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771Y1 -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 Google Patents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771Y1
KR200183771Y1 KR2019970033442U KR19970033442U KR200183771Y1 KR 200183771 Y1 KR200183771 Y1 KR 200183771Y1 KR 2019970033442 U KR2019970033442 U KR 2019970033442U KR 19970033442 U KR19970033442 U KR 19970033442U KR 200183771 Y1 KR200183771 Y1 KR 200183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dor prevention
pipe
drain pip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51U (ko
Inventor
예덕자
Original Assignee
예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덕자 filed Critical 예덕자
Priority to KR2019970033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771Y1/ko
Publication of KR980003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에 관한 분야.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 악취방지용 배수구는 동체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거나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한 잇점이 있는 반면에 합성수지로 된 것은 취급 또는 설치시 파손이 잘되고,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배수구는 그값이 고가이어서 손쉽게 구입설치하기 곤란하며 악취방지카바는 다량의 폐수 유입시 뜨게되어 위치가 변경되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배수구 동체 제조시 배수파이프와의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게하고, 여과망과 결합된 악취방지카바가 배수파이프 상단에 걸려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설치사용시 많은 폐수가 한 번에 배출되더라도 여과망과 악취방지카바가 뜨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신뢰성을 극대화 시키는데 고안의 요지가 있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배수구로 사용됨.

Description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본 고안은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배수구 동체 제조시 배수파이프와의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지게하고, 여과망과 결합된 악취방지카바가 배수파이프상단에 걸려 밀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설치사용시 많은 폐수가 한 번에 배출되더라도 여과망과 악취방지카바가 뜨거나 유동하지 않도록하여 신뢰성이 극대화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통상의 악취방지용 배수구는, 배수구 동체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거나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한 잇점이 따르는 반면에 합성수지로 사출형성된 배수구는 취급중 파손이 잘되는 폐단이 따르고,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배수구는 그값이 고가이어서 손쉽게 구입설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따른다.
또한 배수구 동체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관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되는 악취방지카바는 단순히 여과망저면에 메달린 상태로 고정되어있어 많은량의 폐수가 한꺼번에 배출될 때 뜨거나 유동하게 되어 간혹 제위치에서 벗어나기도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악취방지용 배수구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배수구 동체를 프레스로 성형하되, 중앙부에 배수관을 끼워 고정시키고, 배수관 상단부를 외측방향으로 약간돌출성형함과 동시에 여과망에 고정되는 악취방지카바 내측에 지지돌부를 3-4개정도 형성하여 동체와 조립시 악취방지카바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부가 배수관 상단부에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배수구 동체와 배수망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6(a)-(c)도는 배수구 동체와 배수망의 결합부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배수구 동체 2,2′: 상단 플렌지
3,3′: 집수부 4,4′: 배수관
5 : 여과망 6 : 악취방지용 캡
7 : 캡고정용 돌출부 8 : 돌출익편
9 : 연장관
악취방지용 배수구에 있어서, 배수구 동체(1)는 상단플렌지(2)부분 내측에 단턱(2′)을 형성하고, 내부의 집수부(3)중앙부분은 일정한 높이의 구멍으로 돌출시킨 뒤 배수관(4)을 끼워 상기 배수관(4)이 고정되도록 돌출부상단을 배수관(4) 상단 내측으로 접어붙여 형성하되, 상측을 외주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돌출시켜 캡고정용 돌출부(7)를 형성하며, 여과망(5) 저면에는“”형으로 된 악취방지캡(6)을 나사고정시키되, 악취방지캡(6) 내측면에 3-4개정도의 돌출익편(8)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익편(8)이 캡고정용 돌출부(7)에 작용하도록 하였다.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구 동체(1)길이가 길경우를 나타낸 것인데, 이는 집수구(3′)가 깊어 중앙부분을 높이돌출시키기 곤란하므로, 동체(1′) 저면 중앙부로 연장관(9)을 돌출시킨 뒤, 배수관(4′)을 끼워 연장관(9) 하단부를 배수관(4′) 하단내측으로 말아붙여 형성한 것이며, 이 경우 악취방지캡(6)의 길이도 상대적으로 길어져야하고, 또 집수부(3′) 내측에서 배수관(4′)과 연장관(9) 사이에 오물이 끼지 못하도록 용접 또는 수지류 등으로 본딩처리하여 주면된다.
제6(a)-(c)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이는 배수구 동체(1) 내벽면, 즉 집수부(3) 내측에“”형 또는“”형, 또는“”형 등등의 걸림돌부(11)를 일정간격으로 다수를 형성하고, 여과망(5)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11)에 작용하여 걸릴수 있도록“”형, 또는“”형 또는“”형, 또는“”형 등 등의 걸림편(12)을 형성한 것으로, 이경우에는 악취방지 캡(6) 내측면에 돌출익편(8)을 형성할 필요가 전혀없게 된다.
미설명부호 10은 배수관 연결관.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배수구 동체(1)가 짧은 소형 배수구일 경우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동체(1) 프레스 작업시 집수부(3)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뒤 배수관(4)을 끼워 돌출부상단을 배수관(4) 상단내측으로 말아붙여 형성한 것으로 용접부위가 전혀없이 조립할수 있고, 이에따라 외관이 단정하면서 제조 또한 손쉽게 되며 더불어 내구성이 극대화 되게 된다.
또한 여과망(5)에 고정된 악취방지캡(6)의 내측면에 3-4개정도의 돌출익편(8)을 형성하고, 배수관(4) 상단외측으로는 캡고정용 돌출부(7)를 형성하였으므로 악취방지캡(6)이 배수관(4)에 고정될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폐수량이 많아져도 뜨지않게 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제3도와 제4도는, 배수구 동체(1′)가 크고 긴 중형이상의 배수구로서, 이는 집수부(3′)가 깊어 중앙부분을 높이 돌출시키기 곤란한 경우에 동체(1′)저면 중앙부로 연장관(9)을 돌출시킨뒤, 배수관(4′)을 끼워 연장관(9) 하단부를 배수관(4′)하단내측으로 말아붙여 형성한 것이며, 이 경우 집수부(3) 내측에 (배수관(4′)과 연장관(9) 사이의 틈새) 오물등이 끼지 못하도록 수지류등으로 본딩처리하여 주면 매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제6(a)-(c)도는 악취방지캡(6)의 내측면에 돌출익편(8)을 형성하지 않고, 여과망(5) 외주면에 다양한 형상의 걸림편(12)을 형성함과 동시에 배수구 동체(1) 내벽면, 즉 집수부(3) 내측면에 상기 걸림편(12)과 유기적으로 작용할수 있는 걸림돌부(11)를 형성한 것으로써, 이 경우 또한 많은량의 폐수가 한꺼번에 배수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배출시키는 잇점이 따르게 되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배수구 동체(1)(1′)의 제조를 프레스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제조 조립함으로써, 내구성을 극대화시키고, 더불어 많은량의 폐수가 한꺼번에 배수되더라도 악취방지캡이 뜨거나 유동하지 않게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악취방지용 배수구에 있어서, 배수구 동체(1)는 내부의 집수부(3) 중앙부분을 일정한 높이의 구멍으로 돌출시킨 뒤 배수관(4)을 끼워 돌출부 상단을 배수관 상단내측으로 접어붙여 형성한 구성과 배수관(4) 상단외측부분을 외주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돌출시켜 캡고정용 돌출부(7)를 형성한 구성관. 여과망(5)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악취방지캡(6)의 내주면에 3-4개의 돌출익편(8)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동체(1′) 저면중앙부로 연장관(9)을 돌출시킨 뒤 배수관(4′)을 끼워 연장관(9) 하단부를 배수관(4′) 하단내측으로 접어붙인 구성과 배수관(4′)과 연장관 사이에 오물이 끼지 못하도록 용접 또는 수지류등으로 본딩처리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집수부(3) 내측면에“”형, 또는“”형, 또는“”형, 또는“”형 등 등의 걸림돌부(11)를 일정간격으로 2-4개정도 형성하고, 여과망(5)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11)에 작용하여 걸릴수있도록“”형“”형“”형“”형, 또는“”형 등 등의 걸림편(1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KR2019970033442U 1997-11-18 1997-11-18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KR200183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42U KR200183771Y1 (ko) 1997-11-18 1997-11-18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42U KR200183771Y1 (ko) 1997-11-18 1997-11-18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51U KR980003151U (ko) 1998-03-30
KR200183771Y1 true KR200183771Y1 (ko) 2000-06-01

Family

ID=1951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442U KR200183771Y1 (ko) 1997-11-18 1997-11-18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7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94Y1 (ko) * 2013-08-02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용 파이프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용 파이프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94Y1 (ko) * 2013-08-02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용 파이프 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용 파이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51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373B2 (en) Filter element and liquid filter for freeze-endangered liquid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filter element
NL8000517A (nl) Waterafvoerreservoir.
CA2364848A1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full drain slope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0183771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의 구조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0223980Y1 (ko) 배수트랩
KR200380194Y1 (ko) 소켓형 배수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36729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CN215166360U (zh) 无臭味易清理地漏
KR200369491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KR200262219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JPS603176Y2 (ja) 排水トラツプ
KR0123196Y1 (ko) 개폐식 배수전
KR200301755Y1 (ko) 배수트랩
KR200301744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