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360Y1 -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360Y1
KR200184360Y1 KR2019990025890U KR19990025890U KR200184360Y1 KR 200184360 Y1 KR200184360 Y1 KR 200184360Y1 KR 2019990025890 U KR2019990025890 U KR 2019990025890U KR 19990025890 U KR19990025890 U KR 19990025890U KR 200184360 Y1 KR200184360 Y1 KR 200184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ste heat
heat recovery
heat
exhaus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남
Original Assignee
조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남 filed Critical 조광남
Priority to KR2019990025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7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18Flue gas recu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덕트의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를 설치한 다음, 상기 폐열회수장치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지정된 가정으로 공급하므로서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연료소모를 절약하여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극소화시킨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배기덕트(130)(230)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온의 잠열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300)를 설치하되, 상기 배기덕트(130)(230)에 댐퍼(131)(231)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댐퍼(131)(231) 직전의 배기덕트(130)(230) 적소에 폐열회수장치(300)와 연통되게 유입덕트(310)를 설치하고, 댐퍼(131)(231) 직후의 배기덕트(130)(230) 적소에 폐열회수장치(300)와 연통되게 배출덕트(3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Device for remainder heat col lection of a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덕트로 배출되는 폐열 및 연소중에 발생되는 잠열을 폐열회수장치에 통과시켜 이때 회수된 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지정된 가정에 공급하므로서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킨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아파트에서는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을 체용하여 각 가정에 온수를 제공하고 있는데, 상기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 중에는 도 1과 같이 보일러실(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면서 공급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20)와; 상기 보일러(2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보일러실(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기덕트(30)와; 상기 보일러(2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온수탱크(41)에 집적하여 순환중 냉각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개개의 열교환용 히터수단(40)을 거쳐 보일러(20)로 강제 귀환하는 제1온수 순환라인(50)과; 상기 각 열교환용 히터수단(40)을 거쳐 각 가정으로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제2온수 순환라인(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보일러(10)로부터 가열된 온수는 제1온수 순환라인(50)을 따라 온수탱크 (41)에 일차 저장된 다음, 각 열교환용 히터수단(40)을 거쳐 귀환펌프(51)에 의해 보일러(10)로 강제 귀환되고, 상기 열교환용 히터수단(40)에 의해 재가열된 온수는 제2온수 순환라인(60)을 따라 각 가정에 공급된 다음, 온수순환펌프(61)에 의해 제 2온수 순환라인(60)을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각 가정의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은 배기덕트(30)로 배기되는 고온(150℃∼200℃)의 폐열이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기 때문에 에너지효율이 극히 낮을 뿐만 아니라, 연료소모량이 크므로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크게 증가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기덕트의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를 설치한 다음, 상기 폐열회수장치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지정된 가정으로 공급하므로서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연료소모를 절약하여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극소화시킨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개략적인 계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개략적인 계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를 발췌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보일러실 120:보일러
130:배기덕트 131:댐퍼
140:히터수단 141:온수탱크
150:제1온수 순환라인
160:제2온수 순환라인 210:보일러실
220:보일러 230:배기덕트
231:댐퍼 260:온수 순환라인
300:폐열회수장치 301:몸체
302:열흡수관 303:단열부재
304:흡열핀 310:유입덕트
320:배출덕트 330:순환라인
340:펌프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일러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면서 공급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보일러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기덕트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온수탱크에 집적하여 순환중 냉각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개개의 열교환용 히터수단을 거쳐 보일러로 강제 귀환하는 제1온수 순환라인과; 상기 각 열교환용 히터수단을 거쳐 각 가정으로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제2온수 순환라인; 등으로 이루어진 온수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에 의해 순환라인내의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를 설치한 다음, 상기 순환라인내의 가열된 온수를 소망하는 가정에 순환,공급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기덕트에 댐퍼를 설치하는 한편, 댐퍼 직전의 배기덕트 적소에 폐열회수장치와 연통되게 유입덕트를 설치하고, 댐퍼직후의 배기덕트 적소에 폐열회수장치와 연통되게 배출덕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폐열회수장치가 양측으로 배기덕트가 연결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온수가 유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각 단부에 순환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열흡수관과; 상기 몸체의 사방에 설치되어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부재;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로 설치되는 열흡수관의 외주연에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배기가스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흡열핀을 무수히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열흡수관의 외주연에 흡열핀을 형성하되, 상기 흡열핀을 나선형형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개략적인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보일러실(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면서 공급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120)와; 상기 보일러(12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보일러실(11 0)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기덕트(130)와; 상기 보일러(12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온수탱크(141)에 집적하여 순환중 냉각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개개의 열교환용 히터수단(140)을 거쳐 보일러(120)로 강제 귀환하는 제1온수 순환라인(150)과; 상기 각 열교환용 히터수단(140)을 거쳐 각 가정으로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제2온수 순환라인(160); 등으로 이루어진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130)(230)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300)를 설치하는데, 상기 배기덕트(130)(230)에 댐퍼(131)(231)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댐퍼(131) (231) 직전의 배기덕트(130)(230) 적소에 폐열회수장치(300)와 연통되게 유입덕트 (310)를 설치하고, 댐퍼(131)(231) 직후의 배기덕트(130) (230) 적소에 폐열회수장치(300)와 연통되게 배출덕트(320)를 설치한다. 즉, 배기가스를 페열회수장치(300)로 유도하고자 하면 댐퍼(131)(231)를 폐쇄시켜 배기가스가 폐열회수장치(300)와 연통된 유입덕트 (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이때 폐열회수장치(300)를 거친 배기가스는 배출덕트(3 20)를 통해 배기덕트(130)(23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폐열회수장치(300)는 배기덕트(130)(230)가 연결설치되는 몸체(301)와; 상기 몸체(301)의 내부에 온수가 유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양 단부에 순환라인(330)이 각각 연결되는 동재질의 열흡수관(302)과; 상기 몸체(301)의 사방에 설치되어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부재(30 3);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3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흡수관(302)의 외주연에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배기가스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흡열핀(304)을 무수히 형성하는데, 상기 흡열핀(304)을 나선형형상으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폐열회수장치(300)에는 가열된 온수가 각 가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순환라인(330)이 온수탱크(141)와 연결된 다음, 각 가정으로 연결되고, 각 가정을 순환하고 난 냉각된 온수는 귀환펌프(350)가 설치된 귀환라인(360)을 따라 온수탱크(141)로 귀환된다. 이때, 상기 온수탱크(141)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냉수라인(370)이 설치되고, 상기 냉수라인(370)에서 분기된 냉수분기라인(380)은 폐열회수장치(300)로 연결되며, 상기 냉수분기라인(380)에는 냉수공급펌프(39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41)에는 보일러에 의해 직접 가열된 온수가 유통되는 제1온수 순환라인(150)이 설치되는데, 이 제1온수 순환라인(150)은 열교환용 히터수단(380)을 거쳐 제1온수 순환라인(150)으로 재귀환되며, 상기 제1온수 순환라인(150)에 설치되어진 제어밸브(151)에 의해 순환라인(330)으로의 온수 유통이 제어된다. 즉, 폐열회수장치(3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제1온수 순환라인(150)의 제어밸브(151)를 개방하여 제1온수 순환라인(150)을 유통하는 온수를 온수탱크 (141)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앙집중식 난방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보일러(110)로부터 가열된 온수는 제1온수 순환라인 (150)을 따라 각 열교환용 히터수단(140)을 거쳐 귀환펌프(151)로서 보일러(110)에 강제 귀환하고, 상기 열교환용 히터수단(140)에 의해 재가열된 온수는 제2온수 순환라인(160)을 따라 각 가정에 공급된 다음, 난방순환펌프(161)에 의해 제2온수 순환라인(160)을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각 가정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배기덕트(13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은 댐퍼(131)의 유도를 받아 화살표와 같이 유입덕트(310)로 안내되고, 유입덕트(31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폐열회수장치(300)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폐열회수장치(300)를 거친 배기가스는 배출덕트(320)를 통해 배기덕트(130)로 배출된다.
상기 폐열회수장치(300)로 유입된 고온(150℃∼200℃)의 폐열에 의해 열흡수관(302)내의 온수가 가열되며, 이렇게 가열된 온수는 순환라인(330)을 따라 각 가정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폐열회수장치(3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제1온수 순환라인 (150)의 제어밸브(151)를 개방하여 제1온수 순환라인(150)의 온수를 온수탱크(141)에 공급하여 순환라인(330)으로 재공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기덕트의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를 설치한 다음, 상기 폐열회수장치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지정된 가정으로 공급하므로서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연료소모를 절약하여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극소화시킨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보일러실(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면서 공급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120)와; 상기 보일러(12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보일러실(11 0)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기덕트(130)와; 상기 보일러(12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온수탱크(141)에 집적하여 순환중 냉각된 온수를 재가열하는 개개의 열교환용 히터수단(140)을 거쳐 보일러(120)로 강제 귀환하는 제1온수 순환라인(150)과; 상기 각 열교환용 히터수단(140)을 거쳐 각 가정으로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제2온수 순환라인(160); 등으로 이루어진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 적소에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연소중에 발생한 고열량인 잠열에 의해 순환라인내의 온수가 가열되도록 폐열회수장치를 설치한 다음, 상기 순환라인내의 가열된 온수를 소망하는 가정에 순환,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 댐퍼를 설치하는 한편, 댐퍼 직전의 배기덕트 적소에 폐열회수장치와 연통되게 유입덕트를 설치하고, 댐퍼직후의 배기덕트 적소에 폐열회수장치와 연통되게 배출덕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장치가 양측으로 배기덕트가 연결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온수가 유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각 단부에 순환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열흡수관과;
    상기 몸체의 사방에 설치되어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부재;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로 설치되는 열흡수관의 외주연에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배기가스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흡열핀을 무수히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흡수관의 외주연에 흡열핀을 형성하되, 상기 흡열핀을 나선형형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KR2019990025890U 1999-11-24 1999-11-24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KR200184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90U KR200184360Y1 (ko) 1999-11-24 1999-11-24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90U KR200184360Y1 (ko) 1999-11-24 1999-11-24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360Y1 true KR200184360Y1 (ko) 2000-06-01

Family

ID=1959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890U KR200184360Y1 (ko) 1999-11-24 1999-11-24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3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974A (ko) * 2000-06-28 2005-05-24 문형렬 보일러 난방 장치
KR101556850B1 (ko) 2014-05-21 2015-10-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온수 순환 시스템
KR101832440B1 (ko) * 2016-02-02 2018-04-13 정기영 회수관의 열원보충부를 구비한 중앙난방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974A (ko) * 2000-06-28 2005-05-24 문형렬 보일러 난방 장치
KR101556850B1 (ko) 2014-05-21 2015-10-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온수 순환 시스템
KR101832440B1 (ko) * 2016-02-02 2018-04-13 정기영 회수관의 열원보충부를 구비한 중앙난방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242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ar heating air in a forced draft heating system
CN101151494B (zh) 具有双重管的热水供应系统
CN102997423A (zh) 固体电蓄热装置
CN202835795U (zh) 一种固体电储热热水锅炉
CN109256240A (zh) 一种节能环保热风循环漆包机烘炉系统
CN203100164U (zh) 固体电蓄热装置
KR200184360Y1 (ko) 중앙집중식 온수공급시스템의 폐열회수장치
KR100364662B1 (ko) 태양열과 심야전기와 가스보일러를 사용한 난방 및온수공급장치
KR20120006838A (ko) 태양열을 이용한 개방형 난방 및 온수공급 장치
JP3802847B2 (ja) 二次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給湯器
KR100345953B1 (ko) 중앙집중식 난방시스템에서의 폐열회수시스템 및 그 장치
EP2486330B1 (en) High efficiency device for heating environments and heating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KR200184359Y1 (ko) 중앙집중식 난방시스템에서의 폐열회수장치
CN113865092B (zh) 相变储热式热水器以及控制方法
CN2282150Y (zh) 家庭热风供暖器
CN205448402U (zh) 一种直燃机与太阳能耦合的全自动供冷/热及供热水系统
CA2348208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heating water
KR100245532B1 (ko) 태양열 난방 시스템
CN111351222B (zh) 一种燃气壁挂炉
CN215175434U (zh) 一种民用供热锅炉系统
JP2501725B2 (ja) 太陽熱を利用した温水供給システム
KR200267645Y1 (ko) 중앙집중식 난방시스템의 폐열회수기
SU1747807A1 (ru)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
KR19990012019U (ko) 태양열 장치
GB2286654A (en) Apparatus for providing hot water and/or central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