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387B1 - 치약 자동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치약 자동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387B1
KR100959387B1 KR1020080004959A KR20080004959A KR100959387B1 KR 100959387 B1 KR100959387 B1 KR 100959387B1 KR 1020080004959 A KR1020080004959 A KR 1020080004959A KR 20080004959 A KR20080004959 A KR 20080004959A KR 100959387 B1 KR100959387 B1 KR 10095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discharge
compression expansion
automatic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038A (ko
Inventor
이강문
Original Assignee
이강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문 filed Critical 이강문
Priority to KR102008000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38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A47K5/1215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applied by a peristaltic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supplied from a pressurized or compressible container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치약을 담고있는 치약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치약을 토출시키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압축팽창부, 치약공급부, 토출버튼, 압력전달수단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압축팽창부는 일정량의 치약을 수용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치약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압축시에는 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치약공급부는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팽창부로 치약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치약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치약유입구에는 치약이 상기 압축팽창부 방향으로만 유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밸브를 구비한다. 토출버튼은 사용자가 치약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누르는 것으로서 하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토출버튼으로부터 직선방향의 힘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치약토출부의 눌림부에 전달한다. 지지부는 상기 치약토출부와 상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이 고정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경우라도 칫솔이 직접적으로 닿거나 치약 잔유물이 잔존할 염려가 없어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 치약 잔유물을 체크할 수 있고 치약의 마지막 양까지 손쉽게 토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하여 치약을 절 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치약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다.
치약 토출장치, 토출기, 원터치, 위생

Description

치약 자동 디스펜서{Toothpaste automatic dispenser}
본 발명은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치약 고정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공급하면서도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치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치약튜브의 뚜껑을 열고나서 치약튜브를 손으로 눌러서 적당량의 치약을 받아서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치약튜브의 끝단부터 눌러서 짜는 것보다는 대부분 몸체부분을 꽉 쥐어서 치약을 짜게 되어 다음번 사용할 때는 용이하게 짤 수가 없어서 매우 불편하고, 토출되는 치약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치약이 과다하게 소모된다. 한편, 치약튜브의 구조상 치약튜브내의 치약이 약간 남아있는 경우 모두 소진될 때까지는 짜기가 힘들어 치약튜브 내에 치약이 남아 있음에도 치약튜브를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세면대 주변에 방치된 치약튜브로 인하여 주변미관이 혼잡하고 지저분한 인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20-1993-0010337호 "치약토출기"와 같이 대부분 칫솔로 특정 부분을 누르게 되면 일정량의 치약을 칫솔위에 토출하는 구조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약 자동 디스펜서들은 특히 많은 수의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는 공중목욕탕 등에서 수많은 칫솔들이 버튼부분에 접촉하게 되어 비위생적이며, 마찬가지로 칫솔이 치약토출을 위한 버튼 부분을 누르기 위해 수용되는 부분에 치약 잔류물 또는 찌꺼기들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 또한 비위생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치약토출구 위부분으로 모든 구성을 구현함으로써 위생적인 치약 토출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칫솔로 버튼을 누르지 않고 반대편 손을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치약을 토출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동시에 치약의 잔유물을 항상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치약을 담고있는 치약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치약을 토출시키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압축팽창부, 치약공급부, 토출버튼, 압력전달수단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압축팽창부는 일정량의 치약을 수용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치약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압축시에는 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치약공급부는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팽창부로 치약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치약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치약유입구에는 치약이 상기 압축팽창부 방향으로만 유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밸브를 구비한다.
토출버튼은 사용자가 치약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누르는 것으로서 하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토출버튼으로부터 직선방향의 힘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치약토출부의 눌림부에 전달한다.
지지부는 상기 치약토출부와 상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이 고정된다.
한편 치약을 담고있는 치약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치약을 토출시키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압축팽창부, 치약공급부, 토출레버, 압력전달수단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압축팽창부는 일정량의 치약을 수용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치약이 유입 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압축시에는 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치약공급부는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팽창부로 치약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치약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치약유입구에는 치약이 상기 압축팽창부 방향으로만 유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밸브를 구비한다.
토출레버은 사용자가 치약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당기는 것으로서 하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압력전달수단은 상기 토출레버의 회전력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치약토출부의 압축팽창부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토출레버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압축팽창부를 상방향으로 압박하여 상향 압축시킨다.
지지부는 상기 치약토출부와 상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이 고정된다.
상기 두가지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눌림부는 상기 압축팽창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전달수단으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압축팽창부에 전달하며, 상기 압축팽창부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여줄 수 있도록 경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치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입구를 조이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하부하우징과 하우징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은 상기 지지부가 고정되며, 하우징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을 외벽에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상기 치약공급부재는 전용치약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용치약통은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타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치약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본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덮개 및 상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치약공급부재의 치약 배출구가 관통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은 상기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치약공급부재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사용하기 위한 전용치약은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타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치약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얇은 막 형태로 막고 있는 마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치약 자동 디스펜서 전용 치약의 외주면에는 치약잔유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경우라도 칫솔이 직접적으로 닿거나 치약 잔유물이 잔존할 염려가 없어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 치약 잔유물을 체크할 수 있고 치약의 마지막 양까지 손쉽게 토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하여 치약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치약을 토출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는 압축팽창부, 치약공급부, 토출버튼, 압력전달수단 및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치약토출부가 중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이외에 덮개와 상부 및 하부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치약토출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치약토출부(10)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압축팽창부(15)는 일정량의 치약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일측에는 치약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이 되어 있으며, 개방되 부분의 반대측에는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전체적인 형상은 배출구(16)에 가까워질 수록 단계적으로 반경이 축소된다. 또한 압축팽창부(15)는 압축과 팽창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배출구(16) 주위에는 배출구(16)의 치약 단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9)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자석은 평상시에는 인력으로 인하여 양쪽이 붙어 치약을 내보내지 않다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팽창부(15)가 압박되어 치약을 아래쪽으로 밀어내어 일정 이상의 힘으로 벌려지는 경우에는 양쪽으로 벌어져 치약을 내보낼수 있게 된다.
치약공급부(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약튜브 등 치약공급부재로부터 치약을 유입하여 압축팽창부(1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치약공급부(100)는 치약공급부재가 고정되는 중공원통형 형상의 치약고정부(12)와 치약공급부재가 고정되는 타측 단에 형성되는 치약유입구(11) 그리고 치약유입구(1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구비되어 압축팽창부 방향으로만 치약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13)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는 치약의 방향에 따라 치약유입구(11)를 열었다 닫았다를 반복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눌림부(17)는 후술할 압력전달수단(25)의 가압부(253)가 압축팽창부(15)를 압박하는 경우에 탄성재질의 압축팽창부(15)가 지속적인 마찰로 인하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압력을 압축팽창부(15)에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금속 등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고정수단(18)은 압축팽창부(15)와 치약공급부(1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압축팽창부(15)의 최대반경 부분을 물고 치약공급부(100)에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치약토출부(10)를 제외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나머지 하부 구성들을 설명한다.
토출버튼(24)은 사용자가 치약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누르는 구성요소이다. 토출버튼(24)은 누름판(240) 부분과 누름판(240) 부분의 양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리(241) 그리고 다리(241) 끝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242)로 이루어 진다. 고정용 돌기(242)는 후술할 압력전달수단(25)의 돌기수용부(252)와 결합하게된다.
압력전달수단(25)은 토출버튼(24)으로부터 직선방향의 힘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치약토출부(10)의 눌림부(17)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압력전달수단(25)은 몸체(251)와 몸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회전축(254)과 일측단에 형성된 돌기수용부(252) 그리고 돌기수용부(252) 타측단에 형성된 가압부(253)로 형성된다. 돌기수용부(252)는 토출버튼(24)의 고정용 돌기(242)와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관절부위로써 토출버튼(24)의 직선방향 힘을 직접 받게 된다. 한편 돌기수용부(252), 회전축(254) 및 가압부(253)로 이루어진 압 력전달수단(25)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이 때 힘의 전달방향 상으로 보아 돌기수용부(252), 회전축(254) 및 가압부(253)가 이루는 각은 직각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칫솔이 치약토출을 위한 버튼이 치약토출구 아래에 구비된 종래의 방식 보다 위생적인 구성을 위하여는 이때 토출버튼(24)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압력전달수단(25)의 회전축보다 상위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축(254)은 필연적으로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눌림부(17) 및 가압부(253)의 우측(실제 사용시에는 눌림부(17)의 뒤편)에 형성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토출버튼(24)을 치약토출구(16) 보다 위에 형성하게 됨으로써 치약토출구 아래에 칫솔에 의하여 버튼 등을 누르게 되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치약잔유물 등이 남지 않게 되는 것이다.
지지부(22)는 치약토출부(10)와 압력전달수단(25)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지지부(22)에는 고정수단(18)이 결합되는 치약토출부 고정홈(221)과 회전축(25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 수용부(222)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덮개와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하우징(21)은 기술적으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외벽등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중공원통형의 구성요소로서, 하부에는 칫솔을 치약 토출구(16) 아래로 안내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일정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고정수단(26)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고정수단(260)으로는 공지의 사실과 같이 여러 가지 방식의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21)에는 지지부(22)가 나사체결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덮개(23)는 하부 하우징(21)의 상부에 결합된다. 덮개(23)는 축방향으로 치약공급부재등이 관통할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상부 하우징(30; [도 3]참조)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단의 외경을 다른 부분보다 확대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상부 하우징(30)과 치약공급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치약통 등 치약공급부재가 덮개(23)를 통하여 치약고정부(12)에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치약공급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용치약통(40)이 사용될 수 있다. 전용치약통(40)은 하단에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출구의 반대측 면이 개방된다. 이 때 피스톤(41)은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피스톤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전용 치약통(40)은 선택에 따라 종방향으로 내부의 치약 잔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치약 등 치약공급부재에 있어서 그 마개의 단가는 제품 전체에 비하여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본 실시예에 의한 전용치약통(40)은 대부분 치약 자동 디스펜서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견고한 마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단가를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줄이는 목적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전용치약통(40)의 공급시에는 은박지 등 얇은 막 형태의 간단한 마개를 형성하여 내용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은 치약공급부재나 전용치약통(40)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종방향으로 반으로 나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덮개의 상단과 결합하기 위하여 내경을 이에 대응하여 확장시켰으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는 결합시에 각 상부 하우징이 서로 걸려서 분리되지 않도록 걸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30) 또한 필요에 따라 내부의 치약 잔유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를 또는 일부분을 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구성요소를 모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토출버튼(24)과는 달리 동일한 효과를 위하여 토출 레버를 형성한 경우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실시예 1과는 달리 회전축(254)을 포함하는 압력전달수단(251a)이 도면을 기준으로 눌림부(17)의 좌측(실제 제품 사용시에는 눌림부(17)보다 앞쪽)에 구비된다.
압력전달수단(251a)의 끝단에 형성된 토출레버(240a)를 사용자가 잡아당김으로써 지레대의 원리로서 눌림부(17)가 압박되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평상시 본 실시예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치약통(40) 내부의 치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치약공급부(100; [도 1]참조)를 지나 압축팽창부(15)의 내부에 까지 공급이 된다.
[도 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토출버튼(24)를 눌렀을 경우의 내부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가 토출버튼(24)을 누르는 경우 압력전달 수단(25)이 이 힘을 회전축(254)을 중심으로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서 가압부(253)가 눌림부(17)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 후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압축팽창부(15)가 압축됨으로써 압축팽창부(15) 내부의 치약은 치약토출구(16)를 통하여 하방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 때 압축팽창부(15) 상부의 밸브(13)로 인하여 치약공급부(100) 내부로는 치약이 역류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사용자가 토출버튼(24)을 다시 놓았을 때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는 앞서 설명한 압축팽창부(15)가 압축되는 상황과는 반대로 압축팽창부(15)가 팽창함에 따라 내부 압력이 낮아 지면서 밸브(13)가 열리고 치약공급부(100) 내부의 치약이 압축팽창부(15) 내부로 유입이 된다.
[도 8]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의 경우에도 토출버튼 대신 토출레버(251a)를 당기는 점만 다를 뿐 상술한 실시예 1의 작용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약토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하부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모습 및 하부 치약 자동 디스펜서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사용직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토출버튼을 누른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토출버튼을 다시 원위치 시킨 직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치약을 토출하고 일정시간이 지난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자동 디스펜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치약토출부 11: 치약유입구
12: 치약고정부 13: 밸브
15: 압출팽창부 16: 치약토출구
17: 눌림부 18: 고정수단
21: 하부 하우징 22: 지지부
23: 덮개 24: 토출버튼
25: 압력전달수단 26: 하우징고정수단
30: 상부 하우징 31: 걸이부
40: 전용 치약통 41: 피스톤
241: 토출버튼다리 242: 토출버튼돌기
251: 압력전달수단 몸체 252: 토출버튼돌기수용부
253: 가압부 254: 회전축

Claims (10)

  1. 치약을 담고 있는 치약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치약을 토출시키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있어서,
    일정량의 치약을 수용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치약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압축시에는 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 탄성재질의 압축팽창부;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압축팽창부로 치약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치약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치약유입구에는 치약이 상기 압축팽창부 방향으로만 유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밸브를 구비하는 치약공급부;
    사용자가 치약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누르는 토출버튼;
    회전축을 구비하고, 일측단이 상기 토출버튼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토출버튼이 상기 압력전달수단과의 연결부위를 눌러 회전시키는 경우에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압축팽창부를 압축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압력전달수단;
    상기 치약토출부와 상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고정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을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 고정수단;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치약공급부재의 치약 배출구가 관통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치약공급부재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치약공급부재가 외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수단의 회전축은 상기 가압부보다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버튼은 상기 치약토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팽창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상기 압축팽창부대신 받아 상기 압축팽창부에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압축팽창부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여줄 수 있도록 경질로 형성된 눌림부:를 더 포함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공급부재는,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타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치약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이 형성된 전용치약통:인 치약 자동 디스펜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치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입구를 조이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9.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약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타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며 내부 압력변화에 따라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면에 치약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한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얇은 막 형태로 막고 있는 마개를 구비하며, 외주면에는 치약잔유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치약 자동 디스펜서 전용치약.
  10. 삭제
KR1020080004959A 2008-01-16 2008-01-16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095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959A KR100959387B1 (ko) 2008-01-16 2008-01-16 치약 자동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959A KR100959387B1 (ko) 2008-01-16 2008-01-16 치약 자동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038A KR20090079038A (ko) 2009-07-21
KR100959387B1 true KR100959387B1 (ko) 2010-05-24

Family

ID=4133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959A KR100959387B1 (ko) 2008-01-16 2008-01-16 치약 자동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3930A (zh) * 2011-01-28 2012-08-01 株式会社三辉 重装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45B1 (ko) * 2010-08-11 2013-04-30 이희경 치약 공급장치용 아답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87Y1 (ko) * 2002-06-14 2002-09-09 김현철 치약 인출장치
JP2005211145A (ja) 2004-01-27 2005-08-11 Somei:Kk 液体取出装置
KR20060097420A (ko) * 2005-03-09 2006-09-14 소병문 치약 배출기
KR100760521B1 (ko) * 2006-10-23 2007-09-20 김동주 공기압축식 치약토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87Y1 (ko) * 2002-06-14 2002-09-09 김현철 치약 인출장치
JP2005211145A (ja) 2004-01-27 2005-08-11 Somei:Kk 液体取出装置
KR20060097420A (ko) * 2005-03-09 2006-09-14 소병문 치약 배출기
KR100760521B1 (ko) * 2006-10-23 2007-09-20 김동주 공기압축식 치약토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3930A (zh) * 2011-01-28 2012-08-01 株式会社三辉 重装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038A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977A (en) Dentifrice dispensing toothbrush with refillable cartridge
US20100170921A1 (en) Air-pump type discharger and dispenser for daily necessaries including the same
US20070039976A1 (en) Dispenser for disinfecting gel
KR100959387B1 (ko) 치약 자동 디스펜서
GB2224320A (en) Dispenser for a pasty material, e.g. toothpaste
KR100891363B1 (ko) 다기능 치약 자동 디스펜서
KR100755489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CN202505219U (zh) 一种定量挤牙膏器
KR100815541B1 (ko)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및 치약인출 작동방법
US7748565B2 (e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N109394048B (zh) 一种皂液器用止液活塞泵装置
CN202262917U (zh) 一种自动挤牙膏器
KR100907940B1 (ko) 치약 자동 공급 디스펜서
US20090144922A1 (en) Toothbrush
KR100655623B1 (ko) 공기압축식치약짜개
KR200273886Y1 (ko) 치약 가압장치
KR101921141B1 (ko) 디스펜서 일체형 치약 마개
CN201664249U (zh) 新型皂液器
CN111591577B (zh) 一种牙膏定量挤出装置
CN211033582U (zh) 一种挤牙膏装置
JP2003291993A (ja) 空気袋付きチューブ
KR101562654B1 (ko) 치약 토출장치
KR20090106042A (ko) 치약튜브 및 치약 디스펜서
KR940002068Y1 (ko) 치약 배출기
KR20022219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