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21Y1 - 롤러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롤러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21Y1
KR200182921Y1 KR2019990025806U KR19990025806U KR200182921Y1 KR 200182921 Y1 KR200182921 Y1 KR 200182921Y1 KR 2019990025806 U KR2019990025806 U KR 2019990025806U KR 19990025806 U KR19990025806 U KR 19990025806U KR 200182921 Y1 KR200182921 Y1 KR 200182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heel support
guide
wheel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석
Original Assignee
남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우석 filed Critical 남우석
Priority to KR2019990025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가 신발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는 바퀴 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인출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힌지부재가 상기 인출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퀴 지지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고, 탄성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수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상기 인출부재에 설치되며 바퀴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일차 가압하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상기 본체에서 인출하도록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차 가압하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상기 본체로 수납하도록 일정한 거리로 리턴되는 인출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바퀴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어 롤러 스케이트 및 일반 신발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러 스케이트{Roller skate}
본 고안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바퀴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일반 신발로 변환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는 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 별도로 제작한 신발의 밑창에 바퀴를 고정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롤러 스케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일반 신발로 갈아 신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7621호에는 통상의 신발의 밑창에 적당히 합치되도록 본체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에 삽입 및 인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바퀴를 결합시키고, 매직 테이프로 본체와 신발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롤러 스케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 스케이트는 바퀴 지지대를 요입홈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바퀴를 요입홈으로부터 인출하여 롤러 스케이트로 사용하고, 이때 바퀴 지지대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보행시에는 바퀴 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을 누르고 바퀴 지지대를 요입홈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바퀴를 요입홈에 삽입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는 요입홈에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바퀴 지지대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바퀴를 요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손으로 바퀴 지지대를 잡고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회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는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바퀴 지지대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 롤러 스케이트를 타다가 바퀴에 비틀림력 또는 충격력이 작용하는 경우 바퀴가 본체 내부로 쉽게 인입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롤러 스케이트 사용자는 넘어질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바퀴를 본체 안으로 삽입하거나, 본체에서 인입하여 사용이 편리하여 필요에 따라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일반 신발로 사용할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에서 인출된 바퀴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다시 본체 안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가 신발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는 바퀴 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인출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힌지부재가 상기 인출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퀴 지지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고, 탄성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수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상기 인출부재에 설치되며 바퀴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일차 가압하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상기 본체에서 인출하도록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차 가압하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상기 본체로 수납하도록 일정한 거리로 리턴되는 인출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롤러 스케이트 신발을 신고 서 있는 상태에서 본체를 지면이나 벽에 부딪히면, 인출부재 이동수단은 가압력이 인입되어 인출부재를 리어측으로 밀고, 상기 인출부재가 리어측으로 밀리면서 힌지부재가 회전하여 바퀴 지지체를 하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본체에 수납되어 있던 바퀴가 본체 외측으로 인출되어 롤러 스케이트가 된다. 롤러 스케이트를 본체 내로 수납하기를 원할 때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면이나 벽에 본체를 부딪히면 인출부재 이동수단이 인출부재를 프론트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탄성부재가 바퀴 지지체를 본체의 내부로 가압하여 바퀴가 본체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다. 그러면 바퀴가 본체에 수납되고 일반 신발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롤러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롤러 스케이트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 스케이트의 본체부와 신발을 분리하여 본체부를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롤러 스케이트의 롤러가 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롤러 스케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신발(1)과 본체(3) 그리고 인출부재(5) 및 인출부재 이동수단(7)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신발(1)은 저면에 본체(3)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는 내부에 바퀴(9, 11, 1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3)는 신발(1)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가이드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는 상기 가이드 홈(15)의 양측 옆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 레일(17, 19, 21, 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또 다른 가이드 홈(25, 27, 29, 3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 홈(25, 27, 29, 31) 중 가장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25, 31)은 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리어측 끝을 중앙부 측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7, 19)과 또 다른 가이드 레일(21, 23)은 각각 리어측 부분을 서로 연장하여 연결한 걸림턱(33, 3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15)은 상기 가이드 홈(15)의 상면과 단차가 지도록 또 다른 홈(15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15a)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체(3)의 수평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2개의 또 다른 가이드 홈(37, 또 다른 부분의 부호는 생략하고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편의상 하나만을 예로 설명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37)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9)이 개재되고, 이 압축 코일 스프링(39)에 탄지되도록 방향안내부재(51)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방향 안내부재(51)는 상기한 가이드 홈(37)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된다. 상기 방향안내부재(51)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론트 측을 향하는 부분이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15)의 가운데 부분 측으로 경사지는 빗면(51a)을 구비하고 있으며, 리어측 부분은 일부가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51b)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는 방향안내부재(51, 53)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향 안내부재(51, 53)는 각각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15)에는 가압부재(61)가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61)는 가이드 홈(15)에 삽입되며 선단이 본체(3)의 프론트 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63)와, 상기 연장부(63)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가이드 레일 (17, 19, 21, 23) 및 가이드 홈(27, 29)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6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부(65)는 저면에 상술한 가이드 레일(17, 19, 21, 23) 및 가이드 홈(27, 29)과 대응하도록 각각 가이드 돌기(67, 69, 71, 73)와 홈(75, 77, 79, 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61)는 상기 이동부(65)의 리어측 가이드 돌기(67, 73)와 일체로 결합되는 리턴부재(83, 8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턴부재(83, 85)는 상기 가압부재(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일체로 결합시킬 수 도 있다. 그러나 상기 리턴부재(83, 85)는 상기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25, 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본체(3)의 가이드 홈(27, 29)에는 각각 스프링(87, 89)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87, 89)은 일단이 가압부재(61)의 이동부(65)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69, 71)에 밀착되고, 타단은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3, 35)에 밀착되어 반력이 작용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재(61)는 이동부(65)의 리어측에 가이드 홈(15)을 따라 프론트 및 리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인출부재(5)가 배치된다.
상기 인출부재(5)는 프론측에서 일정한 거리가 띄어진 부분의 외주에 수납홈(101, 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101, 103)은 인출부재(5)의 양측면 및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101, 103)은 그 깊이가 상기 인출부재(5)의 선단과 중앙부 측면이 h만큼 단차를 이루고 있고, 중앙부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단차의 높이 h만큼 더 파여져 있다. 즉, 인출부재(5)의 선단 측면으로부터 수납홈(101, 103)의 깊이는 2h가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01, 103)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방향전환부재(105, 107)가 수납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105, 107)는 측면이 h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저면으로 연장되어 대략 'L'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재(105, 107)는 저면에 상술한 방향안내부재(51, 53)의 외면 또는 상면에 접촉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105a, 107a)가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부재(105, 107)는 저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09)이 개재되어 각각 서로 이탈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한편 상기 인출부재(5)는 리어측 측면에 크기가 서로 다른 홈(151, 153, 155, 1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51, 153, 155, 157)에는 밀착부재(159, 163)가 스프링(161, 165)에 의하여 밀착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홈(151, 153, 155, 157)과 밀착부재(159, 163)는 인출부재(5)가 이동할 때 초기에 세팅된 거리만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출부재(5)를 프론트 측 또는 리어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인출부재(5)는 저면에 복수의 힌지부재(201, 203)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201, 203)는 일측에 리어측 방향으로 곡선면(201a, 203a)을 가지며 힌지부재(201, 203)를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돌기(201b, 203b)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기(201b, 203b)는 본체(3)의 공간의 측면에 상, 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도시생략)을 형성하여 이 가이드 홈에 걸리어 힌지부재(201, 203)를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재(201, 203)의 아래에는 바퀴 지지체(41)가 배치되는데, 상기 바퀴 지지체(41)는 상술한 본체(3)의 공간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 하 이동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 지지체(41)는 복수의 스프링(221, 223, 225, 227)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221, 223, 225, 227)은 일단이 본체에 탄지되며 타단이 상술한 바퀴 지지체(41)에 탄지되어 바퀴 지지체(41)를 본체(3)의 공간으로 수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롤러 스케이트의 작동과정을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a 내지 도8d, 그리고 도 9, 10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바퀴 지지체(41)가 본체(3)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도 7a). 롤러 스케이트 신발을 신고 있는 사용자가 벽 또는 지면에 본체(3)의 프론트에 돌출되어 있는 가압부재(61)의 연장부(63)를 가격하면, 연장부(63)는 본체(3)의 가이드 홈(15)을 따라 리어측으로 이동하고, 이동부(65)는 본체(3)의 가이드 레일(17, 19, 21, 23)에 홈(75, 77, 79, 81)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므로 리어측으로 역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87, 89)은 압축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연장부(63)는, 도 7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동거리 l 만큼 이동한다. 이때 인출부재(5)는 상기 가압부재(61)에 의하여 리어측으로 밀릴 때 방향전환부재(105, 107)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05a, 107a)가 동시에 밀리면서 빗면(51a)을 따라 도 8a 상태에서 도 8b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05a, 107a)의 이동에 따라 방향 전환 부재(105, 107)는 인출부재(5)의 수납홈(101, 103)으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리턴부재(83, 85)는 가압부재(61)에 의하여 밀리면서 본체(3)의 가이드 홈(25, 31)의 굴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방향전환부재(105, 107)가 수납되기 전에 위치했던 공간으로 삽입된다(도 7b 참조). 이러한 상기 리턴부재(83, 85)의 작동은 자유단부가 상기 본체(3)의 가이드 홈(25, 31)에서 상기 방향전환부재(105, 107)와 길이 l 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계속해서 스프링(87, 89)은 압축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가압부재(61)를 초기 위치로 길이 l 만큼 리턴시킨다. 이때 리턴부재(83, 85)는 상기 가압부재(61)에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압부재(61)가 프론트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본체(3)의 가이드 홈(25, 31)을 따라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리턴부재(83, 85)의 자유단부가 위치에 있던 부분이 공간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105, 107)가 압축 코일 스프링(109)에 의하여 서로 떨어지는 방향 즉, 인출부재(5)의 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리턴부재(83, 85)는 자유단측이 방향전환부재(105, 107)의 리어측에 접촉된다(도 7c에 도시하고 있음). 그리고 도 8c와 같이 방향전환부재(105, 107)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05a, 107a)가 방향안내부재(53)의 경사면(51b)의 리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출부재(5)가 리어측으로 이동하면 힌지부재(201, 편의상 하나만을 예를 들어 설명함)의 곡선면(201a)이 본체(3)의 공간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밀착되면서 회전돌기(201b)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201b)가 회전함에 따라 힌지부재(201)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자유단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퀴 지지체(41)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바퀴 지지체(41)는 본체(3)의 가이드 홈을 따라 본체(3)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퀴가 본체(3)에서 인출된다.
사용자가 바퀴 지지체(41)를 본체(3) 내로 인입하고자 할 때는, 벽면 또는 지면에 가압부재(61)가 본체(3)에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63)를 다시 한번 가격하면 가압부재(61)가 스프링(87, 89)의 탄성력을 이기고 l/2 만큼 리어측으로 이동한다(도 7d). 그러면 상기 가압부재(61)와 연결되어 있는 리턴부재(83, 85)는 자유단이 방향전환부재(105, 107)를 가압하여 인출부재(5)를 프론트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인출부재(5)가 프론트 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l/2이다. 상기 인출부재(5)가 프론트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방향전환부재(105, 107) 역시 프론트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방향전환부재(105, 107)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05a, 107a)는 방향안내부재(51, 53)의 경사면(51b)을 타고 프론트 측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도 8d). 이와 같이 인출부재(5)가 프론트 측으로 l/2만큼 이동하면 힌지부재(201, 203)가 원위치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대략 45°정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바퀴 지지체(41)를 탄지하고 있는 복수의 스프링(221, 223, 225, 227)에 의하여 힌지부재(201, 203)는 원위치 되는 방향으로 완전하게 밀린다. 그러면 상기 인출부재(5)는 프론트측으로 나머지 l/2이 더 이동하여 바퀴 지지체(41)가 본체(3)의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다. 따라서 바퀴가 본체(3)에 수용되어 일반 신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롤러 스케이트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 간편하게 바퀴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어 롤러 스케이트 및 일반 신발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퀴가 인출된 상태에서 롤러 스케이트의 사용 중에 외력에 의하여 바퀴가 본체로 인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신발의 저면에 결합되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바퀴 지지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신발 사이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부재의 이동에 따라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바퀴 지지체를 가압하여 상기 바퀴 지지체가 상기 본체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바퀴 지지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 지지체가 상기 본체에 수용될 때 상기 바퀴 지지체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상기 인출부재에 설치되며 바퀴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일차 가압하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상기 본체에서 인출하도록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차 가압하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바퀴 지지체를 상기 본체로 수납하도록 일정한 거리로 리턴되는 인출부재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롤러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프론트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뒤쪽에 연장 또는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 길이 방향에서 중앙부로 굴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 홈에 수납되어 상기 바퀴가 상기 본체에 수납될 때 상기 인출부재를 프론트 측 방향으로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에 탄지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항상 원위치 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제1, 2 탄성부재와;
    상기 바퀴 지지체가 상기 본체에서 인출될 때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리어측으로 밀리고, 상기 바퀴 지지체가 상기 본체에 수납될 때 상기 리턴 부재에 의하여 프론트 측으로 이동하며, 외측면에 수납홈을 구비하고 있는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수납홈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인출부재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저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방향전환부재와;
    상기 방향전환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 또는 상기 리턴부재에 의하여 상기 인출부재의 폭 방향으로 상기 방향전환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3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 저면에 상기 가이드 홈면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또 다른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에 상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며, 상기 방향전환부재의 가이드 돌기와 마찰 접촉하여 상기 인출부재의 전, 후진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한 쌍의 방향 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롤러 스케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리어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방향 전환부재가 상기 인출부재의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빗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프론트 측으로 이동할 때 상면을 타고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 리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 스케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리어측 양측면에 상기 인출부재가 프론트 측으로 이동할 때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대응하는 밀착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되는 롤러 스케이트.
KR2019990025806U 1999-11-23 1999-11-23 롤러 스케이트 KR200182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06U KR200182921Y1 (ko) 1999-11-23 1999-11-23 롤러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06U KR200182921Y1 (ko) 1999-11-23 1999-11-23 롤러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21Y1 true KR200182921Y1 (ko) 2000-05-15

Family

ID=1959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806U KR200182921Y1 (ko) 1999-11-23 1999-11-23 롤러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060A (en) Shoe with detachable heel structure
US6409207B1 (en) Swivel draw bar structure of a suitcase
US5208116A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personal computer
US20100254751A1 (en) Telescoping pole system
US5662296A (en) Controlling means of a golf bag stand
US5887360A (en) Adjustable heel assembly and shoe including the same
US11375788B2 (en) Luggage with support
US20210240058A1 (en) Combination of holder and selfie stick
US6859981B2 (en) Fine adjustable sliding buckle
ITMI20091419A1 (it) Talloniera a piu' posizioni ed aggancio/sgancio facilitato per attacchi da sci alpinistico.
US6609271B2 (en) Locking device for handle assembly with multiple stages
US20110195823A1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KR200182921Y1 (ko) 롤러 스케이트
KR102531444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S62253001A (ja) スキ−靴
KR200494472Y1 (ko) 다이얼타입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배낭
KR102109273B1 (ko) 신발 정리기구
EP2366304A2 (en) Bag having a handle unit with improved precision of an extendable length
CN107307497B (zh) 头盔扣
IT9020353A1 (it) Scarpone da sci munito di dispositivo per impedire il bloccaggio automatico del gambale durante la marcia
KR100893362B1 (ko) 속눈썹 뷰러
KR200171958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CN203676336U (zh) 一种杆杖的手柄
US5813690A (en) Element for holding a boot in position on a ski
CN203105900U (zh) 一种杆杖的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