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05Y1 -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05Y1
KR200183005Y1 KR2019950028870U KR19950028870U KR200183005Y1 KR 200183005 Y1 KR200183005 Y1 KR 200183005Y1 KR 2019950028870 U KR2019950028870 U KR 2019950028870U KR 19950028870 U KR19950028870 U KR 19950028870U KR 200183005 Y1 KR200183005 Y1 KR 200183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haft
drive
rotary wing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622U (ko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28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05Y1/ko
Publication of KR970018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8Mechanical actuating means actuated by mechanical timing-device, e.g. with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에 방카C유를 공급하는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로서 연료의 미연소에 의한 매연 발생을 억제하고 연소중인 버너의 급격한 압력저하로 인한 실화를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하 수 있는 밸브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밸브 개폐속도 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는 회전날개박스(22)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수직내장되는 구동축(33)과,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상하로 고정되는 정,역회전 날개(23,6)와, 상기 회전날개박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배관(28) 및 소음기(29)로 이루어지는 회전날개부(20)와; 상기 회전날개박스(22)의 일측 외주면에 설치된 전자면(11,12) 및 공기 압력조절기(1,2)와 회전날개박스(2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관(3,13)으로 이루어진 공기압 조절부(10)와; 상부 일측에 회전날개박스(22)의 하루가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33)의 하부가 수직내장되고, 중앙부에 전달축(5)과 타측에 피동축(4)이 수직내장되며, 상기 구동측과 전달축, 피동축 사이에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동기어(32) 및 전달기어(7,9)와 피동기어(8)가 설치되는 기어박스 본체(45)와; 상기 피동축(33)의 상단에 설치되어 밸브(43)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표식기(35) 및 밸브의 개폐완료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4,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조정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조정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회전 압력조절기 2 : 역회전 압력조절기
3,13 : 공기배관 4 : 피동축
5 : 전달축 6 : 역회전날개
7 : 구동전달기어 8 : 피동기어
9 : 피동전달기어 10 : 공기압력조절부
11,12 : 전자변 14,15 : 리미트스위치
22 : 회전날개박스 23 : 정회전날개
32 : 구동기어 33 : 구동축
35 : 표식기 42 : 디스크축
43 : 밸브 45 : 본체
본 고안은 밸브 개폐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밸브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에 벙커C유를 공급하는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로서 미연소에 의한 매연 발생을 억제하고 연소중인 버너의 급격한 압력저하로 인한 실화를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버너에 에어 및 연료를 공급하는 라인에 사용되는 밸브에는 에어로 작동되는 자동밸브 및 수동밸브가 있으며, 보일러 점화시 수동밸브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보일러와 수동밸브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밸브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버너에 공급되는 벙커C유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일러 점화시 자동밸브가 순간적으로 개방되어 다량의 벙커C유가 한꺼번에 버너로 유입됨으로써 미연소로 인한 매연이 다량 발생됨과 동시에 연소중인 버너의 급격한 압력 저하로 실화의 위험성이 수반된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버너 점화시 먼저 현장의 작업자가 수동밸브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운전실 근무자가 자동밸브를 개방시키고, 이 사실을 현장에 연락하여 현장 작업자로 하여금 수동밸브를 서서히 개방시켜 연소중인 버너의 급격한 압력저하를 방지하며 순간적으로 버너에 유입되는 벙커C유를 소량씩 버너에 유입되게 하여 미연소로 인한 매연 발생을 억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상호 교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밸브의 개폐조정을 실시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부하의 가중은 물론 피로도의 상승, 작업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밸브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심적 부담감을 해소하고 운전자가 단독으로 보일러를 점화시키고 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설비를 운용할 수 있는 밸브의 개폐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밸브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내부가 횡방향으로 3분할되어 각각 피동축, 전달축 및 회전날개 구동축이 설치되며, 이들은 서로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전달축에 설치된 구동전달기어 및 상기 전달축의 구동전달기어 하측에 설치된 피동전달기어와 피동축에 고정된 피동기어간의 상호 치합에 의해 연동되게 배설되며, 상기 피동축의 하단에는 밸브연결부에 의해 회전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구동축의 수직연장부 외주연에 상하로 정,역회전날개가 고정되고, 상기 정,역회전날개를 커버하며 상기 본체에 회전날개박스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개박스의 외주연에 공기배출배관 및 소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날개부와; 상기 회전날개박스의 일측 외주연에 상기 정,역회전날개와 연통되게 각각 전자변 및 공기 압력조절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날개박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관이 배설되어 이루어진 공기압조절부와; 상기 피동축의 상단에 설치되어 밸브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식기 및 밸브의 개폐완료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원통형의 회전날개박스(22)가 설치되고, 회전날개박스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하도록 회전날개 구동축(33)이 내장되며, 구동축(33)의 외주면에 상하로 정,역회전날개(23,6)가 부싱을 개재하여 고정되게 연설된다. 이때 정회전날개(23)의 역회전날개(6) 사이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칸막이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정,역회전날개(23,6)에 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날개박스(22)의 좌측 외주면에 상하로 공기배관(13,3)이 연설되고, 공기배관에 흡입되는 공압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변(12,11) 및 정,역회전 압력조절기(1,2)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공기 압력조절기(1,2)는 기계식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소정 압력으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기적으로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어부에서 밸브 개폐속도에 따라 공기 압력조절기에 제어신호를 보내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어박스 본체(45) 상부 일측에는 회전날개박스(22)의 하부가 베어링(34)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회전날개박스에 상하로 수직으로 연장되게 내장되는 구동축(33)은 상단에서 베어링(34)을 개재하여 박스(22) 상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단부에는 탈착가능하도록 분리형 수동핸들(27)을 설치하고 하부는 기어박스 본체(45)의 하부까지 연장시켜 베어링(34)을 개재하여 장착한다.
이때, 기어박스 본체(45)의 일측에는 구동축(33)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피동축(4)을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전달축(5)이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내장되고, 구동축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작은 구동기어(32)를 설치하고, 구동기어와 치합하도록 직경이 큰 구동 전달기어(7)를 전달축(5)의 외주면에 설치하며, 전달축(5) 하부에는 직경이 작은 피동전달기어(9)를 설치하며, 이 피동전달기어와 치합하도록 직경이 큰 피동기어(8)를 피동축(4)의 외주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기어박스 본체(45) 상하로 수직 연장하는 피동축(4)의 상단에 표식기(35)가 설치되며, 피동축(4) 하단에는 밸브 연결부(40) 내부에서 밸브 디스크축(42)이 결합되며 그 하부에 밸브(43)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장착되며, 피동축(4)의 밸브(43) 개폐를 위한 회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표식기(35)의 회전 반경 내에 서로 직각으로 개폐용 리미트스위치(14,15)를 설치하며, 이 리미트스위치(14,15)로 부터의 신호는 전자변(11,12)에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공기 압력조절기(1,2)는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나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밸브(43) 디스크축(42)과 결합된 피동축(4) 상부의 표식기(35)나 기타 적절한 부위에 밸브(43)의 개폐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를 설치하고 속도센서를 통해 검출한 밸브 개폐속도 신호를 제어부에서 수령하여 적정 여부를 판단한 다음에 공기 압력조절기(1,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어 회전날개박스(22)로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조정하여 밸브 개폐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밸브조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실에서 보일러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43)의 개방신호를 보내면 공기배관(13)에 설치된 전자변(12)이 개방되어 공기 압력조절기(1)에서 조정된 공기압에 의해 회전날개 구동축(33)의 상측에 고정된 정회전날개(23) 및 역회전날개(6)가 정회전되고, 회전날개박스(22)로 흡입된 공기는 날개를 회전시킨 후 공기 배출배관(28)을 통해 소음기(29)로 배출된다.
이때, 회전날개(23,6)의 정회전으로 구동축(33)이 구동되고, 구동축(33)의 회전은 구동기어(32) 및 전달기어(7)에 의해 전달축(5)에 전달되며 이로써 피동전달기어(9) 및 피동기어(8)가 회전하고 이어서 피동축(4)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구동축(33)과 피동축(4) 사이의 회전비는 구동기어(32)와 구동전달기어(7), 피동전달기어(9)와 피동기어(8)의 톱니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날개 구동축(33)의 고속회전은 전달축(5)을 통해 감속된 상태로 피동축(4)에 전달되고 피동축(4)의 감속된 회전에 의해 밸브(43)가 서서히 개방되며, 밸브(43) 개방 완료후 피동축(4)의 상단에 설치된 일자형 표식기(35)가 밸브 개방 완료 리미트스위치(14)를 동작시켜 전자변(12)을 닫아 공기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밸브(43) 폐쇄 작동시는 전자변(12) 및 전자변(11)을 작동시키고 정회전 압력조절기(1) 및 역회전 압력조절기(2)에 의해 조정된 공기압을 정회전날개(23) 및 역회전날개(6)에 보내어 이 날개들을 역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은 구동축(33) 및 전달축(5), 피동축(4)에 전달되어 밸브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가 서서히 공급되도록 하여 보일러에 공급된 연료의 미연소에 의한 매연 발생을 방지하고 연소중인 버너의 급격한 압력저하로 인한 실화를 방지하여 설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심리적 부담감 해소 및 운전자 단독의 점화 및 소화관리가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설비를 운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그 내부가 횡방향으로 3분할되어 각각 피동축(4), 전달축(5) 및 회전날개 구동축(33)이 설치되며, 이들은 서로 구동축(33)에 고정된 구동기어(32)와 전달축(4)에 설치된 구동전달기어(7) 및 상기 전달축(4)의 구동전달기어(7) 하측에 설치된 피동전달기어(9)와 피동축(4)에 고정된 피동기어(8)간의 상호 치합에 의해 연동되게 배설되며, 상기 피동축(4)의 하단에는 밸브연결부(40)에 의해 회전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43)를 구비한 본체(45)와; 상기 구동축(33)의 수직연장부 외주연에 상하로 정,역회전날개(23,6)가 고정되고, 상기 정,역회전날개(23,6)를 커버하며 상기 본체(45)에 회전날개박스(22)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개박스(22)의 외주연에 공기배출배관(28) 및 소음기(2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날개부(20)와; 상기 회전날개박스(22)의 일측 외주연에 상기 정,역회전날개(23,6)와 연통되게 각각 전자변(11,12) 및 공기 압력조절기(1,2)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날개박스(2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관(3,13)이 배설되어 이루어진 공기압조절부(10)와; 상기 피동축(33)의 상단에 설치되어 밸브(43)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식기(35) 및 밸브의 개폐완료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4,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속도 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KR2019950028870U 1995-10-14 1995-10-14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KR200183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70U KR200183005Y1 (ko) 1995-10-14 1995-10-14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70U KR200183005Y1 (ko) 1995-10-14 1995-10-14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622U KR970018622U (ko) 1997-05-26
KR200183005Y1 true KR200183005Y1 (ko) 2000-07-01

Family

ID=1942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870U KR200183005Y1 (ko) 1995-10-14 1995-10-14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35B1 (ko) * 2006-09-25 2009-11-24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마그네틱 코일을 이용한 순간 통전식 에어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622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84B2 (en) Actuator for adjusting a rotor blade pitch angle
US4756336A (en) Stove control timer
US3590653A (en) Means for trimming the position of control elements
KR200183005Y1 (ko) 밸브 개폐 속도조정이 용이한 밸브조정장치
CN110017223A (zh) 一种高效节能内燃机气体混合装置
DK174380B1 (da) Indretning til styring af strømmen gennem en kanal
EP0061258A2 (en) Hydraulically-driven oscillating mechanism, particularly for a fire-fighting monitor
US4586884A (en) Pneumatic power tool with speed governor
US3767332A (en) Speed control and cut-off device
CN213421221U (zh) 一种用于燃气商用炉全自动自适应平衡防倒风板
EP0080443B1 (en) Overspeed safety device
JP4245188B2 (ja) 弁駆動装置
US4155679A (en) Irrigation systems control
EP0262883A1 (en) Throttl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US5211194A (en) Fuel control valve
JPH07208638A (ja) タンカー船におけるタンク槽のバルブ開閉装置
CN110671531A (zh) 一种安全性直通阀门启动器
CN218971883U (zh) 一种紧急自控球阀
CN214120003U (zh) 一种基于信号控制的压力容器自动化调节检测控制装置
US4619602A (en) Fail safe automatic flue damper mechanism
CN203296960U (zh) 一种新型的燃气式汽化器
KR200158538Y1 (ko) 밸브의 개폐확인용 게이지
KR100523796B1 (ko) 충격량 제어가 가능한 열풍 밸브
JP2005048565A (ja) 自動水栓装置
US3999223A (en) Flush valve with selected volum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