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350Y1 - 조립식 장식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장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350Y1
KR200182350Y1 KR2019990028213U KR19990028213U KR200182350Y1 KR 200182350 Y1 KR200182350 Y1 KR 200182350Y1 KR 2019990028213 U KR2019990028213 U KR 2019990028213U KR 19990028213 U KR19990028213 U KR 19990028213U KR 200182350 Y1 KR200182350 Y1 KR 200182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upport
panel
pres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진 filed Critical 박상진
Priority to KR2019990028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배열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레버가 장착된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그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판넬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식장은 실내공간이 협소할 경우 가로길이를 적합하게 가변할 수 있어 불필요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판넬들의 높이를 사용자의 요구 및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식장을 한 사람이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으며, 장식장의 운반시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장식장{Show case}
본 고안은 실내공간에 따라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판넬들의 높낮이와 장식장의 폭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장식장의 운반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륵 한 조립식 장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일정한 실내공간에 설치된 장식장은 가로 및 세로의길이가 정형화된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며, 장식장의 내부에는 서적 또는 전자제품을올려놓기 위하여 다수의 판넬들이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고정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장식장을 설치한 후 서적 또는가전제품을 장식장의 고정된 판넬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제작된 장식장은 가로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공간이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는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장식장과 벽 사이에 활용할 수 없는 공간이 생기며, 장식장에 고정된 판넬들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고정됨에 따라서 부피가 큰 제품들을 올려놓을 수 없고, 타 장소로 운반시 장식장 전체를 이동시킴으로써 파손 및 노동력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장의 가로길이를 실내공간에 적합하게 가변할 수 있어 불필요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판넬들의 높이를 사용자의 요구 및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장식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 사람이 장식장을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고, 장식장의 운반시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조립식 장식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식장의 구성요소인 제1판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3판넬을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와 프레임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장 12 : 높이조절공
14A,14B,14C,14D,14E : 지지대 16 : 보강대
18 : 높이조절레버 20,30,42 : 제1,2 및 제3판넬
22,34,44 : 플레이트 24,34,46 : 받침대
26 : 방지대 40 : 옷걸이봉
48 : 앵글 50 : 로커
52 : 훅 54 : 프레임
56 : 거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배열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레버가 장착된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그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판넬들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따른 조립식 장식장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립식장식장의 구성요소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식장의 지지대와프레임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장(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의 높이조절공(12)이 일대일 방식으로 배열 형성된 지지대(14A)(14B)(14C)(14D)(14E)들과 이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판넬(20)(30)들로 구성되며, 지지대(14A)(14B)(14C)(14D)(14E)에 나사결합되고 그의 하단에 옷걸이봉(40)이 고정된 제3판넬(42)과, 지지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거울(56)이 포함된다.
지지대(14A)(14B)(14C)(14D)(14E)들은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철구조물로서 '∩'형상으로 절곡되며, 지지대(14A)(14B)(14C)(14D)(14E)의 하단부에는 제1 및 제2판넬(20) 위에 올려진 제품의 하중에 의해서 지지대가 벌어지거나 또는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보강대(16)가 고정된다. 또한, 지지대(14A)(14B)(14C)(14D)(14E)에는 장식장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레버(18)가 장착된다.
제1판넬(20)들은 도 3에서와 같이 그의 하단에 한 쌍의 플레이트(22)가 고정된 받침대(24)와 받침대(24) 상단에 고정되어 서적 및 비교적 하중이 가벼운 제품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대(26)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22) 양측단에는 받침대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됨과 동시에 나사가 조여지도륵 나사공(22a)을 갖는 접촉편(22b)이 절곡된다.
제2판넬(30)들은 받침대(32)와 이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며, 그의 양측단에 나사공(34a)이 형성된 접촉편(34b)이 절곡된 한 쌍의 플레이트(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판넬(30)들은 비교적 부피가 큰 가전제품을 올려놓기 위하여 제1판넬(20)보다 가로길이(L)가 길다.
한편, 장식장(10)에는 여러벌의 옷을 걸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옷걸이봉(40)이 고정된 제3판넬(42)이 지지대(14D)(14E)의 최상단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제3판넬(42)은 한 쌍의 플레이트(44)가 고정된 받침대(46)와 플레이트(44)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받침대(46)의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어 옷걸이봉(40)을 장착하기 위한 앵글(4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대(14A) 또는 제3판넬(42)이 결합된 지지대(14E) 중에서 적어도어느 일면에는 로커(50)가 설치되며, 이 로커(5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훅(hook)(52)이 일체로 고정된 프레임(54)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레임(54)에는 거울(56)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프레임(54)은 장식장(10)의 전체적인 조화를 위해 지지대(14A)(14B)(14C)(14D)(14E)들과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의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판넬(20)(30) 하단에 한 쌍의 플레이트(22)(34)를 나사로 조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대(14A)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2)과 접촉편(22b)의 나사공(22a)을 일치시킨 후 나사로 조여 제1판넬(20)의 일면을 지지대(14A)의 안쪽면에 결합시키고, 제1판넬(20)의 타면은 다른 지지대(14B)에 나사결합하여 2개의 지지대(14A)(14B)를 1조로 제작한다. 그 후, 제1판넬(20)의 상부에는 각각의 제1판넬(20) 위에 올려놓을 제품의 부피에 적합한 공간을 갖도록 제1판넬(20)들을 순착적으로 결합한다. 이때, 하중이 가벼운 제품 예를들어 서적들은 제1판넬(20)에 고정된 방지대(26)에 걸려 장식장(10)의 유동 발생시 전방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대(14A)(14B)의 하부에 결합된 제1판넬(20)의 하방에는 부피가작은 내용물을 담기 위한 통상의 서랍(60)을 장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베이스판(62)을 최하단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큰 전자제품등을 올려놓을 경우에는 제1판넬(20)들이 결합된 1조의 지지대(14A)(14B)와 또 다른 1조의 지지대(14C)(14D) 사이에 제2판넬(30)을 상술한 방법으로 나사결합한다. 이때, 제2판넬(30)들은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1판넬(20)에 대해 수평선상을 이루지 않도록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장식장(10)의 일측으로 여러벌의 옷을 보관하기 위한 제3판넬(42)과 거울(56)을 결합할 경우에는 지지대(14D)와 또 다른 지지대(14E)에 각각 형성된 높이조절봉(12)의 최상단에 제3판넬(42)의 일면과 타면을 각각 나사결합하고, 프레임(54)의 훅(52)을 지지대(14E)의 로커(50)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 프레임(54)에 포함된 거울(56)을 사용한다.
이와같이 장식장(10)의 조립이 완료되면, 각각의 지지대(14A)(14B)(14C)(14D)(14E)에 장착된 높이조절레버(18)를 조절하여 장식장(10)의 전후 및 좌우의 균형을 잡은 다음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제1,2 및 제3판넬(20)(30)(42) 위에 올려놓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조립한 장식장(10)의 크기 즉, 가로길이 보다 실내공간이 협소할 경우에는 1조 또는 3개의 지지대(14A)(14B)(14C)에 제1판넬(20)들만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실내공간의 크기에 관계없이 장식장(10)을 설치하거나 또는 3개의 지지대(14A)(14B)(14C)에 제1 및 제2판넬(20)(3O)들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장식장(10) 보다 실내공간이 클 경우에는 지지대 및 각각의 판넬들을 실내공간에 적합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에 의하면, 장식장의 가로 폭을 실내공간에 적합하게 가변할 수 있어 불필요한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판넬들의 높이를 사용자의 요구 및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을 뿐아니라, 장식장을 한 사람이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으며, 장식장의 운반시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배열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레버가 장착된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그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판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조립식 장식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에는 여러벌의 옷을 걸기 위한 옷걸이봉이 고정된 제3판넬의 일면이 다른 지지대에 의해 나사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지지대에 대해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식장.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및 제3판넬의 일면이 결합된 지지대 중에서 적어도 어느 지지대 일측에 거울을 포함한 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식장.
KR2019990028213U 1999-12-14 1999-12-14 조립식 장식장 KR200182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213U KR200182350Y1 (ko) 1999-12-14 1999-12-14 조립식 장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213U KR200182350Y1 (ko) 1999-12-14 1999-12-14 조립식 장식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350Y1 true KR200182350Y1 (ko) 2000-05-15

Family

ID=1960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213U KR200182350Y1 (ko) 1999-12-14 1999-12-14 조립식 장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3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21B1 (ko) * 2011-04-21 2013-04-12 황민홍 거울이 구비된 간이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21B1 (ko) * 2011-04-21 2013-04-12 황민홍 거울이 구비된 간이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569B2 (en) Adjustable door-mounted rack
KR200470599Y1 (ko) 조립식 선반
KR200182350Y1 (ko) 조립식 장식장
US4183488A (en) Brackets for constructing temporary or moveable shelving
US20030005863A1 (en) Table assembly with adjustable storage accessories
US20070204844A1 (en) Adjustable Grill Island Frame
US2546587A (en) Rack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CN108272235B (zh) 一种模块置物架
KR10206677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주방용 선반 기구
JP3091239U (ja) 組立式多機能物品収納キャビネット
CN217695665U (zh) 一种落地式置物架
CN208463357U (zh) 一种组合式置物架
CN221044723U (zh) 一种饰品角落架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CN219206287U (zh) 一种适用于不同高度橱柜的酒柜
CN215304206U (zh) 多功能桌柜
CN208658224U (zh) 一种框架式衣柜
JPS6130513Y2 (ko)
KR200374405Y1 (ko) 가구의 수납용 서랍의 선반행거구조
KR200147542Y1 (ko) 접이식선반대
JP2001204551A (ja) 家具に用いられるオプション取付構造
KR930003947Y1 (ko) 식기 건조장치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200165453Y1 (ko) 접철식 다단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