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353Y1 - 낚시용 의자 - Google Patents

낚시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353Y1
KR200184353Y1 KR2019980003463U KR19980003463U KR200184353Y1 KR 200184353 Y1 KR200184353 Y1 KR 200184353Y1 KR 2019980003463 U KR2019980003463 U KR 2019980003463U KR 19980003463 U KR19980003463 U KR 19980003463U KR 200184353 Y1 KR200184353 Y1 KR 200184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ir
rear support
assembled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52U (ko
Inventor
최민섭
Original Assignee
최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섭 filed Critical 최민섭
Priority to KR2019980003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3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의자를 접어두어 휴대의 편리성과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때에는 간단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용 의자에 있어서, 엇갈리게 구성되어 힌지(101)를 중심으로 접철되는 좌,우지지대(1) 및 후방지지대(2), 밴드(71)가 장착되어 신축가능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팔걸이부재(7)가 조립되며 바깥쪽 방향으로 2단 절곡되고 힌지(101)를 중심으로 엇갈리게 접철되는 전방지주(3), 상단 일부분이 후방으로 경사지며 보강재(51)가 형성된 시트부재(5)와 일체로 형성되며 2단의 조립부(61)를 형성한 등받이부재(6)가 조립되는 후방지주(4)와, 상기 좌,우지지대(1), 후방지지대(2) 및 전,후방지주(3,4)가 안착되는 받침대(9)와, 상기 좌,우지지대(1) 및 후방지지대(2)가 안착되며, 전방지주(3) 및 후방지주(4)가 관통되는 고정부(10)와, 상기 후방지주(4)에 조립,해제되는 머리받침대(8)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관 및 운반시 편리하게 하였으며, 조립, 해체가 용이하며 머리받침대와 신축가능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팔걸이를 구성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의자(A fishing chair)
본 고안은 접철이 가능한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의자를 접어두어 휴대의 편리성과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때에는 간단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낚시용 의자에 있어서는 양단으로 X형의 지지대와 이 지지대 상단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부재가 장착된 시트부와 지지대를 받쳐주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X자형 지지대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철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낚시용 의자는 휴대나 보관시의 편리한 점은 있으나 단지 시트부만 구성되어 있어 장시간으로 사용되는 의자 용도에 비하여 허리부분이나 팔 걸이 부분이 없어 편안한 자세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없는 불편함과 장시간 이 의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허리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철이 가능한 의자로서 본 고안과 유사한 선행기술로 제시된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95-10412호 "접철식 소파"에 의하면,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2)로 유착되며 X형으로 형성되는 전방의 절첩지각(3) 후방의 절첩지각(4), 중앙의 절첩지각(5)이 각각의 받침구(6)와 연결구(7)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후방의 받침구(6)와 연결구(7)에는 등받이 지주(8)가 입설되어 구성된 골조(1)가 절첩가능케 이루어 이의 상부에 고정구로서 결착되는 시트부재(9)가 등받이부(10)의 결함홈으로 상기 등받이 지주(8)에 씌워서 구성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골조(1)의 등받이 지주(8)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만곡형상의 절곡부(11)가 연장형성되어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재(9)의 등받이부(10)의 상단이 만곡형성되어지고, 상기 전방의 절첩지각(3)의 양끝단에 위치하는 일측 절첩지각(3)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만곡형상의 팔걸이 연결절곡부(12)를 연장형성하되 상기 시트부재(9)의 등받이부(10)의 양단에 팔걸이 부재(12)가 연결부재로 일측이 봉착되어서 후단에 봉착된 아일릿으로 상기 등받이 지주(8)에 결합 연결되고 선단에 봉착된 결합홈에 의하여 상기 팔걸이 연결절곡부(12)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팔걸이 부분이 항상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어 있어 체형에 따른 가변이 어려우며, 등받이부가 설치되어있어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받쳐줄 수는 있으나 머리부분을 받쳐줄 수 없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없었다.
또한 받침구(6)는 뚜껑(61)을 갖추도록 구성되며 절첩지각(3,4,5) 고정시 뚜껑(61)을 열고 상부에서 고정수단(62)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조립 및 해체에 불편함과 아울러 받침구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점과, 시트부재가 끼워지는 부분에서 봉재선이 대각선으로 봉재되어 있어 실밥이 일어나거나 찢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분리가 가능한 머리 받침대와 높이조절이 가능한 팔걸이부를 구성하여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방지주를 관통하는 시트부재의 보강재를 원형으로 봉재하여 시트부재의 강도를 증가하였으며, 받침대에 지지대를 측면에서 조립 고정하도록 하여 지지대의 고정 및 해체를 손쉽게하며, 지지대의 힌지를 중심으로 접철되도록하여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 낚시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엇갈리게 구성되어 힌지(101)를 중심으로 접철되는 좌,우지지대(1) 및 후방지지대(2), 팔걸이부재(7)가 조립되며 바깥쪽 방향으로 2단 절곡되고 힌지(101)를 중심으로 엇갈리게 접철되는 전방지주(3), 상단 일부분이 후방으로 경사지며 시트부재(5)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부재(6)가 조립되는 후방지주(4)와, 상기 좌,우지지대(1), 후방지지대(2) 및 전,후방지주(3,4)가 안착되는 받침대(9)와, 상기 좌,우지지대(1) 및 후방지지대(2)가 안착되며, 전방지주(3) 및 후방지주(4)가 관통되는 고정부(10)와, 상기 후방지주(4)에 조립,해제되는 머리받침대(8)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지주(4)에 조립되는 등받이부재(6)에는 머리받침대(8)를 후방지주(4)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부(601)와 밀폐부(602)의 2단으로 형성되는 조립부(61)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0)의 위쪽으로 후방지주(4)상에는 링(41)이 장착되며, 이 링(41)의 이동으로 팔걸이부재(7)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팔걸이부재(7)의 하단으로 고무밴드(71)를 장착하여 신축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9)는 일측으로는 홀(91)을, 직각 방향으로는 홈부(92)를 구성하여 상기 홀(91)에는 후방지주(4)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홈부(92)에는 지지대(1,2) 및 전방지주(3)가 안착되며, 고정수단으로 측면에서 지지대(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지주(3)를 관통하는 시트부재(5)는 보강재(51)로 보강되며, 보강재(51)의 관통구(5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봉재부(53)를 구성하여 시트부재(5)의 강도를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낚시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등받이부재의 조립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트부재 보강부의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 팔걸이부재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받침대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접철식 의자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접철식 의자의 측면도
도 8은 종래 접철식의자의 받침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좌,우 지지대
101 : 힌지
2 : 후방지지대
3 : 전방지주
31 : 절곡부
4 : 후방지주
41 : 링
5 : 시트부재
51 : 보강재 52 : 관통구 53 : 봉재부
6 : 등받이부재
61 : 조립부
601 : 관통부 602 : 밀폐부
7 : 팔걸이부재
71 : 밴드
8 : 머리받침대
9 : 받침대
91 : 홀 92 : 홈부
10 : 고정부
이하 본 고안 낚시용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낚시용 의자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는 신축가능한 밴드부(81)가 장착된 머리 받침대(8), 팔걸이부재(7)가 조립되는 전방지주(3), 등받이부재(6)가 조립되는 후방지주(4), 좌,우측 및 후방에서 시트부재(5)를 지지하는 지지대(1,2) 및 상기 지주(3,4) 및 지지대(1,2)를 고정하는 받침대(9)와 고정부(1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머리받침대(8)는 후방지주(4)에 고정, 해체되는 체결봉(도시 없음)이 양단에 구성되며, 신축가능한 다수의 밴드부(81)와 결합되는 머리보호대(8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지주(4)의 상단은 뒷쪽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으며, 등받이부재(6)가 조립되고, 이 등받이부재(6)에는 조립부(61)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조립부(61)는 2단으로 구성되어 그 일단은 밀폐(602)되고 타단은 관통(601)되도록 구성되며 관통되어지는 조립부(601)의 끝단에는 후크(60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상기 전방지주(3)는 바깥쪽 방향으로 2단 절곡되는 절곡부(31)가 형성되며 힌지(101)를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구성되며 절곡부(31)의 끝으로 팔걸이부재(7)가 조립되어진다.
상기 좌,우 및 후방지지대(1,2)는 힌지(101)를 중심으로 엇갈리게 구성되고 접철되어지는 것으로 시트부재(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시트부재(5)와 등받이부재(6)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지지대(1,2)를 고정하는 고정부(10)에 안착되며, 전방지주(3)와 후방지주(4)는 고정부(1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지주(3)가 관통되는 시트부재(5)의 관통구(52)에는 이 관통구(52)를 중심으로 보강재(51)를 장착하고, 이 보강재(51)는 관통구(5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봉재부(53)로 봉재 처리 되어진다. (도 3 참조)
상기 팔걸이부재(7)는 전방으로 전방지주(3)의 절곡부(31)에 끼워져 지지되며, 후방으로는 후방지주(4)에 장착되어진 링(4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단에는 팔걸이부재(7)에 신축을 가능하도록 고무 밴딩(71)이 장착되어 있다. (도 4 참조)
상기 고정부(10)는 지지대(1,2)가 고정되며,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부(10)에는 전방지주(3)가 비스듬히 관통되며,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부(10)에는 후방지주(4)가 관통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9)는 의자의 바닥에 위치하는 것으로, 홀(91)과 이 홀(91)을 중심으로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92)가 구성되며, 홀(91)에는 후방지주(4)가 직각방향의 홈부(92)에는 지지대(1,2) 및 전방지주(3)가 안착되며, 안착되어진 지지대(1,2) 및 전방지주(3)를 측면에서 손쉽게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낚시용 의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머리받침대(8)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등받이부재(6)의 조립부(61)중 밀폐된 조립부(602)에 후방지주(4)를 끼우고 관통되는 조립부(601)는 등받이부재()의 뒷쪽 아랫방향으로 내린 다음 조립부(601)의 끝단에 장착된 후크(603)를 후크고정부(604)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휴식을 위하여 머리받침대(8)를 본 고안의 의자에 조립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등받이부재(6) 조립부(61)의 후크(603)를 후크고정부(604)에서 해제한 다음, 후방지주(4)를 관통조립부(601)에 끼우고 머리받침대(8)의 체결봉(도시 없음)을 후방지주(4)에 끼우면 후방지주(4)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도시 없음)에 체결봉이 걸려 머리받침대(8)가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체형에 따라 팔걸이부재(7)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후방지주(4)에 장착되어진 링(41)을 후방지주(4)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링(41)으로 지지되는 팔걸이부재(7)가 이 링(4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팔걸이부재(7)의 하단에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의 밴딩부(71)가 형성되어 있어, 팔걸이부재(7)에 힘을 가하게되면 팔걸이부재(7)는 탄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이나 보관을 위하여 본 고안의 의자를 접고자 할 경우, 의자의 전방지주(3)와 후방지주(4)를 잡고 안쪽으로 모으면, 각 지지대(1,2)는 힌지(101)를 중심으로 접철되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관 및 운반시 편리하게 하였으며, 조립, 해체가 용이한 머리받침대와 신축가능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팔걸이를 구성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지대를 받침대의 측면에서 고정하도록하여 지지대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과, 보강재의 봉재부를 원형으로 봉재하여 실밥이나 찢어지는 현상을 줄여 제품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엇갈리게 구성되어 힌지(101)를 중심으로 접철되는 좌,우지지대(1) 및 후방지지대(2), 팔걸이부재(7)가 조립되며 바깥쪽 방향으로 2단 절곡되고 힌지(101)를 중심으로 엇갈리게 접철되는 전방지주(3), 상단 일부분이 후방으로 경사지며 시트부재(5)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부재(6)가 조립되는 후방지주(4)와, 상기 좌,우지지대(1), 후방지지대(2) 및 전,후방지주(3,4)가 안착되는 받침대(9)와, 상기 좌,우지지대(1) 및 후방지지대(2)가 안착되며, 전방지주(3) 및 후방지주(4)가 관통되는 고정부(10)와, 상기 후방지주(4)에 조립,해제되는 머리받침대(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주(4)에 조립되는 등받이부재(6)에는 머리받침대(8)를 후방지주(4)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부(601)와 밀폐부(602)의 2단으로 형성되는 조립부(6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의 위쪽으로 후방지주(4)상에는 링(41)이 장착되며, 이 링(41)의 이동으로 팔걸이부재(7)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팔걸이부재(7)의 하단으로 고무밴드(71)를 장착하여 신축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9)는 일측으로는 홀(91)을, 직각 방향으로는 홈부(92)를 구성하여 상기 홀(91)에는 후방지주(4)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홈부(92)에는 지지대(1,2) 및 전방지주(3)가 안착되며, 고정수단으로 측면에서 지지대(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주(3)를 관통하는 시트부재(5)는 보강재(51)로 보강되며, 보강재(51)의 관통구(5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봉재부(53)를 구성하여 시트부재(5)의 강도를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KR2019980003463U 1998-03-10 1998-03-10 낚시용 의자 KR200184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63U KR200184353Y1 (ko) 1998-03-10 1998-03-10 낚시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63U KR200184353Y1 (ko) 1998-03-10 1998-03-10 낚시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52U KR19990037652U (ko) 1999-10-15
KR200184353Y1 true KR200184353Y1 (ko) 2000-06-01

Family

ID=1953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63U KR200184353Y1 (ko) 1998-03-10 1998-03-10 낚시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3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88B1 (ko) * 2000-12-16 2003-11-15 황주환 절첩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52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744B1 (en) Chair back and chair formed therewith
US7178864B2 (en) Foldable chair having a detachable fabric sheet
AU2005244822B2 (en) Mesh chair component
KR100406088B1 (ko) 절첩식 의자
US5362130A (en) Collapsible compact chair with back support for back-packing outdoors use
US3301597A (en) Furniture construction
US10555595B2 (en) Hanging chair having a spreading stick
EP0029854A1 (en) CHAIR.
US7762628B2 (en) Lounge chair cover
US20090261630A1 (en) Convertible Chair
US5842741A (en) Duroswing
JP3059720B1 (ja) 椅 子
KR200184353Y1 (ko) 낚시용 의자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KR200227706Y1 (ko) 접철가능한 휴대용 의자
EP4094630B1 (en) Folding chair
CN213786342U (zh) 一种便于拆装的摇椅
CN218105338U (zh) 一种弹力椅
KR102270091B1 (ko) 접이식 휠체어
CN209862935U (zh) 四脚折叠球形椅
JP5603743B2 (ja) 椅子用カバー
CN217365180U (zh) 一种洗头椅的枕托结构
KR100442760B1 (ko) 절첩식 의자
JP4222793B2 (ja) 椅子及び椅子のカバー
JP2007229371A (ja) 椅子本体及び椅子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