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88Y1 -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88Y1
KR200183088Y1 KR2019990020607U KR19990020607U KR200183088Y1 KR 200183088 Y1 KR200183088 Y1 KR 200183088Y1 KR 2019990020607 U KR2019990020607 U KR 2019990020607U KR 19990020607 U KR19990020607 U KR 19990020607U KR 200183088 Y1 KR200183088 Y1 KR 200183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olysis
waste tire
oil
waste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벤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877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10087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벤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벤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20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고안은 폐타이어의 고무를 무산소 상태에서 연속 열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를 절단한 폐타이어 스크랩을 열분해 장치에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연속적으로 열분해하여 오일을 생성하는 폐타이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타이어 스크랩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적의 공급관을 구성하고, 열분해부의 구조는 폐타이어 스크랩이 연속적으로 열분해 되도록 원통형 드럼식으로 구성하였으며, 폐타이어 스크랩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응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응착물 제거장치를 구성하고, 고온응축기와 저온응축기를 구성하여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고온유화가스를 포집하여 응축을 통해 오일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열분해부의 입구와 출구에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였으며, 고온응축기의 내부에도 회전하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타르 등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응착물제거장치는 스크랩퍼를 부착하여 응착물제거장치와 스크랩퍼의 자중에 의하여 열분해장치의 내벽면에 완벽하게 밀착하여 열분해물이 효율적으로 게거되도록 구성하였고, 열분해장치의 끝 부분에는 스크류잭으로 구성된 높낮이조절장치를 형성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의 열분해 상태에 따라,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원활하고 연속적인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본 고안은 폐타이어의 고무를 무산소 분위기에서 연속적으로 열분해하여 오일을 생성시키는 폐타이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폐타이어 스크랩을 열분해 장치에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연속적으로 열분해하여 오일과 탄화물을 생성하는 폐타이어의 연속 열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폐타이어 스크랩을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최적 구조의 공급관을 구성함과 동시에 폐타이어 스크랩이 연속적으로 열분해 될 수 있도록 열분해장치를 원통형 드럼식으로 구성하였으며, 폐타이어 스크랩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탄화물이나 금속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랩퍼가 설치된 응착물 제거장치를 구성하였다.
또한, 고온열분해 과정에서 발생한 고온유화가스를 오일로 만들기 위하여 고온응축기와 저온응축기를 구성하였고, 열분해장치의 입구와 출구에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였고, 열분해장치의 끝 부분에는 스크류잭으로 구성된 높낮이조절장치를 형성하여 열분해 상태에 따라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폐타이어의 열분해 장치는 도3과 같이 다단으로 이루어진 열분해로를 이용하여 폐타이어를 미세 절단한 폐타이어 스크랩을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열분해하는 장치가 있는데, 이같은 종래의 폐타이어의 열분해 장치를 도3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세 절단된 폐타이어 스크랩을 투입구(300)에 넣고, 공급통로(302)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03)를 통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을 제1열분해로(305)로 보낸다. 투입구(300)의 하부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오일(301)이 채워져 있다. 이송스크류(303)를 통해 공급된 폐타이어 스크랩은 제1열분해로(305)의 입구(304)로 유입된다. 열분해로는 다단으로 구성하는데, 보통 제1열분해로(305), 제2열분해로(306), 제3열분해로(307), 제4열분해로(308), 제5열분해로(309)로 5단으로 구성되어있다.
열분해로를 5단으로 구성한 것은 가열경로를 길게하여 단계적인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긴 열분해부를 통하여 많은 양의 폐타이어 스크랩이 연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며, 열분해로중 통상 제1열분해로(305)는 예열기능을 하고, 제2열분해로(306)는 승온기능을 하며, 제3열분해로(307)와 제4열분해로(308)와 제5열분해로(309)에서 본격적인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열분해로에 공급하는 열은 팬(311)을 통해 고온열풍을 공급하여 가열하며, 열분해로에서 생성된 고온유화가스는 배출구(310)를 통하여 응축기(313)로 공급된 후 고온유화가스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오일이 생성된다.
제5열분해로(309)에서 최종 열분해된 폐타이어 스크랩은 탄화물이 되어 배출구(314)를 통해 냉각용 냉각 작용을 하는 워터자켓(316)이 부착된 이송스크류(316)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통로를 따라 마그네트롤러(317)에 이송되면 탄화물과 금속물질이 분리되어 금속물은 배출통로(318)를 따라 이송스크류(321)가 설치된 금속배출구(320)로 이송된 후 배출구를 따라 최종 배출되며, 탄화물은 배출통로(319)를 따라 이송스크류(322)와 워터자켓(323)이 설치된 탄화물배출부(324)로 이송된 후 배출구를 따라 배출된다.
이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는 열풍을 팬(311)을 통해 다단으로 구성된 열분해로에 공급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떨어지고, 열분해로(305)(306)(307)(308)(309)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05-1)(306-1)(307-1)(308-1)(309-1)가 열분해가 본격적으로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금속성 물질로 인해 엉킴현상이 일어나 이송스크류의 작동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다발하였다.
또한, 종래의 폐타이어 열분해장치는 입구에는 오일(301)이 차있어 외부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배출부에는 오일을 채운 부분이 없이 배출물질을 연속배출하도록 하여 외부공기를 차단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무산소 열분해를 구현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을 연속 열분해할 수 있도록 적합한 구조로 하였고, 열분해부의 벽면에 응착하는 탄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열분해부의 중심축에 스크랩퍼가 부착된 응착물제거장치를 형성하여 탄화물의 응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온응축기와 고온응축탱크, 그리고 저온응축기와 저온응축탱크를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생성된 오일의 일부는 가열기에 재공급하여 외부연료를 공급받지 않고도 자체 생성한 오일을 이용하여 가열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고온응축탱크에서 생성된 비중이 높은 오일중 일부는 외부공기와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공급관에 채워둔 오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열분해장치의 입구와 출구에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배출되도록 하였으며, 열분해부의 끝부분에는 스크류잭으로 구성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성하하여 열분해의 진행상태에 맞추어 열분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열분해 효율을 높히도록 하였다. 또한, 고온응축기의 내부에는 회전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타르 등 찌꺼기로 인한 응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성된 오일중 일부를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고온응축기 속으로 재순환시켜 응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페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3은 종래의 폐타이어 열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5 : 공급관 122 : 고온응축기
106 : 제1예열부 123 : 응착물제거스크류
108 : 진공펌프 124 : 저온응축기
110 : 제2예열부 130 : 공급스크류
111 : 열분해장치 131 : 배출스크류
114 : 저장용기 132, 134 : 응착물제거장치
119 : 스크류잭 133, 135 : 스크랩퍼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장치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과 도2에 의하면, 먼저 폐타이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폐타이어 스크랩(100)을 만들어 투입구(101)에 넣으면 이송로(102)속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103)가 작동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을 유압투입기(104)에 이송하고, 유압투입기(104)는 유압으로 작동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을 공급관(105)에 전달한다.
공급된 폐타이어 스크랩은 오일(107)이 주입된 만곡부가 형성된 제1예열부(106)를 통과하는데, 만곡부의 오일(107)을 통과하면서 폐타이어 스크랩은 오일이 뭍은 상태로 공급관(105)을 통해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여기서 오일(107)은 열분해장치(111)에서 올라온 폐열에 의해 100℃ 정도로 가열된 상태로 폐타이어 스크랩이 제1예열부(106)를 지나면서 폐타이어 스크랩의 고무가 부풀어 오르는 팽윤과정을 거치게 된다. 공급관(105)은 열분해장치(111)의 상부에 위치토록 하는데 이는 열분해장치(111)의 가열에 사용한 열을 예열에 다시 한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예열부(106)을 지난 팽윤된 상태의 폐타이어 스크랩은 만곡부에 채워진 오일(107)을 통과하면서 팽윤된 상태에서 열분해장치(111)에서 발생한 고온의 유화가스와 접촉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이 다시한번 예열되는 제2예열부(110)를 통과하여 열분해장치(111)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2예열부(110)는 수직 또는 급경사지게 형성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이 낙하하는 동안 효과적으로 응축열로 가열되어 팽윤이 더욱 확산됨과 동시에 2차적인 예열이 일어나도록 구성하였다. 공급관(105)의 일측에는 고온유화가스를 응축기로 전달하기 위한 진공펌프(108)와 응축기에서 생성된 오일을 제1예열부(106)에 공급하도록 하는 오일공급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열분해장치(111)에 들어온 폐타이어 스크랩은 가열장치(112)로부터 높은 열이 공급되면서 흡열분해가 진행되고 폐타이어의 스크랩이 열분해 되면서 발생한 철사와 카본블랙 등은 점차 배출관(113)으로 배출되어, 저장용기(114)로 떨어진다. 본 고안의 폐타이어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는 무산소 상태에서 흡열반응을 일으켜 열분해를 일으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저장용기(114)에는 물(115)이 채워져 있으며, 물(115)은 별도의 냉각수 공급장치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물(115)은 무산소 상태로 흡열반응을 통해 열분해를 실현하는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밀봉역할을 한다. 또한, 물(118)은 열분해로 발생하는 탄화물을 냉각한다. 물(118)속에 떨어진 탄화물은 배출스크류(117)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며, 금속성분과 탄화물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마그네트롤러에서 분리되어 배출된다.
열분해장치(111)의 내부는 중심축(120)이 중앙을 통과하면서 열분해장치(111)와 일체로 동작한다. 중심축(120)에는 관통부(137)(138)를 통과하는 응착물제거장치(132)(134)가 관통부(137)(138)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응착물제거장치(132)(134)의 양 끝단에는 스크랩퍼(133)(135)가 열분해장치(111)의 내벽면과 밀착되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중심축(l2O)에 형성된 관통부(137)(138)를 따라 스크랩퍼(133)(135)가 부착된 응착물제거장치(132)(134)가 회전운동을 하면서 스크랩퍼의 무게인 자중을 받아 스크랩퍼(132)(134)가 열분해장치(111)의 하부 내벽면에 충분하게 밀착되어 열분해 과정에서 응착된 탄화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응착물제거장치(132)(134)는 열분해장치(111)의 입구와 중간 2부분에 설치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 2군데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응착물제거장치(132)(134)는 중심축(120)과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응착물제거장치(132)(134)가 2군데 설치될 경우는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중심축의 힘의 불균형적 분포로 인한 변형과 이로인한 모터의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며, 3개 이상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균등한 위상차를 주어 동일한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응착물제거장치(132)(134)는 열분해장치(111)와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스크랩퍼(133)(135)가 응착물을 충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응착물제거장치(132)(134)의 회전방향은 열분해장치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지만, 반대방향으로 회전해도 응착물을 제거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열분해장치(111)의 내벽면은 입구에서 중앙부까지는 중심축(120)을 중심으로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을 이루다가, 중앙부 근처를 지나면서 원통형 벽면이 점차 직경이 짧아져 좁아지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드럼형상의 열분해장치(111)에서 폐타이어 스크랩가 연속적인 열분해와 열분해된 탄화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열분해가 진행상태에 따라 열분해장치(111)의 회전력과 스크류잭에 의한 높낮이 조절을 통해 탄화물이 배출관(113) 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분해장치(111)의 내부온도는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하였는데, 폐타이어 스크랩의 예열과 승온이 이루어지는 제1구역의 경우는 150℃에서 250℃의 범위로 가열하며, 폐타이어 스크랩의 열분해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제2구역의 경우는 250℃에서 400℃의 범위로 가열하고, 열분해가 이루어져 탄화물이 생성되는 제3구역은 온도가 다시 낮아지면서 400℃에서 300℃로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였다.
한편, 열분해장치(111)의 끝부분에는 연결부(138)를 통해 스크류잭지지대(118)에 결합된 스크류잭(119)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열분해장치(11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탄화물이 원활하게 가열되면서 배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분해장치(111)의 높낮이 조절은 초기작업단계와 연속작업단계와 작업종료단계에 따라 조절하는데, 연속작업상태를 기준으로 높낮이를 조절한다. 폐타이어 스크랩이 초기 투입되어 열분해가 시작되는 초기작업단계에서는 연속작업단계의 평형상태보다 열분해장치(111)의 배출부쪽을 3°에서 7°범위에서 약간 들어 올려주고, 연속적인 열분해가 진행되는 연속작업단계에서는 평형을 유지하며, 작업종료단계에서는 평형상태보다 열분해장치(11)의 배출부 쪽을 3°에서 7°정도 낮추어 줌으로서 열분해된 탄화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지지대(121)는 폐타이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장치의 전체 장치를 고정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열분해장치(111)에서는 고체상태로 들어온 폐타이어 스크랩이 상전이를 통해 기체상태가 되어 고온유화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고온유화가스는 진공펌프(108)를 통해 응축기로 공급된다. 진공펌프(108)에 연결된 응축장치(200)의 고온응축기(122)에는 제1오일저장탱크(125)가 연결되어 있고, 저온응축기(124)에는 제2오일저장탱크(126)가 연결되어 있다. 응축장치(200)는 고온응축기(122)와 저온응축기(124)를 통칭한다.
열분해장치(111)에서 생성된 250℃ 정도의 고온유화가스가 진공펌프(108)를 통해 먼저 고온응축기(122)로 공급된다. 고온응축기(122)에는 250℃의 고온유화가스가 공급되어 응축기에서 150℃까지 온도가 낮아지면서 중질유와 경질유가 동시에 생성되어 제1오일저장탱크(125)에 저장되고, 그중 고온응축기(122)에서 응축되지 않은 중온의 유화가스는 저온응축기(124)로 공급되어 150℃에서 상온으로 온도가 떨어지면서 양호한 품질의 오일이 생성되어 제2오일저장탱크(126)에 저장된다.
한편, 고온응축기(122)에서 생성된 중질유에는 타르 등 찌꺼기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1오일저장탱크(125)의 아랫쪽에 찌꺼기가 상당히 혼재된 오일은 제1예열부(106)에 재공급하여 밀봉과 팽윤용 오일로 이용한다. 찌꺼기가 많은 오일을 밀봉과 팽윤용으로 사용하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폐타이어 스크랩에 밀봉액의 찌꺼기가 부착되어 열분해장치(111)로 다시한번 투입되기 때문에 반복 열분해를 통해 보다 우수한 오일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온응축기(122)의 내부에는 회전하는 응착물제거스크류(123)가 설치되어 있는데, 고온응축기(122)에서 발생한 타르 등 찌꺼기가 응착되어 벽면에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온응축기(122)에서 발생한 찌꺼기를 응착물제거스크류(123)를 통한 강제 제거와 함께, 제1오일저장탱크(125)의 일측면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제1오일저장탱크(125)속의 오일중 찌꺼기가 적은 부분을 고온응축기(122)로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서 불순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밀봉한 상태에서 폐타이어의 고무를 무산소 연속 열분해를 이용하는 폐타이어의 열분해장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와, 폐합성섬유의 열분해 등 고분자 또는 저분자 화합물의 연속 열분해를 통해 오일을 만들거나 탄화하는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폐타이어 무산소 연속 열분해장치는 폐타이어 스크랩을 연속적으로 열분해하여 탄화물과 오일을 생성하는데 최적의 구조를 형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공급관의 구조를 폐타이어 스크랩을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예열부와 제2예열부를 통하여 단계적인 예열과 팽윤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제1예열부는 만곡부를 형성하여 오일을 충진하여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무산소 상태를 만들고 열분해장치에서 공급된 폐열이 예열작용을 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의 고무가 부풀어 오르는 팽윤이 일어나도록 하였으며, 공급관의 상부 일측에는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고온유화가스를 응축기에 공급하여 오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열분해장치의 구조를 드럼식으로 구성하였고, 내부에는 열분해 응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크랩퍼가 달린 응착물제거장치를 설치하였다. 또한, 열분해장치의 입구와 출구에는 이송스크류를 각각 설치하여 폐타이어 스크랩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였다. 셋째, 고온응축기의 내부에도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고온응축기에 존재하는 찌꺼기를 강제 제거함과 동시에 제1오일탱크의 일측면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제1오일탱크 속의 오일중 찌꺼기가 적은 부분을 고온응축기로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서 불순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구성하였다. 넷째, 열분해장치의 후미에는 스크류잭으로 구성된 높낮이조절장치를 형성하여 음식쓰레기의 탄화상태에 따라,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원활하고 연속적인 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섯째, 열분해를 한 후에 발생하는 탄화물을 물이 채워진 저장용기에 배출되도록 구성하였고, 별도로 구성된 냉각수 공급부를 통해 냉각수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물이 채워진 저장용기는 오일이 채워진 제1예열부와 함께 외부공기를 차단하여 무산소 상태를 실현하였다.

Claims (10)

  1. 폐타이어 스크랩 공급관의 만곡부에 오일을 채워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밀봉구조를 한 제1예열부와;
    공급관에 형성된 진공펌프를 통해 고온유화가스가 공급되어 오일을 생성하는 고온응축기와 저온응축기로 구성된 응축장치와;
    원통형 드럼 형상으로 된 폐타이어 고무를 연속적으로 열분해하는 열분해장치와; 열분해된 탄화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물로 채워진 저장용기에 잠기도록 밀봉구조를 한 저장용기로 구성되어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흡열반응을 통해 폐타이어의 고무를 연속 열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관은 열분해장치의 가열에 사용한 폐열을 재이용하여 예열할 수 있도록 열분해장치 상부에 설치하고 만곡부에 밀봉용 오일이 채워진 제1예열부와 경사진 제2예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열분해장치의 입구과 출구에는 폐타이어 스크랩을 공급하는 공급스크류와 열분해된 탄화물을 배출하는 배출스크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열분해장치는 내부에 중심축과 직각으로 연결되고 양끝단에 스크랩퍼가 부착된 응착물제거장치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열분해장치는 팽윤된 폐타이어 고무가 건조되는 150-250℃의 온도분포의 제1구역과 열분해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250-400℃의 온도분포의 제2구역과 온도가 다시 낮아지면서 열분해가 종료되어 탄화물이 생성되는 400-300℃의 온도분포의 제3구역을 형성하여 폐타이어 고무의 연속 열분해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열분해장치의 후미에는 초기작업단계와 연속작업단계와 작업종료단계에 따라 열분해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대와 결합된 스크류잭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중심축에는 관통부를 형성하여 응착물제거장치와 스크랩퍼의 자신의 무게인 자중을 받아 관통부를 슬라이딩하면서 스크랩퍼가 하부의 내벽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열분해장치는 벽면이 입구에서 중앙부까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직경을 이루다가 중앙부를 지나면서 원통형 벽면의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응축장치의 고온응축기에는 고온유화가스와 함께 공급된 타르 등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하는 응착물제거스크류를 형성하고; 오일저장탱크에서 공급한 오일을 순환시켜 찌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응착물제거장치는 2개 이상 설치할 경우 균일한 각도의 위상차를 두어 중심축의 힘의 불균형과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KR2019990020607U 1999-07-15 1999-09-22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KR200183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07U KR200183088Y1 (ko) 1999-07-15 1999-09-22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778A KR20010010087A (ko) 1999-07-15 1999-07-15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KR2019990020607U KR200183088Y1 (ko) 1999-07-15 1999-09-22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778A Division KR20010010087A (ko) 1999-07-15 1999-07-15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088Y1 true KR200183088Y1 (ko) 2000-05-15

Family

ID=2663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607U KR200183088Y1 (ko) 1999-07-15 1999-09-22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57B1 (ko) 2005-12-30 2007-07-06 신경식 폐타이어의 열분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57B1 (ko) 2005-12-30 2007-07-06 신경식 폐타이어의 열분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726B2 (en) Reactor and apparatus for pyrolyzing waste, especially tyre
CA1062192A (en) Conversion of organic waste material
JP5347056B2 (ja) 再生炭素繊維の製造装置及び再生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3616762B2 (ja) 廃棄物炭化炉
US8409406B2 (en) Recycling of tires, rubber and other organic material through vapor distillation
CN206289157U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装置
CN106587552A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方法
KR100945529B1 (ko) 폐플라스틱의 저온 열분해 유화 시스템
CN106746462A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装置
JP3471239B2 (ja) 炭化炉の排出口構造
KR200183088Y1 (ko)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KR20010010087A (ko) 폐타이어 고무의 무산소 연속 열분해 장치
KR101896541B1 (ko) 폐플라스틱 열분해 리액터의 잔여물 제거장치
US2903400A (en) Apparatus for low temperatur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CN104230135A (zh) 含油污泥热解装置
JP5419611B2 (ja) 連続式炭化装置
JP4633216B2 (ja) スクリュー式炭化炉による炭化方法
CN217368415U (zh) 不接触氧气的材料热分解装置
CN114990733A (zh) 再生碳纤维的制造装置和再生碳纤维的制造方法
WO20030573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hydrocarbon fuel products from plastic material
US11407945B2 (en) Heat treatment apparatus
KR200173530Y1 (ko) 음식쓰레기의 연속탄화장치
KR102516681B1 (ko) 커피 찌꺼기의 건조 및 탄화 장치
CN110790273B (zh) 一种基于恒温炭化的制炭工艺
CN212390375U (zh) 一种垃圾加热反应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