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849Y1 -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Google Patents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1849Y1 KR200181849Y1 KR2019990025988U KR19990025988U KR200181849Y1 KR 200181849 Y1 KR200181849 Y1 KR 200181849Y1 KR 2019990025988 U KR2019990025988 U KR 2019990025988U KR 19990025988 U KR19990025988 U KR 19990025988U KR 200181849 Y1 KR200181849 Y1 KR 2001818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welding
- electrode member
- welder
- inner shiel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7—Means for tracking lines during arc welding or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를 제공한다.
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는,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하여 가압, 용접되는 용접봉(41), 용접봉(41)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며, 그 용접봉(41)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42), 제 1 전극부재(4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용접봉(41)의 위치를 가압전의 상태로 원 위치시키는 탄성수단(43), 용접봉(41)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42)와 접촉되어 동작하는 접촉수단(44), 접촉수단(44)의 작동에 의해 제 1 전극부재(42)와 통전되는 제 2 전극부재(45)로 이루어진 용접기(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충분한 가압 형성에 의해 용접 너겟의 크기를 특정 요구 수준만큼 형성시켜 용접강도를 상승시키고, 발생 용접 스플래시를 감소시키며, 또한, 용접점을 인너 시일드 면에만 형성시켜 스플래시의 마스크 구멍 막힘 및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의 체결방식 중 기존 방식에서의 스플래시 및 용접강도 저하 등의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용접기의 구조를 변경한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너 시일드(INNER SHIELD) 체결 방식에는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과 인너 시일드 클립(IS CLIP)을 이용한 체결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의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에 사용되는 용접기는, 용접 핸드-피스(HAND-PIECE)의 손잡이와, 두개의 용접봉 등으로 구성되며, 이는 사용자가 용접하고자 하는 인너 시일드의 상면에 하나의 용접봉을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용접봉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용접 핸드-피스의 손잡이를 작업자가 동작시켜 두 용접봉 사이에서 전류가 통전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의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의 가압점이 인너 시일드(4)의 상면과 프레임(3)의 하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접 너겟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용접강도가 떨어지며, 인너 시일드(4)의 반대쪽(프레임 내측)의 스플래시가 마스크에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b와 도 1c에는 관종별로 요구되는 차폐량에 따른 인너 시일드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 1b의 구조에서는 인너 시일드 클립에 적용은 가능하나 상기의 용접에 의한 체결방식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도 1c의 구조에서는 현재 용접기 구조상으로 적용이 불가하여 인너 시일드 클립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의 채택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용접 체결방식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용접 너겟(NUGGET)의 과소에 의해 용접 강도가 떨어지며, 스플래시(SPLASH)가 마스크로 떨어지며, 고가의 소재인 니켈-탑(NI-TOP)을 적용하는 경우 재생이 불가능하며, 인너 시일드 타입에 의한 용접기 조작 불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용접 체결방식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너 시일드 클립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너 시일드 클립을 이용한 체결방식은 효과 측면에서는 상기 용접방식에서 발생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장점을 갖고 있기는 하나, 하나의 튜브에 내장되는 클립의 수가 최소 4개이거나 많게는 6개까지 장착됨에 따라 튜브의 가격이 고가로 상승되며, 이에 따라 시장성 및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충분한 가압 형성에 의한 용접 너겟 크기의 충분한 확보로 용접강도가 상승되며, 용접점을 인너 시일드 면에만 형성시켜 스플래시가 마스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스크의 구멍 막힘과 불량을 줄이며, 인너 시일드 클립 타입에서의 클립에 대한 원가절감 및 생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용접에 의한 인너 시일드 체결방식에서의 용접기의 가압점이 도시된 개략도,
도 1b와 도 1c는 관종별로 요구되는 차폐량에 따라 인너 시일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의 폐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홀더
3 : 프레임 4 : 인너 시일드
10 :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 20 : 제 1 편조동선
30 : 제 2 편조동선 40, 50: 용접기
41: 용접봉 42 : 제 1 전극부재
43, 55 : 탄성수단 44, 56 : 접촉수단
45 : 제 2 전극부재 46, 57 : 하우징
51 : 제 1 용접봉 52 : 제 2 용접봉
53 : 제 3 전극부재 54 : 제 4 전극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는,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하여 가압, 용접되는 용접봉, 상기 용접봉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며, 그 용접봉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 상기 제 1 전극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상기 용접봉의 위치를 가압전의 상태로 원 위치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용접봉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와 접촉되어 동작하는 접촉수단, 그리고 상기 접촉수단의 작동에 의해 제 1 전극부재와 통전되는 제 2 전극부재로 이루어진 용접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접촉수단은 센서 이거나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손잡이에 부착되는 형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는,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에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또 다른 선단이 프레임에 용접된 상태로 붙어있는 홀더를 집게 형식으로 된 끝으로 물어 일정한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제 1 편조동선, 상기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에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또 다른 선단은 용접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편조동선, 상기 제 2 편조동선에 연결되며, 인너 시일드의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어 일정한 가압, 일정한 시간,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여 용접하는 용접기로 이루어져 폐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는,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는 제 1 용접봉, 상기 제 1 용접봉의 길이보다 일정 길이가 길며, 일측에 나란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하여 닿아있는 제 2 용접봉, 상기 제 1 용접봉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는 제 3 전극부재, 상기 제 2 용접봉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며, 그 제 2 용접봉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4 전극부재, 상기 제 4 전극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상기 제 2 용접봉의 위치를 가압전의 상태로 원 위치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제 2 용접봉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4 전극부재와 접촉되는 접촉수단을 포함한 용접기로 이루어져, 접촉수단의 작동과 동시에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어져 있던 제1,2용접봉이 동시에 가압, 통전되어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한, 제3,4전극부재 모두에 스프링부재가 장착되어 동시에 가압하여 통전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접촉수단은 센서 이거나 리미트 스위치 일수도 있으며, 또한, 손잡이에 부착되는 형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 3은 본 고안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의 폐회로가 개략적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40)는 용접봉(41), 제 1 전극부재(42), 탄성수단(43), 접촉수단(44), 및 제 2 전극부재(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접봉(41)은,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한 용접점에 위치되어 가압, 용접하며, 제 1 전극부재(42)의 중앙에 고정됨과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부재(42)는 상기 용접봉(41)이 특정한 용접점에서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탄성수단(43)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42)의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그 제 1 전극부재(42)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용접봉(41)을 가압전의 상태로 원위치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수단(43)을 스프링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수단(44)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42)와 접촉되어 작동되며, 그 접촉수단(44)은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손잡이 등에 부착되어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전극부재(45)는 상기 접촉수단(44)의 작동에 의해 제 1 전극부재(42)와 통전되며, 제 2 편조동선(3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미 설명된 도면 부호(46)는 용접기(40)의 하우징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용접기(40)를 이용한 폐회로의 동작 구성은,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10)에 제 1,2 편조동선(20,30)의 각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제 1 편조동선(20)의 집게 형식으로 된 또 다른 선단은 프레임(3)에 용접된 상태로 붙어있는 홀더(2)에 일정한 압착력으로 물리며, 제 2 편조동선(30)의 또 다른 선단은 용접기(4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 2 편조동선(30)에 연결된 용접기(40)는 인너 시일드(4)의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어 일정한 가압, 일정한 시간,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여 용접하도록 폐회로가 구성된다.
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50)는 제 1 용접봉(51), 제 2 용접봉(52), 제 3 전극부재(53), 제 4 전극부재(54), 탄성수단(55) 및 접촉수단(5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용접봉(51)은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한 용접점에 위치되며, 제 3 전극부재(53)의 중앙에 고정됨과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용접봉(52)은 상기 제 1 용접봉(51) 보다 일정 길이가 길고, 일측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한 용접점에 위치하여 닿아있으며, 제 4 전극부재(54)의 중앙에 고정됨과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3 전극부재(53)는 상기 제 1 용접봉(51)을 중앙에서 고정, 지지하며, 상기 제 4 전극부재(54)는 상기 제 2 용접봉(52)을 중앙에서 고정, 지지하며, 그 제 2 용접봉(52)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분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55)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4 전극부재(54)의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그 제 4 전극부재(54)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제 2 용접봉(52)을 가압전의 상태로 원위치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수단(55)을 스프링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55)을 제 3, 4 전극부재(53, 54) 모두에 스프링부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수단(56)은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4 전극부재(54)와 접촉되어 작동되며, 그 접촉수단(56)은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손잡이 등에 부착되어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미 설명된 도면 부호(57)는 용접기(50)의 하우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의 상세한 작동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10)에 제 1, 2 편조동선(20, 30)의 각 선단이 연결되고, 제 1 편조동선(20)의 다른 한쪽 선단이 홀더(2)에 물려 고정되며, 제 2 편조동선(30)의 다른 한쪽의 선단이 용접기(40)의 일측 상단에 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편조동선(20)의 임의의 일측 선단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폐회로가 형성되어진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용접기(40)의 용접봉(41) 선단을 프레임(3)의 특정한 부위에 겹쳐놓은 인너 시일드(4)위에 위치시킨 후, 용접봉(41)을 가압하게 되면, 그 용접봉(41)의 후방에 설치된 제 1 전극부재(42)가 탄성수단(43)을 압축하여 접촉수단(44)과 접촉하게 되어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부재(4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접촉수단(44)이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10)에서 일정한 전류가 공급되고, 공급된 전류는 제 2 전극부재(45)와 접속된 제 1 전극부재(42)를 통해 용접봉(41)의 선단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에서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시간과, 일정한 전류가 용접봉(41)을 통해 가해짐으로써,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용접이 완료된 후 용접봉(41)을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에서 떼면 상기 탄성수단(43)에 의해 그 용접봉(41)은 원위치 되고 다음 용접위치에서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업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43)은 스프링부재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촉수단(44)은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접촉수단(44)을 손잡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의 상세한 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용접기(50)의 제1,2용접봉(51, 52)을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의 용접점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제 1 용접봉(51)은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용접봉(52)은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에 닿게 된다.
이때, 상기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 상에 닿아있는 제 2 용접봉(52)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 4 전극부재(54)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2용접봉(51,52)이 프레임(3)과 겹쳐진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에 동시에 닿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용접봉(52)의 가압에 의해 제 4 전극부재(54)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4 전극부재(54)의 후방에 형성된 탄성수단(55)이 상기 제 4 전극부재(54)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압, 압축되며, 상기 제 4 전극부재(54)와 접촉수단(56)이 접촉되어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에 제1,2용접봉(51,52)을 통해서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시간과, 일정한 전류가 가해짐으로써,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용접이 완료된 후 제1,2용접봉(51,52)을 인너 시일드(4)의 용접점에서 떼면 상기 탄성수단(55)에 의해 그 제 2 용접봉(52)은 원위치 되며, 상기 제 1 용접봉(51)과는 길이의 차이를 다시 보이게 되며, 다음 용접위치에서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업의 반복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55)은 스프링부재로 형성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촉수단(56)은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접촉수단(56)을 손잡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4전극부재(53,54) 모두에 탄성수단(55)을 장착하여 가압할 수 있으며, 접촉수단(56)을 상기 제3,4전극부재(53,54) 각각에 직렬로 연결하여 2개의 제1,2용접봉(51,52)이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되는 때에 용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의 용접기(50)는 특히 소형의 관종(管種) 혹은 인너 시일드(4)의 형상 변경에 따라 홀더(2)에 물리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충분한 가압 형성에 의해 용접 너겟의 크기를 특정 요구 수준만큼 형성시켜 용접강도를 상승시키고, 발생 용접 스플래시를 감소시키며, 또한, 용접점을 인너 시일드 면에만 형성시켜 스플래시의 마스크 구멍 막힘 및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인너 시일드 클립 타입에서의 클립의 수가 줄어 원가 절감 및 작업단축에 의한 생산성 향상 등의 이익이 창출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일 실시예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 내지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를 체결하기 위한 용접기에 있어서: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하여 가압, 용접되는 용접봉(41),상기 용접봉(41)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며, 그 용접봉(41)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42),상기 제 1 전극부재(4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상기 용접봉(41)의 위치를 가압전의 상태로 원 위치시키는 탄성수단(43),상기 용접봉(41)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1 전극부재(42)와 접촉되어 동작하는 접촉수단(44), 그리고상기 접촉수단(44)의 작동에 의해 제 1 전극부재(42)와 통전되는 제 2 전극부재(45)로 이루어진 용접기(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43)은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44)은 센서 이거나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44)은 손잡이에 부착되는 형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10)에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또 다른 선단이 프레임(3)에 용접된 상태로 붙어있는 홀더(2)를 집게 형식으로 된 끝으로 물어 일정한 압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제 1 편조동선(20),상기 트랜스퍼/콘트롤 유니트(10)에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또 다른 선단은 용접기(4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편조동선(30),상기 제 2 편조동선(30)에 연결되며, 인너 시일드(4)의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어 일정한 가압, 일정한 시간,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여 용접하는 용접기(40)로 이루어져 폐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를 체결하기 위한 용접기에 있어서: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는 제 1 용접봉(51),상기 제 1 용접봉(51)의 길이보다 일정 길이가 길며, 일측에 나란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하여 닿아있는 제 2 용접봉(52),상기 제 1 용접봉(51)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는 제 3 전극부재(53),상기 제 2 용접봉(52)이 착탈 가능하게 중앙에 고정되며, 그 제 2 용접봉(52)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4 전극부재(54),상기 제 4 전극부재(54)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후방에 위치되며, 용접 완료시 상기 제 2 용접봉(52)의 위치를 가압전의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탄성수단(55),상기 제 2 용접봉(52)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제 4 전극부재(54)와 접촉되는 접촉수단(56)을 포함한 용접기(50)로 이루어져, 접촉수단(56)의 작동과 동시에 프레임(3)과 인너 시일드(4)가 겹쳐진 특정 용접점에 위치되어져 있던 제1,2용접봉(51, 52)이 동시에 가압, 통전되어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55)은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55)은 제3, 4전극부재(53, 54) 모두에 스프링부재가 장착 가능하며, 동시에 가압하여 통전시킬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56)은 센서 이거나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56)은 손잡이에 부착되는 형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5988U KR200181849Y1 (ko) | 1999-11-24 | 1999-11-24 |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5988U KR200181849Y1 (ko) | 1999-11-24 | 1999-11-24 |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1849Y1 true KR200181849Y1 (ko) | 2000-05-15 |
Family
ID=1959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5988U KR200181849Y1 (ko) | 1999-11-24 | 1999-11-24 |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1849Y1 (ko) |
-
1999
- 1999-11-24 KR KR2019990025988U patent/KR2001818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733B1 (ko) | 스폿용접용 클램핑 지그 | |
US20130075378A1 (en) | Spot welding apparatus | |
CN105537745B (zh) | 多点共极傀儡焊装置 | |
JP3847402B2 (ja) | 抵抗溶接方法 | |
JP4708519B2 (ja) | プレート材のための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結合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KR200181849Y1 (ko) | 인너 시일드 체결을 위한 개선 용접기 | |
KR100997885B1 (ko) | 스폿 용접 장치 | |
JP4088535B2 (ja) | スポット溶接用電極検出装置 | |
KR100418786B1 (ko) | 차량 용접 라인의 용접 전원 공급장치 | |
CN217913403U (zh) | 一种振镜式焊接夹具 | |
JP2691697B2 (ja) | 鉄筋の接合方法 | |
KR100250128B1 (ko) | 3개의 전극을 이용한 저항용접방법 | |
JPS6034466Y2 (ja) | 抵抗溶接等に用いる側面クランプ機構付電極治具 | |
JP2007152360A (ja) | 縦向き姿勢によるスポット溶接用電極 | |
JP3852190B2 (ja) | 手打ち溶接ガン給電式スポット溶接装置 | |
CN212793519U (zh) | 液压多点焊机 | |
KR19990032622A (ko) | 원 사이드 스폿 용접장치 | |
GB2083771A (en) | Resistance spot welding gun | |
KR101949368B1 (ko) |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 |
KR100488697B1 (ko) | 너트 용접용 클램핑 장치 | |
KR950008884Y1 (ko) | 점용접 장치 | |
JPH09168872A (ja) | 溶接装置 | |
JPH07136772A (ja) | 抵抗溶接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方法に用いるウエルドボルト | |
JPH11297199A (ja) | シャドウマスク溶接機 | |
KR20040005140A (ko) | 너트 용접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