벽면에 진공으로 흡착되는 진공흡착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0)는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가 위치되는 제1안착부(101)와,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102)를 가진다.
상기 제1안착부(101)는 상기 제2안착부(102)는 소정의 단차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튜브형 치약(10)은 후미(後尾)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탄성을 가지는 튜브(11)와, 상기 튜브(11)의 단부에 형성되며 튜브(11)를 눌렀을 때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부(13)와, 상기 튜브와 배출부(13)를 연결하며 튜브(11)에 비해 다소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12)를 가진다. 그리고 튜브형 치약(10)은 튜브(11)의 후미에서 배출부(13) 측으로 갈수로 그 두께가 두꺼워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100)는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가 위치하 는 제1안착부(101)와,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102)가 서로 단차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튜브형 치약(10)이 안정적으로 제1케이스(10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안착부(101)와 제2안착부(102)가 형성하는 단차의 높이(L)는 튜브형 치약(10)의 연결부(12)의 직경의 1/2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치약을 사용할수록 연결부(12)가 제1안착부(101)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후술할 가압수단에 의해 치약이 짜질 경우 연결부(12)가 이동할 공간을 확보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짜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100)의 제1안착부(101)에는 튜브형 치약(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치약 고정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치약 고정부(120)는 튜브형 치약(10)의 연결부(12)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약 고정부(120)는 2중 라인으로 구성되어 튜브형 치약(10)의 연결부(12)가 2중라인 사이에 끼이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고정하는 클립으로 형성된 것을 보였으나 치약 고정부(120)는 연결부(1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200)는 튜브형 치약(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케이스(200)는 제1케이스(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케이스(10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상단을 힌지축(210)으로 연결하여, 제2케이스(200)가 회동하면서 제1케이스(1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때,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개폐상태를 정하기 하기 위해 개폐잠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데, 개폐잠금수단은 제1케이스(100)에 파지부(121)와 고리부(122)를 포함한 잠금부재(120)를 형성하고, 제2케이스(200)에 고리부(122)가 고정되는 고리홈(133)과 파지부(121)가 돌출될 수 있는 파지홈(131)을 만들어, 파지부(121)를 눌러 전방으로 제2케이스(200)를 회동시킴으로써 개방할 수 있고, 제2케이스(200)를 아래로 회동시켜 고리부(122)가 고리홈(133)에 끼움으로서 제2케이스(200)를 제1케이스(100)에 폐쇄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케이스(200)에는 제2케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안내홈(220, 2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케이스(200)의 양측면에는 후술할 가압수단의 슬라이드부(320)가 안내되는 제1안내홈(220)이 형성되고, 제2케이스(200)의 전면에는 후술할 가압수단의 손잡이부가 안내되는 제2안내홈(230)이 형성된다.
한편 제2케이스(200)에는 상기 제1케이스(100)에 고정된 튜브형 치약(1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수단(300)은 제2케이스(200)에 형성된 안내홈(220,230)에 안내되어 제1케이스(100)에 고정된 튜브형 치약(10)을 가압하여 튜브(11) 내부에 저장된 치약이 압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가압수단(30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압수단(300)은 상기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를 누르는 가압부(310)와, 상기 가압부(31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케이스(220)에 형성된 제1 안내홈(2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320)와, 상기 가압부(310)의 중앙부에서 연장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330)를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부(330)는 상기 가압부(31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손잡이부(330)를 잡은 상태로 가압부(310)를 슬라이딩 시킬 때 상기 가압부(310)가 제1케이스(100)에 고정된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를 가압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제1안내홈은 슬라이드부가 제1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홈일 수도 있고, 제1케이스의 내면에 음각된 홈일 수 있으며 어느 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가압부(310)에는 상기 튜브형 치약(10)에서 치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11)의 폭은 상기 튜브형 치약(10)에서 튜브(11)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부(13)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311)의 폭을 상기 튜브형 치약(10)에서 튜브(11)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부(13)의 폭보다 작게 하는 이유는 상기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에 저장된 치약이 대부분 배출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311)가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튜브형 치약(10)에 저장된 치약을 끝까지 짜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케이스(100)에 튜브형 치약(10)을 장착한 후 제2케이스(200)를 제1케이스(100)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가압수단(300)의 가압부(310)는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의 반대측 단부, 즉 튜브형 치약(10)의 후미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튜브형 치약(10) 내부에 저장된 치약을 압출하기 위해 가압수단(300)의 손잡이부(330)를 아래로 당기면 가압수단(300)의 가압부(310)는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를 가압하면서 아래로 내려오므로 튜브형 치약(10) 내부에 저장된 치약이 압출된다.
도 3은 튜브형 치약(10) 내부에 저장된 치약이 거의 소모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가 위치하게 되는 제1안착부(101)와,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102)가 서로 단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압수단(300)의 가압부(310)가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를 누르면서 이동할 때 정확히 튜브(11)의 중앙부가 서로 밀착되어 치약이 압출되게 된다.
또한 가압부(310)의 전단에는 돌출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1)는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 중앙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튜브형 치약(10)에 저장된 치약을 남김없이 압출할 수 있어 튜브형 치약(10)을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치약압출장치에 사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가압수단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400)이 상술한 가압수단과 다른 점은 가압부(410)가 롤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가압부(410)는 롤러(430)와, 롤러(4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430)를 수용하는 롤러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드부로서 롤러(4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축(4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슬라이드축(431)은 롤러 수용부(420)에 형성된 슬라이드축 수용홈(421)에 끼워지는 동시에 제2케이스(2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안내홈(220)에 안내 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에 롤러가 구비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가압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튜브를 짜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롤러 수용부(420)의 전방에는 상기 튜브형 치약(10)에서 치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22)가 구비된다. 따라서 가압수단(400)이 튜브형 치약(10)을 가압하면서 이동할 때 튜브형 치약(10)에 저장된 치약을 남김없이 압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수용부(420)의 하단과 롤러(430)의 하단 사이의 거리(h)는 2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롤러 수용부(420)의 하단과 롤러(430)의 하단 사이의 거리(h)가 너무 크게 되면 롤러(430)가 튜브형 치약(10)의 튜브(11) 중앙을 누르며 이동할 때 가압수단(400)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22)가 튜브형 치약(10)의 배출부(13) 중앙을 향해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의하면 튜브용 치약을 장착하면 그 단부로부터 치약을 압출하게 되며, 튜브용 치약 내부에 저장된 치약을 끝까지 압출할 수 있어 편리하고 알뜰하게 치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약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세면대 등의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튜브형 치약이 고정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압출장치에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치약압출장치에 사용되는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튜브용 치약 100: 제1케이스
120: 고정부 200: 제2케이스
220: 제1안내홈 230: 제2안내홈
300: 가압수단 310: 가압부
320: 슬라이드부 330: 손잡이부

Claims (8)

  1. 튜브와 배출부 및 상기 튜브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튜브형 치약의 압출장치로서,
    상기 치약의 상기 배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를 고정하는 치약 고정부가 구비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소정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치약의 상기 튜브가 위치되는 제2안착부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된 치약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튜브형 치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출부의 폭보다 작은폭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압수단을 이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치약압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형성하는 단차의 높이는 상기 튜브형 치약의 연결부의 직경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고정부는 2중 라인 탄성클립으로 구성되어 상기 튜브형 치약의 연결부를 2중라인 사이에 끼우면서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드 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드축에 끼워지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용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롤러수용부를 포함하는 치약압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단에서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케이스가 회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스를 개폐하는 치약압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잠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잠금수단은, 제1케이스 하단의 제2안착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 는 탄성이 있는 고리부와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는 파지부가 포함된 잠금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에 형성되는 상기 고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각각 끼워지는 고리홈과 파지홈으로 이루어지는 치약압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를 벽면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접착테이프 또는 진공흡착기로 구성되는 치약압출장치.
KR2020090009767U 2009-07-24 2009-07-24 치약압출장치 KR200448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67U KR200448627Y1 (ko) 2009-07-24 2009-07-24 치약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67U KR200448627Y1 (ko) 2009-07-24 2009-07-24 치약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627Y1 true KR200448627Y1 (ko) 2010-05-03

Family

ID=4423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767U KR200448627Y1 (ko) 2009-07-24 2009-07-24 치약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6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9720A (zh) * 2015-07-28 2015-09-30 秦朝东 一种简便牙缸
WO2017122870A1 (ko) * 2016-01-12 2017-07-20 (주)도너랜드 점토 압출장치
KR101981751B1 (ko) * 2017-12-21 2019-05-23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용 튜브 압출기
KR20190097462A (ko) * 2018-02-12 2019-08-2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909Y1 (ko) * 1989-02-25 1991-11-15 김재오 치약 압출 장치
KR20010009703A (ko) * 1999-07-13 2001-02-05 오용일 치약 가압장치
KR20070000361U (ko) * 2007-03-05 2007-03-23 김영운 칫솔 수납대를 구비한 치약 압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909Y1 (ko) * 1989-02-25 1991-11-15 김재오 치약 압출 장치
KR20010009703A (ko) * 1999-07-13 2001-02-05 오용일 치약 가압장치
KR20070000361U (ko) * 2007-03-05 2007-03-23 김영운 칫솔 수납대를 구비한 치약 압출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9720A (zh) * 2015-07-28 2015-09-30 秦朝东 一种简便牙缸
WO2017122870A1 (ko) * 2016-01-12 2017-07-20 (주)도너랜드 점토 압출장치
KR101981751B1 (ko) * 2017-12-21 2019-05-23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용 튜브 압출기
KR20190097462A (ko) * 2018-02-12 2019-08-2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KR102035299B1 (ko) 2018-02-12 2019-10-2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형 치약 내장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6913B2 (en) Cleaning device with releasable, disposable head
KR200448627Y1 (ko) 치약압출장치
WO2018188359A1 (zh) 涂抹装置的头部结构
US20030150472A1 (en) Toothpaste dispensing toothbrush device
US20100236567A1 (en) Cosmetic Substance Dispenser
WO2022171046A1 (zh) 一种便捷挤水棉头拖把
JP2004065467A (ja) 高粘度流動性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用具
CN201101242Y (zh) 具有挤牙膏功能的牙刷
US20030185620A1 (en) Paste-contained toothbrush
US5931590A (en) Sun bathing sponge applicator
CN211154288U (zh) 一体式牙刷牙膏
CN2922585Y (zh) 方便牙刷
CN203618980U (zh) 一种指甲油容器
KR100959387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CN213405844U (zh) 一种带可挤牙膏功能的牙杯架
CN215076165U (zh) 一种便携式牙具
CN210988771U (zh) 一种便捷牙膏牙刷
CN219438456U (zh) 一种带有挤牙膏机构的便携牙刷
WO2008004832A1 (en) Toothbrush with a built-in toothpaste
KR200202816Y1 (ko) 화장용 브러쉬
CN218752363U (zh) 一种便于打开关闭的牙膏管
CN2164720Y (zh) 一种便捷牙刷
KR101951667B1 (ko) 치약용기가 수용가능한 칫솔
CN211722201U (zh) 组合式牙刷
CN201006791Y (zh) 挤牙膏装置及设有该装置的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