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842Y1 -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842Y1
KR200184842Y1 KR2019990020051U KR19990020051U KR200184842Y1 KR 200184842 Y1 KR200184842 Y1 KR 200184842Y1 KR 2019990020051 U KR2019990020051 U KR 2019990020051U KR 19990020051 U KR19990020051 U KR 19990020051U KR 200184842 Y1 KR200184842 Y1 KR 200184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all portion
blade
cu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161U (ko
Inventor
우잭
Original Assignee
모다스 싱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다스 싱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모다스 싱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to KR2020000001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181Y1/ko
Priority to KR2020000001757U priority patent/KR20019518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6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type performing different methods of operation simultaneously, e.g. reciprocating and oscillating; of the type having two or more heads of differing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with provision for shearing hair of preselected or vari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4Suction means for collecting severed hairs or for the skin to be sha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모발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모발절단기와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합형 모발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동력원과 전동장치를 구비하며 절단된 모발조각을 수집하는 모발수집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모발절단부는 절단부 덮개와, 상기 절단부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는 칼날과, 모발을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칼날과 상호 동작하도록 상기 절단부 덮개 상에 형성되어 있는 빗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모발절단기와,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는 제 1 절단기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제 2 절단기로 교체되도록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발의 각각의 부분을 편리하게 절단하게 하고 모발절단장치를 구비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조합형 모발절단장치{Combination of hair combing trimmer, shaver, and head side profile cutter}
본 고안은 조합형 모발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절단기와,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절단부에서 상기 모발절단부의 제 1 절단기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상기 모발절단부의 제 2 절단기로 교체되도록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조합형 모발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3 및 도1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모발절단기와 측면모발절단기는 각각 본체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머리의 정수리부, 뒷머리부, 또는 측면부 및 턱 등의 각각의 다른 부분의 모발에 알맞는 최소 1개의 종래의 모발절단기 및 최소 1개의 종래의 측면모발절단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하고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본체와 모발절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발절단부는 모발절단기와,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모발을 편리하게 절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비가 가능한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모발절단기가 구비되어 있는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원호형 천공막이 면도기의 하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면도기가 장착된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측면모발절단기가 구비되어 있는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측면모발절단기를 구비하는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본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빗을 구비하는 측면모발절단기가 구비되어 있는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절단되는 모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빗이 상방으로 피봇가능하게 설치된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변형된 제 3 실시예에 의한, 변형된 빗살을 구비하는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조합형 모발절단장치에 사용되는 측면모발절단기를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도11은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환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2는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제 2 벽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세장날과 제 2 세장날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3은 종래의 모발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4는 종래의 측면모발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스위치
12 ; 구동소켓 13 ; 모발수집부
14 ; 세장홈 16 ; 칼날
18, 82 ; 축 20 ; 모발절단기
20a ; 절단부 덮개 20a1 ; 전면부
22 ; 핀 23 ; 원호형 천공막
24 ; 수직홈 26 ; 빗
27 ; 원호형 치부 28 ; 평판부
30 ; 측면모발절단기 30a ; 저부
30a1 ; 제 1 반저부 30a2 ; 제 2 반저부
30b ; 제 1 벽부 30c ; 제 2 벽부
36 ; 제 1 오목홈 38 ; 제 2 오목홈
39 ; 톱니형상 새김눈 40 ; 제 2 빗
40' ; 변형된 제 2 빗 41 ; 제 3 삽입촉
42 ; 하부 빗대 42a ; 삼각판
42b ; 목부 42c ; 수직견치형상부
43 ; 빗살 50 ; 피봇판
51 ; 제 1 삽입촉 52 ; 제 2 삽입촉
53 ; 핀홀, 피봇핀 60 ; 면도기
80 ; 전환장치 82a ; 구동피니언
84 ; 역Y자 형상 슬라이더 84a ; 중심축
84 b ; 레그 84d ; 홀
86 ; 캠 88 ; 베이스블럭
100 ; 제 1 세장날 102, 122 ; 톱니부
120 ; 제 2 세장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는, 본체와 모발절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동력원과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절단된 모발조각을 수집하는 모발수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절단부는 절단부 덮개와, 상기 절단부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는 칼날 및 모발을 절단하는 상기 칼날과 상호 동작하도록 상기 절단부 덮개 상에 형성되는 빗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모발절단기와,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빗은 소정의 조절가능한 거리로 상기 칼날로부터 이격된 채 상기 칼날이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하여 절단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빗과 상기 칼날이 소정 간격으로 거리조정되어 모발이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가 제 1 절단기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제 2 절단기로 교체되도록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합형 모발절단장치는 머리의 측면모발을 절단하도록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모발절단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모발절단기는 절단부 덮개와, 전환장치와, 제 1 세장날 및 제 2 세장날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부 덮개는 저부와, 제 1 벽부 및 제 2 벽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부는 하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반저부와 제 2 반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상단모서리를 따라 상부 공간을 형성하여 세장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벽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저부의 상기 하부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세장날은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중 한 곳에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상단모서리를 따라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세장날 상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상단모서리의 상부로 돌출하여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2 세장날은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중 한 곳의 하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세장날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세장날은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하여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제 2 세장날은 톱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 2 세장날의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한 상대적인 왕복운동은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소망하는 모발형상으로 절단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발절단기와,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의 조합은 일반적으로 본체(10)와 모발절단기(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종래의 모발절단기 및 면도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11)에 연결되어 있는 동력원과 전동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절단된 모발조각을 수집하는 모발수집부(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절단기(20)는 절단부 덮개(20a)와, 종래의 모발절단기나 면도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하부에 형성되는 칼날(16)과, 요구되는 형상으로 모발을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칼날(16)과 상호 동작하는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상부에 형성되는 빗(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빗(26)은 원호형 치부(27)와 평판부(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절단부 덮개(20a)는 상기 칼날(16)과 상기 빗(26) 사이의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호형 천공막(2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빗(26)의 상기 원호형 치부(27)는 상기 원호형 천공막(23)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26)의 상기 원호형 치부(27)가 상기 원호형 천공막(23)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원호형 천공막(23)에 삽입되는 모발이 상기 빗(26)에 의해 제한되어 상기 모발의 절단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빗(26)의 상기 평판부(28)는 상기 원호형 천공막(23) 아래의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전면부(20a1) 상에서 이탈활주가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절단부 덮개(20a)는 상기 빗(26)의 평판부(28)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모서리를 수용하도록 평행한 2개의 수직홈(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빗(26)과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칼날(16)과의 거리는 상기 모발의 절단되는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상기 빗(26)의 상기 평판부(28)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조정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모발절단기와, 상기 면도기 및 상기 측면모발절단기의 조합에 있어 가장 중요한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모발절단기나, 면도기, 또는 측면모발절단기가 상호 교체되도록 상기 모발절단기(2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장착면(도면번호를 부여하지 않음) 상의 2개의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근접하여 한 쌍의 평행한 세장홈(1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세장홈(14)에 대응하여 미끄러져 삽입되도록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2개의 길이방향 측벽의 하부 내측에 최소 2개의 핀(22)(도2에는 4개의 핀(22)을 도시하였음)이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발절단기(2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의 상기 세장홈(14)에 대응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핀(22)이 미끄러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10) 상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진다.
도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발절단기(20)를 면도기(60)로 교체한 모발절단기, 면도기, 측면모발절단기의 조합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면도기(60)는 상기 원호형 천공막(23)이 상기 면도기(60)의 하부에 근접하는 점에 이르도록 아래로 내리뻗어 형성되어 있으며, 빗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모발절단기(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턱의 수염을 절단하는 전기면도기로도 사용되어진다.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소켓(12)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다양한 면도기나 모발절단기에서와 같이 상기 칼날(16)은 상기 절단부 덮개(20a)의 하부 또는 상기 면도기 덮개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축(18) 상에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18)은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소켓(12)과 탈착가능하게 커플링형태로 결합하여 회전하는 구동피니언(21)을 구비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발절단기,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의 조합은, 상기 실시예의 상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면모발절단기 및 제 2 빗(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특징은, 도6의 A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가늘고 긴 선을 따라 집중되어 있는 끝단을 구비하는 평면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는 상기 본체(10) 상에서 이격되어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세장홈(14)에 대응하여 미끄러져 삽입되는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의 2개의 길이방향 측벽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최소 2개의 핀(32)(도6에는 4개의 돌출된 핀(32)을 도시하였음)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상기 모발절단기 또는 상기 면도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법).
도6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는 저부(30a)와, 제 1 벽부(30b)와, 제 2 벽부(30c)와, 전환장치(80)와, 제 1 세장날(100) 및 제 2 세장날(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부(30a)는 하부 공간(도면번호를 부여하지 않음)을 형성하도록 제 1 반저부(30a1)와 제 2 반저부(30a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벽부(30b)는 상기 제 1 반저부(30a1)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반저부(30a2)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벽부(30c)는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의 상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부 공간(도면번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의해 세장홈(32)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벽부(30b)와 이격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환장치(80)는 상기 언급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저부(30a)의 상기 하부 공간(도면번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세장날(100)(도12에 도시된 상기 제 2 세장날(120)의 하부)은 상기 제 1 벽부(30b)와 제 2 벽부(30c)중 한 곳에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의 상기 상단모서리를 따라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10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세장날(100)은 상기 제 2 벽부(30c)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세장날(100) 상에는 톱니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톱니부(102)는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의 상단모서리의 상부로 돌출하여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2 세장날(120)은 톱니부(122)가 상기 제 2 세장날(12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세장날(100)과 근접하여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상기 제 2 세장날(120)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중 한 곳의 하부에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형성되어 있다(도10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세장날(120)은 상기 제 2 벽부(30c)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세장날(120)은 상기 제 1 세장날(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도록 상기 전환장치(80)에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제 1 세장날(100)에 대한 상기 제 2 세장날(120)의 상대적인 왕복운동은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소망하는 모발형상으로 절단하도록 한다.
도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환장치(80)는 축(82)과, 역Y자 형상 슬라이더(84) 및 캠(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축(82)은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의 상기 저부(30a)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부 공간(도면번호를 부여하지 않음)의 베이스블럭(88)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84)는 상기 제 2 세장날(120)과 연결되는 중심축(84a)을 구비하고 상기 축(82)과 연결되도록 관통홀(84d)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하부로 내리뻗은 레그(84b)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86)은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84)와 맞물리도록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84)의 측면에서 아래로 내리뻗은 2개의 상기 레그(84b) 사이에서 상기 축(82)에 동축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축(82)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소켓(12)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동피니언(82a)을 구비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86)은, 상기 축(80)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제 2 세장날(120)이 상기 제 1 세장날(100)에 대해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도록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84)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궤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제 2 빗(4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는 구렛나루를 절단하거나 전기면도기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네 번째 특징은 하부 빗대(42)와 2개의 평행한 빗살(43)의 열을 구비하는 상기 제 2 빗(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상기 하부 빗대(42)는 일반적으로 수직면과 밑면 및 경사면(도면번호를 부여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평행한 삼각판(42a)과, 상기 2개의 삼각판(42a)의 각각의 수직면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목부(42b) 및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의 상부를 둘러싸며 고정되는 4개의 면으로 형성되는 울타리를 이루도록 상기 목부(42b)의 반대편에서 상기 2개의 삼각판(42a)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견치형상부(42c)를 구비하고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빗살(43)은 상기 하부 빗대(42)의 각각의 상기 삼각판(42a)의 경사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정해진 높이로 뻗어 형성되며 정해진 높이(L)로 상기 제 1 세장날(100)과 상기 제 2 세장날(102)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각각의 빗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세장날(100)과 상기 제 2 세장날(12)에 의해 절단되는 모발의 길이는 상기 제 1, 2 세장날(100, 120)과 상기 빗살(43) 사이의 일정거리(L)로 제한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빗대(42)는 상기 절단되는 모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빗살(4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도8에 도시함) 각각의 상기 제 1 벽부(30b)와 제 2 벽부(30c)의 일측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2 빗(40)의 상기 하부 빗대(42)는 측면에 2개의 제 1 삽입촉(5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제 2 삽입촉(52)이 형성되어 있는 피봇판(50)에 의해 상기 측면모발절단기(30)의 상기 제 1 벽부(30b) 및 상기 제 2 벽부(30c)의 각각의 일측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삽입촉(51)에는 상기 목부(42b)에 근접하는 각각의 상기 삼각판(42a)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53)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피봇핀(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의 연결부에는 상기 피봇판(50)의 상기 제 2 삽입촉(52)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오목홈(38)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의 측면에는 상기 피봇판(50)의 각각의 제 1 삽입촉(51)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오목홈(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련의 톱니형상 새김눈(39)이 상기 제 2 오목홈(38)과 대향하여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상기 제 1 벽부(30b)와 상기 제 2 벽부(30c)가 결합하는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살(43)이 선택된 양 만큼의 상기 모발을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세장날(100)과 상기 제 2 세장날(120)의 상부로 선택된 양만큼 내밀어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빗(40)이 임시적인 피봇결합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제 3 삽입촉(41)이 상기 톱니형상 새김눈(39)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 2 빗(40)의 상기 수직견치형상부(42c)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섯 번째 특징은, 곱슬머리를 소유한 사람에게 특별히 유용한 변형된 제 2 빗(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변형된 제 2 빗(40')은 상기 변형된 제 2 빗(40')의 길이방향의 축에 대하여 상기 빗살(43)이 외부를 향하여 구부러져 있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언급한 상기 제 2 빗(40)과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모발의 각각의 부분을 절단하게 하고 모발절단장치를 구비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9)

  1. 본체와 모발절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동력원과 전동장치 및 절단된 모발을 수집하는 모발수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발절단부는 절단부 덮개와, 상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는 칼날 및 상기 칼날과 상호 동작하여 모발을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부 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는 빗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빗은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절단동작을 실시하는 칼날과 상기 빗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칼날과 상기 빗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모발을 상기 빗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발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발절단부는 다른 형상의 모발절단부와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완전히 분리되는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절단부는,
    모발절단기, 면도기 및 측면모발절단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절단부 덮개의 2개의 길이방향 측벽의 하부 내측에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최소 2개의 핀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장착면 상의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근접하여 한 쌍의 평행한 세장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핀이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세장홈에 대응하여 삽입되어 상기 절단부 덮개가 상기 본체와 장,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소켓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소켓은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상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소켓과 탈착가능하게 커플링형태로 결합하여 회전하는 구동피니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 덮개의 상부에는 상기 절단부 덮개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는 원호형 천공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천공막은 상기 칼날과 상기 빗의 사이의 상기 절단부 덮개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빗은 평판부와 상기 원호형 천공막의 원호형상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 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빗의 상기 평판부는 상기 빗의 상기 원호형 치부가 상기 원호형 천공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절단되는 모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호형 천공막 아래의 상기 절단부 덮개의 전면부 상에서 이탈활주가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천공막은,
    상기 원호형 천공막 아래의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고 있는 상기 모발절단부의 후면부의 하부에 근접하는 점에 이르도록 아래로 내리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 덮개는,
    상기 빗의 상기 평판부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 모서리를 각각 수용하도록 평행한 2개의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제 1 세장날과 제 2 세장날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 덮개는 제 1 반저부와 제 2 반저부와 제 1 벽부 및 제 2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부는 상기 구동소켓과 탈착가능하게 커플링형태로 결합하여 회전하는 전환장치를 구비하는 하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제 2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상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부 공간에 의한 세장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벽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중 한 곳의 상기 상단모서리에 상기 제 1 세장날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세장날이 상기 제 1 세장날과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도록 상기 전환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구동되는 스프링이 상기 제 2 세장날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세장날과 상기 제 2 세장날 상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하여 상기 제 2 세장날의 상대적인 왕복운동에 의하여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절단하도록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각각의 상단모서리로부터 상부로 돌출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절단부 덮개의 상기 저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축과, 상기 제 2 세장날과 연결되는 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하부로 내리뻗은 레그를 구비하는 역Y자 형상 슬라이더와,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와 맞물리도록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의 2개의 상기 레그 사이에서 상기 축에 동축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는 캠을 구비하고; 상기 축은 상기 구동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동피니언을 구비하며; 상기 캠은 상기 축이 상기 구동피니언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구동소켓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중심축을 왕복운동 시킬 수 있는 궤도를 가지고 있어 상기 제 2 세장날이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절단하는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빗은 하부 빗대와 2개의 평행한 빗살의 열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빗대는 일반적으로 수직면과 밑면 및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평행한 삼각판을 구비하며; 목부가 상기 2개의 삼각판의 각각의 수직면의 사이에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수직견치형상부가 상기 모발절단부의 상부를 둘러싸며 고정되는 4개의 면으로 형성되는 울타리를 이루도록 상기 목부의 반대편의 상기 2개의 삼각판의 사이에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빗살은 상기 하부 빗대의 각각의 상기 삼각판의 경사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정해진 높이로 뻗어 형성되어 각각의 빗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며 정해진 양의 모발을 절단하도록 상기 칼날의 상부로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빗의 상기 하부빗대는 상기 절단되는 모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빗살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상기 모발절단부의 각각의 상기 제 1 벽부와 제 2 벽부의 일측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의 상기 하부 빗대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제 1 삽입촉과 제 2 삽입촉이 형성되어 있는 피봇판에 의해 상기 측면모발절단기의 상기 제 1 벽부 및 상기 제 2 벽부의 각각의 일측면과 피봇결합을 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삽입촉에는 상기 목부에 근접하는 각각의 상기 삼각판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피봇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부 덮개의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피봇판의 상기 제 2 삽입촉을 수용하는 제 2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발절단부의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측면에는 상기 피봇판의 각각의 제 1 삽입촉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오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일련의 톱니형상 새김눈이 상기 제 2 오목홈과 대향되게 상기 모발절단부의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가 결합하는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살이 선택된 양만큼의 상기 모발을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칼날의 상부로 선택된 양만큼 내밀어지게 하도록 상기 빗의 임시적인 피봇결합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제 3 삽입촉이 상기 톱니형상 새김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빗의 상기 수직견치형상부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은 각각의 끝단이 상기 빗의 길이방향의 축에 대하여 외부를 향하여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저부와 상기 제 1 벽부 및 상기 제 2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각각의 상기 상단모서리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선을 따라 집중되어 있는 끝단을 구비하는 평면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6. 측면의 모발을 절단하도록 저부와 제 1 벽부 및 제 2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단부 덮개가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모발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반저부와 제 2 반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제 2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상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부 공간에 의해 세장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벽부와 이격되어 결합하고;
    동력원과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상기 저부의 상기 하부 공간에 형성되는 전환장치를 구비하며;
    제 1 세장날이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중 한 곳의 상기 상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세장날 상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톱니부가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각각의 상기 상단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제 2 세장날이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중 한 곳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장날에 근접하여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세장날이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하여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도록 상기 전환장치에 연결되어 상대운동을 하며, 상기 제 2 세장날 상에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소망하는 모발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하여 상기 제 2 세장날이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절단부 덮개의 상기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부 공간에 장착되어 있는 축;
    상기 제 2 세장날과 연결되는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축과 연결되도록 관통홀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하부로 내리뻗은 레그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역Y자 형상 슬라이더; 및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의 측면에서 아래로 내리뻗은 2개의 상기 레그 사이에서 상기 축과 동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은 상기 구동소켓에 삽입되어 커플링형태로 연결되는 구동피니언을 구비하여, 상기 상기 역Y자 형상 슬라이더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궤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캠;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축이 상기 동력원 및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 2 세장날이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절단하도록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8. 본체는 동력원과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동력원과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소켓이 구비되어 있으며, 절단된 모발을 수집하는 모발수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모발절단부는 상기 본체 상에서 결합, 분리가 가능한 모발절단기, 면도기, 측면모발절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와,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칼날 및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 상에 형성되는 빗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칼날은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소켓에 커플링형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동피니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는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는 원호형 천공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천공막은 상기 칼날과 상기 빗의 사이에서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상부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빗은 평판부와 상기 원호형 천공막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되고 배열되어 있는 원호형 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빗의 상기 평판부는 절단되는 모발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빗의 상기 원호형 치부가 상기 원호형 천공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원호형 천공막 아래의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전면부 상에서 이탈활주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기 모발절단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와, 상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는 칼날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칼날은 상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은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전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동소켓과 탈착가능하게 커플링형태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피니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는 상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는 원호형 천공막을 구비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형 천공막은 상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근접하는 점에 이르도록 내리뻗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면도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의 하부에 제 1 세장날과 제 2 세장날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 상에는 빗이 피봇결합되어 있고,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는 제 1 반저부와 제 2 반저부와 제 1 벽부 및 제 2 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부는 상기 구동소켓과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환장치를 구비하는 하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벽부는 상기 제 2 반저부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상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세장홈에 의해 상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2 벽부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중 한 곳에는 상기 상단모서리를 따라서 제 1 세장날과, 상기 전환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 2 세장날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하여 제 2 세장날이 상대적인 왕복운동을 하게 하며, 상기 제 1 세장날과 상기 제 2 세장날은 상기 제 1 세장날과 제 2 세장날 상에 각각 톱니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각각의 상기 상단모서리로부터 돌출하여 배열되어 있어, 상기 제 1 세장날에 대한 상기 제 2 세장날의 상대적인 상기 왕복운동에 의하여 모발 또는 구렛나루를 절단하는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장착면의 2개의 길이방향의 모서리에 근접하 한 쌍의 평행한 세장홈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와 상기 면도기 절단부 덮개 및 상기 측면모발절단기 절단부 덮개는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세장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각각의 상기 절단부 덮개의 2개의 길이방향 측벽의 하부 내측에 최소 2개의 핀이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모발절단기와, 상기 면도기 및 상기 측면모발절단기가 상기 본체 상에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19990020051U 1998-04-03 1999-09-17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0184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58U KR200195181Y1 (ko) 1999-09-17 2000-01-22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20000001757U KR200195180Y1 (ko) 1999-09-17 2000-01-22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57U KR19990039067U (ko) 1998-04-03 1998-04-03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57U Division KR19990039067U (ko) 1998-04-03 1998-04-03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58U Division KR200195181Y1 (ko) 1999-09-17 2000-01-22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20000001757U Division KR200195180Y1 (ko) 1999-09-17 2000-01-22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61U KR20000004161U (ko) 2000-02-25
KR200184842Y1 true KR200184842Y1 (ko) 2000-06-01

Family

ID=195333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57U KR19990039067U (ko) 1998-04-03 1998-04-03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19990020051U KR200184842Y1 (ko) 1998-04-03 1999-09-17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57U KR19990039067U (ko) 1998-04-03 1998-04-03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9067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67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07046B1 (en) Electric beard trimmer
EP3585574B1 (en) Electric handheld hair trimmer with blade guard
US4845847A (en) Dry shaver with a slidable trimmer handle
CN109789571B (zh) 胡须修剪器
US5054199A (en) Hair cutter
EP1866129B1 (en) Hair trimmer device with comb unit
US6044558A (en) Combination of hair combing trimmer, shaver, and head side profile cutter
EP2747960B1 (en) Hair trimmer with cutting guide
GB2040209A (en) Electric shavers
US3909938A (en) Combined close shaving and long hair trimming head assembly for an electric shaver
US6125545A (en) Hair cutter
US5123159A (en) Hair clipper
US3874079A (en) Auxiliary trimmer assembly for an electric shaver
KR200184842Y1 (ko)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0195181Y1 (ko)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US4089109A (en) Cutter head assembly
KR20000004161U (ko)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000011301U (ko)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KR20000011300U (ko) 조합형 모발절단장치
JP3493747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S63158093A (ja) ヘアカツタ−
CN213197628U (zh) 一种电推剪具有防发功能的刀头调节装置
JP3754465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S5844389B2 (ja) トリマ機構付電気カミソリ
JP3609553B2 (ja) 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