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249Y1 -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 Google Patents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49Y1
KR200184249Y1 KR2019990030049U KR19990030049U KR200184249Y1 KR 200184249 Y1 KR200184249 Y1 KR 200184249Y1 KR 2019990030049 U KR2019990030049 U KR 2019990030049U KR 19990030049 U KR19990030049 U KR 19990030049U KR 200184249 Y1 KR200184249 Y1 KR 200184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ipe
joint device
pipes
fix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철
Original Assignee
유창밸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밸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창밸브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53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held in place by bolts passing through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양단에 볼부와 볼수용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관체와 이와 접속되면서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체들을 상호 회전가능케 결합구성함에 의하여 배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내진성이 부여되어 지진이나 진동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배관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유체이송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에 매개되는 조인트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설비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시 보다 미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A ball joint of pack-cage type}
본 고안은 유체운송용 배관들을 신축성 있게 연결시켜 주는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단에 볼부와 볼수용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관체와 이와 접속되면서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체들을 상호 회전가능케 결합구성함에 의하여 배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내진성이 부여되어 지진이나 진동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배관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유체이송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용 플랜트, 열병합발전소, 빌딩 및 아파트등에서 냉온수, 기름, 가스등 각종 유체를 장거리의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하여 배관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관은 외부온도변화와 운반중인 유체물질이 자체 적으로 갖고 있는 고온과 압력등에 의해 선팽창 및 수축되거나 비틀림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지진 및 충격에 의해서도 배관에는 위와 같은 변형이 유발된다. 따라서, 관의 배설작업시 관의 변형운동을 완화시켜 주는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관접속부위에 균열이 발생하여 유체가 누출되고, 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방지하고자 관의 이음부위에는 신축성 있는 조인트장치를 설치하게 되는 데, 관축과 각을 가지고 있는 진동이나 충격에는 취약한 점이 있어 이와 같은 운동, 즉 열적선팽창과 수축, 운동하는 설비와 고정배관의 연결, 고정설비와 운동하는 배관의 연결 및, 여러각도로 진동하는 지진의 저항감소를 위하여 임의방향으로 회동되는 볼조인트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볼조인트장치는 통상 배관들의 연결부위에 개재되어 배관을 연결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배관들과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품이 배관사이에 개재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배관설치시의 설비비가 상승하는 한편 부품이 많아 배관설비의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한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양단에 볼부와 볼수용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관체와 이와 접속되면서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체들을 상호 회전가능케 결합구성함에 의하여 배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내진성이 부여되어 지진이나 진동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배관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유체이송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배관체 11 : 볼수용부
12 : 볼부 13 : 관부
14 : 플랜지부 20 : 제 1고정체
21 : 볼부 22 : 관부
23 : 고정판부 25a : 앵글관부
30 : 제 2고정체 31 : 볼수용부
33 : 고정판부 35a : 앵글관부
40a,40b : 마감편 50,51 : 볼트
60 : 수용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는 배관들을 접속하여 연결하는 볼조인트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볼부 또는 볼수용부를 갖는 한편, 타단에는 상기 배관과 연결고정되는 고정판부를 구비한 제 1고정체; 및 상기 제 1고정체의 볼부 또는 볼수용부와 회전가능케 접속되는 볼수용부 또는 볼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판부를 갖는 제 2고정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단에는 상기 제 1고정체의 볼부 또는 볼수용부가 선회가능케 수용접속되는 볼수용부 또는 볼부를 구비하는 한편, 타측단에는 상기 제 2고정체의 볼수용부 또는 볼부와 수용접속되어 선회되는 볼부 또는 볼수용부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배관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도면에 예시된 타입은 직선배관형이다.
본 장치(1)는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며 양단이 회전가능케 고정되는 접속부를 갖는 배관체(10)와, 이 배관체(10)의 양단에 접속되어 배관들(미도시)과 연결되는 고정체(20,30)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고정체(20,30)는 배관체(10)의 좌우접속부에 회전가능케 고정되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며, 배관체(10)의 대응부위에 그 접속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접속부를 형성하여 상호 회전조절 및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체(10)는 일단에 볼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데, 이 볼수용부(11)는 내부가 대략 원형을 이루며, 구형의 제 1고정체(20)의 볼부(21)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배관체(10)의 타단에는 구형의 볼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관체(10)의 볼부(12)는 제 2고정체(30)의 볼수용부(31)에 수용되어 회전조절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위의 볼수용부들(11,31)에 볼부들(12,21)이 삽입된 후 이탈하지 않도록 마감판들(40a,40b)로 파지하게 된다. 즉, 마감판들(40a,40b)의 중앙에는 관공(41a,41b)이 형성되어 볼부(12,21)와 연결된 관부(13,22)가 관통하며, 그 외주면을 볼수용부(11,31)로부터 돌출한 플랜지부(14,32)에 맞댄 후에 볼트들(50,51)을 체결하여 볼수용부(11,31)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좌우 한쌍의 제 1,제 2고정체(20,30)는 일측단에 배관체(10)의 접속부에 회전가능케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단에 배관과 연결고정되는 고정판부(23,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판부(23,33)에는 볼트공(24,34)이 천공되어 있어, 이곳을 배관에 고정된 플랜지에 맞댄 후 볼트공(24,34)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배관에 고정하게 된다. 특히, 배관체(10)의 접속되는 접속부로 이 한쌍의 고정체중 제 1고정체(20)에는 배관체(10)의 볼수용부(11)에 삽입고정되는 볼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고정체(30)에는 배관체(10)의 볼부(12)가 삽입고정되는 볼수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도면은 앵글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은 도 1에서 기설명한 구조와 매우 흡사한 구조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그 차이점만을 부각시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과 같은 양단에 볼수용부(11) 및 볼부(12)가 각각 형성된 배관체(10)에 제 1,제 2고정체(20,30a)가 회전가능케 접속고정되어 있는 데, 도 1과의 차이점은 단지 배관체(10)의 볼부(12)가 삽입고정되는 제 2고정체(30a)가 앵글관부(35a)를 갖는다는 데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고정체(30a)는 볼수용부(31a)로부터 관부가 소정곡률로 절곡되어 앵글관부(35a)를 이루면서 그 단부에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판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의 앵글형 볼조인트장치(2)는 배관들의 연결각도를 일정각도로 변경하는 부위에 적용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도면은 더블앵글형 볼조인트장치(3)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에서 기설명한 앵글타입의 고정체(20a,30a)를 배관체(10)의 양단에 장착하여 배관각도를 양측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앵글타입의 제 1,제 2고정체(20a,30a)가 배관체(10)의 볼수용부(11) 및 볼부(12)에 각각 회전가능케 접속고정된다. 물론, 이 제 1,제 2고정체(20a,30a)도 앵글관부(25a,35a)의 개방단에 형성된 고정판부(23a,33a)에 볼트들을 체결하여 배관들과 연결고정된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배관체의 양단에 상이한 볼수용부와 볼부를 형성하였으나, 양단에 동일한 볼수용부 또는 볼부를 형성하고, 그와 대응접속되는 제 1,제 2고정체의 접속부위에 반대의 접속부, 즉 접속되는 배관체의 접속부가 볼수용부일 때는 볼부를 그리고, 볼부일 때는 볼수용부를 갖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배관체를 2개이상 접속연결하여 조인트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도면에서는 유니버설형을 나타내고 있다.
제 1고정체(20b)의 일단에는 배관에 고정된 플랜지와 맞대 고정되는 고정판부(23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판부(23b)에는 볼트공들(24b)이 형성되어 있어 이곳에 볼트들을 체결하여 플랜지의 볼트공에 체결하게 된다. 또한, 제 1고정체(20b)의 타단에는 구형의 볼부(2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부(21b)와 고정판부(23b)는 소정곡률로 절곡된 앵글관부(25b)로 연결되어 있다.
제 1고정체(20b)의 볼부(21b)에는 제 2고정체(30b)가 접속고정되는 데, 이를 위해 제 2고정체(30b)의 대응단에는 볼수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로부터 연결되어 절곡된 앵글관부(35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방단에는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판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 1고정체(20b)의 볼부(21b)가 제 2고정체(30b)의 볼수용부(31b)에 삽입장착시 이탈되지 않도록 볼수용부(31b)의 개방면에는 마감판(40c)을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제 2고정체(20b,30b)가 접속되어 이뤄진 본 유니버셜형 볼조인트장치(4)는 대략 S자를 이루면서 배관의 각도를 변경함은 물론 진동시 배관의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도면에서는 회전조합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한쌍의 고정체들(20c,30c)의 일단에 볼부(21c,31c)를 형성하고, 이 볼부(21c,31c)를 수용하는 수용체(60)를 구비한다. 다시 상세히 부연설명하면,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제 2고정체(20c,30c)의 일측단에는 배관과 체결되는 고정판부(23c,33c)를 형성하고, 그로부터 곡선으로 절곡된 앵글관부(25c,35c)의 단부에는 볼부(21c,31c)를 구성한다. 이 한쌍의 볼부(21c,31c)를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이 볼부(21c,31c)를 양측으로 수용하는 수용체(60)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이 수용체(60)내에서 제 1,제 2고정체(20c,30c)의 볼부들(21c,31c)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제 2고정체(20c,30c) 모두에 볼부(21c,31c)를 형성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체(60)로 결합함에 의하여 본 회전조합형 볼조인트장치(5)는 보다 큰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배관이 연결되는 제 1,제 2고정체(20c,30c)의 고정판부들(23c,33c)이 직각으로 그 면부가 회전조절된 상태로 배관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에 따른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관시공도들이다.
도 6a는 도 1에서 기설명한 구조를 갖는 직선배관형의 볼조인트장치(1)를 개재하여 배관들(70,80)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도면에서 화살표와 같은 진동이나 충격을 볼조인트장치(1)가 완충함에 의하여 배관들(70,80)을 지진등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앵글형의 볼조인트장치(2)로 배관들(70,80)을 연결시켜 화살표와 같은 진동을 완충하고 있으며, 도 6c는 도 3에 기재된 더블앵글형의 볼조인트장치(3)를 사용하여 화살표와 같은 두방향의 진동으로부터 배관들(70,80)을 보호하게 된다.
도 6d는 도 4에서 전술한 유니버설형의 볼조인트장치(4)를 사용한 예로, 이를 사용함에 의해 화살표와 같은 진동을 완충하여 배관들(70,80)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도 6e는 도 5에 개재된 회전조합형의 볼조인트장치(5)를 장착하여 두방향의 직선충격 뿐만 아니라, 회전진동도 완충하여 배관들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는 양단에 볼부와 볼수용부를 일체로 형성한 배관체와 이와 접속되면서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체들을 상호 회전가능케 결합구성함에 의하여 배관의 연결을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장치는 내진성이 부여되어 지진이나 진동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배관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유체이송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관의 연결에 매개되는 조인트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설비도 절감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시 보다 미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Claims (7)

  1. 배관들을 접속하여 연결하는 볼조인트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볼부 또는 볼수용부를 갖는 한편, 타단에는 상기 배관과 연결고정되는 고정판부를 구비한 제 1고정체; 및
    상기 제 1고정체의 볼부 또는 볼수용부와 회전가능케 접속되는 볼수용부 또는 볼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에는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고정판부를 갖는 제 2고정체를 포함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단에는 상기 제 1고정체의 볼부 또는 볼수용부가 선회가능케 수용접속되는 볼수용부 또는 볼부를 구비하는 한편, 타측단에는 상기 제 2고정체의 볼수용부 또는 볼부와 수용접속되어 선회되는 볼부 또는 볼수용부를 구비한 소정길이의 배관체를 더 포함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체는 일단에 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체의 볼수용부에 접속되면서 그와 직선으로 상기 고정판부가 인접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체는 일측단에 상기 배관체의 볼부에 접속되는 볼수용부를 구비하고 그로부터 직선으로 인접되어 상기 고정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체는 일단에 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체의 볼수용부에 접속되면서 그와 직선으로 상기 고정판부가 인접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체는 일측단에 볼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체의 볼부에 접속되고 그로부터 곡선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에 상기 고정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체는 일단에 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체의 볼수용부에 접속되면서 그와 곡선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에 상기 고정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체는 일측단에 볼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체의 볼부에 접속되고 그로부터 곡선으로 절곡되어 그 단부에 상기 고정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체의 일단에 볼부를 그리고 상기 제 2고정체의 일단에도 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부들을 회전가능케 수용고정하는 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체는 다수개가 상호 선회가능케 연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KR2019990030049U 1999-12-28 1999-12-28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KR2001842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803A KR20010061310A (ko) 1999-12-28 1999-12-28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803A Division KR20010061310A (ko) 1999-12-28 1999-12-28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49Y1 true KR200184249Y1 (ko) 2000-06-01

Family

ID=196311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049U KR200184249Y1 (ko) 1999-12-28 1999-12-28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KR1019990063803A KR20010061310A (ko) 1999-12-28 1999-12-28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803A KR20010061310A (ko) 1999-12-28 1999-12-28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42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44B1 (ko) * 2013-08-12 2015-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쿨러파이프의 장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4875A (zh) * 2008-09-24 2010-03-31 卡特彼勒公司 连接组件及其组装方法以及包含该连接组件的移动机械
CN114215950A (zh) * 2021-12-28 2022-03-22 厦门水蜻蜓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出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44B1 (ko) * 2013-08-12 2015-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쿨러파이프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310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3088A (en) Insulating pipe support
US5299840A (en) In-line pressure balanced universal expansion joint
US20090309355A1 (en) Double cover-center cushion decoupler
JP6454024B2 (ja) コンペンセータ
KR200184249Y1 (ko) 팩케이지형 볼조인트장치
CA2339298A1 (en) Flexible fluid-transport pipe joint apparatus
KR101948112B1 (ko)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배관 연결이 가능한 배관용 연결구
CN214331857U (zh) 一种耐高温的非金属膨胀节
PL179994B1 (en) Metal expansion joint and vibration absorbing device for piping systems
AU2007206973B2 (en) Cryogenic gimbal coupling
US4485994A (en) Device for supporting a pipe
KR100334721B1 (ko) 슬립/볼복합조인트장치
JPH07269759A (ja) 伸縮管継手
KR101715942B1 (ko) 신축 가요성 관조인트
KR102185591B1 (ko) 다중 신축이음장치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KR101615898B1 (ko) 배관 커플링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JP7203384B2 (ja) 二重管型継手構造
KR200165085Y1 (ko) 슬립/볼복합조인트장치
KR200172950Y1 (ko) 씽크조인트
CN219588400U (zh) 一种轴向耐冲击膨胀节
KR200443541Y1 (ko) 가변형 관이음 장치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CN220819289U (zh) 一种高强度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