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017Y1 -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 Google Patents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017Y1
KR200184017Y1 KR2019990029407U KR19990029407U KR200184017Y1 KR 200184017 Y1 KR200184017 Y1 KR 200184017Y1 KR 2019990029407 U KR2019990029407 U KR 2019990029407U KR 19990029407 U KR19990029407 U KR 19990029407U KR 200184017 Y1 KR200184017 Y1 KR 200184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racket
handset
hand
pos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오-치아 흐시에
Original Assignee
파오-치아 흐시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오-치아 흐시에 filed Critical 파오-치아 흐시에
Priority to KR2019990029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는 아치 형상의 포지셔너(positioner), 암(arm), 가늘고 긴 브래킷(bracket) 및 브래킷 위에 있는 송수화기를 감싸는 스트랩(strap)을 구비하고 있다. 포지셔너는 소프트 패드(soft pad)가 실장된 바닥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어깨 위에 끼워 맞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포지셔너는 바닥이 개방되어 있는 공동(cavity)을 가지고 있는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는 바(bar)를 구비하고 있다. 암은 공동 내부에 수납되는 상부 및 복수개의 반경 톱니(radial teeth)가 한 측면에 형성된 하부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은 암의 복수개의 반경 톱니와 맞물림하는 복수개의 반경 톱니가 형성되는 한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어깨 위에 송수화기를 편안하게 고정시키고, 자신의 양손을 다 사용하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Hands Free Handset Holder}
본 고안은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전화 통화 중에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다른 일을 하기 위해서 송수화기를 목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자세로 소정의 시간 동안 통화한 후에는 목이 뻣뻣해지는 것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목에서 송수화기가 이따금씩 미끄러지게 되며, 이에 의해 목에 송수화기를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보다 강한 힘을 목에 가하여 전화 통화를 할 것이며, 이로 인해 목을 다치기가 쉽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을 제거하고 완화시킬 수 있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양손을 다 사용하면서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송수화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용적인 용도로 끼워 맞쳐진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송수화기를 실장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송수화기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고안의 앞쪽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고안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8a는 브래킷(bracket)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b는 암(arm)과 브래킷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 단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포지셔너 2 ... 브래킷
3 ... 스트랩 10 ... 소프트 패드
11 ... 바 12 ... 암
21 ... 맞물림 측면 22 ... 나사홀
111 ... 공동 112 ... 스루홀
122 ... 상부 123 ... 돌기
124 ... 중앙 스루홀 125 ... 스크루
126 ... 스프링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송수화기 홀더는 대략적으로 포지셔너(positioner) 1, 브래킷(bracket) 2 및 암(arm) 12를 포함하고 있다. 포지셔너 1은 소프트 패드(soft pad) 10이 실장된 바닥면에 형성되는 아치형 부재로, 사용자의 어깨 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포지셔너 1에는 바닥이 개방되어 있는 공동(cavity) 111을 구비하고 있는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는 바(bar) 11이 실장되어 있다. 바 11은 공동 111과 교통하는 복수개의 스루홀(through hole) 112를 구비하고 있다. 암 12는 바 11의 공동 111 내부에 밀착되게 끼워 맞쳐지도록 구성된 상부 122 및 복수개의 반경 톱니(radial teeth)가 형성된 맞물림 측면 121을 가지고 있는 하부를 구비하고 있다. 암 12의 상부 122의 양측에는 바 11의 복수개의 스루홀 112 각각과 맞물림하기에 적합한 돌기 123이 형성되어 있다. 암 12의 하부는 스프링 126이 끼워 맞쳐지는 중앙 스루홀 124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 2는 2개의 소프트 패드 20이 평행하게 배열된 약간 둥근 바닥면이 실장된 가늘고 긴 부재이다. 브래킷 2는 암 12의 반경 톱니와 맞물림하는 복수개의 반경 톱니가 형성된 맞물림 측면 21, 및 암 12의 중앙 스루홀 124와 중심점이 맞추어진 나사홀(threaded hole) 22를 구비하고 있다. 암 12의 스프링 126 및 중앙 스루홀 124를 통해서 스크루(screw) 125가 연장하여 이 스크르 125가 브래킷 2의 나사홀 22와 맞물림하므로(도 3 참조), 브래킷 2를 바깥쪽으로 약간 당길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브래킷 2를 바 12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바 12에 대해서 브래킷 2를 각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송수화기(도시되었지만 너트(nut)만이 참조번호가 부여됨) 위에 먼저 브래킷 2를 위치시키고, 브래킷 2는 자기 접착제(self-adhesive member)가 양측 단부에 실장된 스트랩(strap) 3에 의해 브래킷 2와 송수화기의 연결을 유지시킨다(도 4 및 도 5 참조). 사용시에, 사용자의 어깨 위에 포지셔너 1을 위치시켜, 사용자의 어깨와 머리 사이에서 송수화기를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편안하고 여유로운 자세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목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송수화기와 포지셔너 1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단지 포지셔너 1를 암 12의 밖으로 당기거나 포지셔너 1를 암 12쪽으로 밀기만하면 된다. 브래킷 2의 각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브래킷 2를 약간 밖으로 당긴 다음에 바 12에 대해서 브래킷 2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간단하다. 이에 의해, 바 12에 대해서 브래킷 2를 각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브래킷 2가 풀어짐에 따라서, 스프링 126은 암 12와 브래킷 2를 억지로 강하게 맞물림시킬 것이다.
이제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화 통화 중에 양손을 자유롭게 하여 다른 일을 하기 위해서 송수화기를 본 고안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 위에 위치시켜, 편안하고 여유로운 자세로 사용자의 양손을 다 쓰면서 통화할 수 있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를 얻게 된다.

Claims (4)

  1. 소프트 패드(soft pad: 10)가 실장된 바닥면 및 개방된 바닥면을 가지고 있는 공동(cavity: 111)이 형성된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는 바(bar: 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어깨 위에 끼워 맞쳐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아치 형상의 포지셔너(positioner: 1);
    상기 공동(111) 내부에 수납되는 상부(122) 및 복수개의 반경 톱니(radial teeth)가 한 측면(121)에 형성된 하부를 구비하고 있는 암(arm: 12);
    상기 암(12)의 상기 복수개의 반경 톱니와 맞물림하는 복수개의 반경 톱니가 형성되는 한 측면(21)을 구비하고 있는 가늘고 긴 브래킷(bracket: 2); 및
    상기 브래킷(2) 위에 있는 송수화기를 감싸는 스트랩(strap: 3)을 포함하고 있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로서,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어깨 위에 송수화기를 편안하게 고정시키고 자신의 양손을 다 사용하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11)에는 복수개의 스루홀(through hole: 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12)의 상기 상부(122)는 양측에서 상기 스루홀(112)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2개의 돌기(12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12)의 상기 하부는 스프링(126)이 끼워 맞쳐지는 중앙 스루홀(124) 및 상기 스프링(126)을 통해서 연장하고 있는 스크루(screw: 12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111)은 상기 암(12)의 상기 상부(122)와 밀착되게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KR2019990029407U 1999-12-23 1999-12-23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KR200184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407U KR200184017Y1 (ko) 1999-12-23 1999-12-23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407U KR200184017Y1 (ko) 1999-12-23 1999-12-23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017Y1 true KR200184017Y1 (ko) 2000-06-01

Family

ID=1960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407U KR200184017Y1 (ko) 1999-12-23 1999-12-23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0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4839A1 (en) Earpiece set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3003597A3 (en) Cellular telephone headset
IN175884B (ko)
US6751331B2 (en) Communication headset
US20020094094A1 (en) Headset device
JPS63503504A (ja) 人間工学的な電話機
JP2002247171A (ja) 携帯電話機
US4367378A (en) Telephone and holding band therefor
US5706345A (en) Over the head hands free phone holder
US6639985B1 (en) Phone with ear hanger assembly capable of being hung on a user&#39;s ear without help from a hand for certain period of time
US7302074B2 (en) Receiver
US6212276B1 (en) Hanging latch hook mechanism for telephones
KR200184017Y1 (ko) 핸드 프리 송수화기 홀더
US20050221762A1 (en) Cellular phone holster
JPH05227078A (ja) 携帯用無線電話機
JPS6216053Y2 (ko)
JP3034953U (ja) 受話器ヘッドホルダ
KR100393325B1 (ko) 휴대폰용 어깨받침장치
KR200485821Y1 (ko)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KR200210685Y1 (ko) 다용도 핸드폰 목걸이줄
WO2002025906A2 (en) A headset
JPH07336419A (ja) 電話機における受送話器のサポータ装置
KR200215255Y1 (ko) 핸즈프리형 전화 송수화기
JPS633247Y2 (ko)
JPH01249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