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316Y1 -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316Y1
KR200182316Y1 KR2019990027769U KR19990027769U KR200182316Y1 KR 200182316 Y1 KR200182316 Y1 KR 200182316Y1 KR 2019990027769 U KR2019990027769 U KR 2019990027769U KR 19990027769 U KR19990027769 U KR 19990027769U KR 200182316 Y1 KR200182316 Y1 KR 200182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electric pressure
hinge
pressure cooker
hing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2Devices for holding lids in open position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이 개방되는 과정에서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는 뚜껑(14)이 열릴 경우 힌지 스프링(20)의 일단이 그 내부로 인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14)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된 지지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댐핑수단은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직선형 슬롯(22b)과, 상기 양 직선형 슬롯(22b)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는 한 쌍의 사선형 슬롯(22c)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에 의하면 뚜껑(14)의 개방 시, 뚜껑(14)의 개방각도가 일정치를 초과하는 순간부터는 힌지 스프링(20)의 일단이 지지브라켓(22)과 마찰되고 이에 의해 힌지 스프링(20)의 회동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뚜껑(14)이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등, 밥솥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HINGE DEVICE FOR LID OF ELECTRIC INDUCTION HEATING TYPE RICE COOKER}
본 고안은 전기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이 개방되는 과정에서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압력밥솥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취사작용을 행하며, 오븐 내부를 고압으로 유지하여 가열온도를 정상기압에서 보다 높게 함으로써 취사공정을 신속히 이루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오븐(10)과, 상기 오븐(10)이 안착되는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를 개폐하는 뚜껑(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2) 내에는 오븐(10)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뚜껑(14)에는 오븐(10)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 배출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전기장치는 취사 시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워킹코일(working coil)과, 보온 시에 비교적 약한 발열작용을 행하는 히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 압력밥솥에 의하면 상기 워킹코일에 의해 오븐(10)에 와전류가 유도되고, 와전류로 인해 오븐(10)이 가열됨으로써 취사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취사공정에서는 뚜껑(14) 내측부가 오븐(10)의 상단에 밀착되고, 증기 배출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밥물이 끓게 되면 증기발생으로 인해 오븐(10) 내부의 압력이 정상기압 보다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밥물의 온도 역시 정상기압에서의 비등점 (100℃) 보다 높은 온도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밥알이 빨리 익게 된다. 취사공정이 종료되면, 워킹코일에 의한 가열이 중단된 상태에서 오븐(10)내의 압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뜸공정이 일정 시간동안 진행되고, 뜸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증기 배출밸브의 작동에 의해 오븐(1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히터에 의해 오븐(10)이 일정한 온도로 약하게 가열되는 보온공정이 진행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전기 압력밥솥에서, 뚜껑(10)은 힌지기구에 의해 케이스(12)의 일단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취부되어 있는데, 상기 힌지기구는 그 일단이 케이스(12)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뚜껑(14)의 일단에 고정된 힌지 스프링(20)과, 상기 힌지 스프링(20)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22)은 한 쌍의 슬롯(22a)이 형성된 패널형태(도 3 참조)의 로 이루어져 있으며, 힌지 스프링(20)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그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분리되어 평행하는 양단에 각각 비틀림부(201)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뚜껑 힌지기구에 의하면 뚜껑(14)이 닫힌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20)의 비틀림부(201)에 비틀림 응력이 인가된 상태가 되므로, 뚜껑(14)과 케이스(12)의 결속장치(미도시)를 해제할 경우, 비틀림부(201)의 비틀림 응력에 의해 뚜껑(14)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뚜껑(14)이 완전히 열려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게 되면, 뚜껑(14)의 하단이 지지브라켓(22)의 상단에 걸려 멈추게 됨과 동시에 슬롯(22a)을 따라 움직이던 힌지 스프링(20)의 선단 역시 슬롯(22a)의 선단에 걸려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뚜껑(14)이 더 이상 젖혀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뚜껑 힌지기구는 뚜껑(14)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힌지 스프링(20)의 비틀림 응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뚜껑(14)이 열려서 완전히 젖혀지는 순간 즉, 뚜껑(14)의 회동력이 힌지 스프링(20)의 비틀림 응력을 초과하는 때에는 뚜껑(14)의 회동을 제대로 저지할 수 없게 되며, 결과적으로 뚜껑(14)이 지지브라켓(22)에 부딪힌 다음 반동하여 크게 흔들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뚜껑(14)이 흔들리게 되면 밥솥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밥솥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뚜껑이 열리는 순간에 일종의 댐핑작용을 통하여 뚜껑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압력밥솥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에 적용된 힌지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종래의 뚜껑 힌지기구에 의해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 힌지기구에 의해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오븐 12: 케이스
14: 뚜껑 20: 힌지 스프링
22: 지지브라켓 22a: 슬롯
22b: 직선형 슬롯 22c: 사선형 슬롯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는 뚜껑이 열릴 경우 힌지스프링의 일단이 그 내부로 인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댐핑수단은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직선형 슬롯과, 상기 양 직선형 슬롯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는 한 쌍의 사선형 슬롯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는 그 일단이 케이스(12)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뚜껑(14)의 일단에 고정된 힌지 스프링(20)과, 상기 힌지 스프링(20)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며, 케이스(12)와 뚜껑(14)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22)에는 뚜껑(14)이 열릴 경우 힌지 스프링(20)의 일단이 그 내부로 인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14)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댐핑수단은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직선형 슬롯(22b)과, 상기 양 직선형 슬롯(22b)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는 한 쌍의 사선형 슬롯(22c)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브라켓(22)에 구비된 댐핑수단에 의해 뚜껑(14)의 개방 시, 뚜껑(14)의 개방각도가 일정치를 초과하는 순간부터는 힌지 스프링(20)이 지지브라켓(22)과 마찰되고 이에 의해 힌지 스프링(20)이 그 회동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뚜껑(14)이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는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뚜껑(14)이 열리게 되면 힌지 스프링(20)의 선단이 상기 직선형 슬롯(22b)으로 인입되어 회동하게 되는데, 뚜껑(14)이 어느정도 열릴 때 까지는 도면상 가상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힌지 스프링(20)의 각 선단이 직선형 슬롯(22b) 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뚜껑(14)이 정상적인 속도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뚜껑(14)의 개방각도가 일정치를 초과하면 힌지 스프링(20)의 양 선단이 사선형 슬롯(22c)으로 인입되는데, 이와 같이 힌지 스프링(20)의 양 선단이 사선형 슬롯(22c)을 따라 움직이는 동안에는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발생하는 상대적인 압박력에 의해 조여지면서 지지브라켓(22)과 마찰됨으로써 그 회동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뚜껑(14)의 개방되는 속도 또한 서서히 줄어들게 되며, 뚜껑(14)이 완전히 젖혀지는 순간에는 뚜껑(14)의 회동속도가 현저히 감소한 상태가 됨으로써 반동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에 의하면 뚜껑의 개방 시, 뚜껑의 개방각도가 일정치를 초과하는 순간부터는 힌지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브라켓과 마찰되고 이에 의해 힌지 스프링의 회동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뚜껑이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등, 밥솥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뚜껑의 일단에 고정된 힌지 스프링과,
    상기 힌지 스프링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며, 케이스와 뚜껑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브라켓
    을 포함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뚜껑이 열릴 경우 힌지 스프링의 일단이 그 내부로 인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직선형 슬롯과,
    상기 양 직선형 슬롯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는 한 쌍의 사선형 슬롯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KR2019990027769U 1999-12-10 1999-12-10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KR200182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69U KR200182316Y1 (ko) 1999-12-10 1999-12-10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69U KR200182316Y1 (ko) 1999-12-10 1999-12-10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316Y1 true KR200182316Y1 (ko) 2000-05-15

Family

ID=1960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69U KR200182316Y1 (ko) 1999-12-10 1999-12-10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3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7916B2 (ja) 電気圧力釜の蒸気排出装置
GB2512495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0182316Y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KR100451247B1 (ko) 전기밥솥
KR100262634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 감지장치
KR100354774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KR20010081641A (ko) 전기 압력밥솥의 탑커버 힌지기구
KR100446785B1 (ko) 전기밥솥
JP3569695B2 (ja) 炊飯器
KR100357257B1 (ko) 전기 압력밥솥의 압력조절장치
KR20040040181A (ko) 전기밥솥
KR20040039965A (ko) 전기밥솥
KR20110011221A (ko) 전기 압력보온밥솥의 뚜껑 열림 완충장치
JP4627057B2 (ja) 加熱調理器
KR100558662B1 (ko) 전기 압력밥솥 뚜껑 개폐용 힌지스프링의 댐핑구조
KR20010084035A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647853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페 구조
KR100260322B1 (ko) 유도가열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388555B1 (ko) 전기 압력밥솥의 오븐 밀폐장치
KR20010104159A (ko) 전기 압력밥솥의 압력조절장치
KR200182375Y1 (ko) 전기 압력밥솥의 환경센서 취부구조
KR101338981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조립체
KR0114825Y1 (ko) 가스레인지의 도어장치
CN208677025U (zh) 一种家用电器用开盖结构及家用电器
KR19990027749A (ko) 전기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