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451Y1 - 휴대용 필름 투시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필름 투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451Y1
KR200181451Y1 KR2019990026433U KR19990026433U KR200181451Y1 KR 200181451 Y1 KR200181451 Y1 KR 200181451Y1 KR 2019990026433 U KR2019990026433 U KR 2019990026433U KR 19990026433 U KR19990026433 U KR 19990026433U KR 200181451 Y1 KR200181451 Y1 KR 200181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film
carriage
predetermin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기평
Original Assignee
태기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기평 filed Critical 태기평
Priority to KR2019990026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3/00Optics: image projectors
    • Y10S353/02Film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측하우징이 형합되어 외형이 형성되며 그 일면에 눈을 밀착하여 볼 수 있도록 투시창과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필름을 내장한 휴대용 필름 투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필름을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필름을 편집하여 형성된 필름롤과, 상기 필름롤의 하단을 삽결시키기 위한 결착홈이 상부의 선단부로 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호 동일한 중심과 소정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돌기와,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축을 회동가능토록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시킨 회동공과, 사용자의 한 번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의 회전만 이루게 하여 필름이 한 컷씩만 보여지도록 하는 회전원판의 회전수단과, 투시되는 목적필름이 이와 대칭된 상대필름과 겹쳐보여지지 않도록 목적필름 출현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으로 필름이 용이하게 출현될 수 있도록 필름롤과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속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필름을 한 컷씩 정확하고 안정감있게 회동시켜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필름 투시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필름 투시기{PORTABLE APPARATUS FOR TO SEE FILM}
본 고안은 좌,우측하우징이 형합되어 외형이 형성되며 그 일면에 눈을 밀착하여 볼 수 있도록 투시창과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필름을 내장한 휴대용 필름 투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시창으로 필름이 용이하게 출현될 수 있도록 필름롤과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속도를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름을 한 컷씩 정확하고 안정감있게 회동시켜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필름 투시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필름 투시기는 각종 사물이나 풍경을 찍은 사진을 여러 컷으로 편집한 필음을 한 컷씩 이동시켜면서 투시창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휴대용 필름 투시기의 종래 기술을 도1내지 도2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의 형상으로 일측면에 내측으로 구비된 안내홈(1)에 장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여러 컷의 사진이나 그림 등을 연결하여 구성한 필름(2)을 안착시킨 후, 작동부재(3)를 안내부재(4)의 고정돌기(5)에 끼워 슬라이드되면서 필름(2)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돌기(6)는 필름(2)의 하부에 관통된 끼움공(7)에 끼워지고, 상기 안내부재(4)의 일측과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을 스프링(8)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4)와 작동부재(3)를 프론트 하우징(9)의 내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보스(10)에 안착시키고, 상기 안내부재(4)의 고정편(11) 일측에 구비된 나사공(12)에 스크류(13)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내부재(4)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9)을 결합시킨 후, 차단부재(14)의 하부에 다수개의 통공(15)이 구비된 하부걸림편(16)을 프론트 하우징(9)의 하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하부걸림턱(17)에 끼우고, 상기 차단부재(14)의 상부에 양측단이 절단된 상부걸림편(18)을 상기 프론트 하우징(9)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상부걸림턱(19)에 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그리고, 외체(2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버튼 안내홀(21)에 누름버튼(22)이 구비된 누름구(23)를 안착시키고 하부가 절단된 작동구(24)를 작동부재(3)의 일측에 돌설된 작동안내돌기(25)의 경사면에 밀착시킨 후, 백 하우징(26)의 내부에 돌성된 보스(10)를 상기 프론트 하우징(9)의 내부에 돌설된 보스(10)에 형합하고 스크류(13)로 회전하여 결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으로 외체(20)을 잡고 투시창(27)을 사용자의 눈에 밀착시켜 필름(2)을 보게 되는데,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외체(20)의 일측 상부에 돌설된 누름구(23)의 누름버튼(22)을 도2b와 같이 가압하게 되면, 상기 누름구(23)의 하부에 단부가 절단된 작동구(24)가 작동부재(3)의 작동안내돌기(25)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작동부재(3)는 안내부재(4)의 안내홈(1)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는 데, 이때, 작동부재(3)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돌기(6)의 경사면은 필름(2)의 끼움공(7)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사용자가 누름버튼(22)의 가압을 도2a와 같이 해제하면, 상기 안내부재(4)와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3)가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3)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돌기(6)의 걸림턱은 필름(2)의 하부에 관통된 끼움공(7)에 끼원져 작동부재(3)의 복원거리 만큼 필름(2)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개량된 종래의 기술도 그 조립부품수가 많아 조립공정이 매우 까다로우며 이로 인한 조립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필름을 정확하게 한 컷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필름이 꺽이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각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필름을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필름을 편집하여 형성된 필름롤과, 상기 필름롤의 하단을 삽결시키기 위한 결착홈이 상부의 선단부로 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호 동일한 중심과 소정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돌기와,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을 회동가능토록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하우징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회동공과, 상기 회전원판을 사용자의 한 번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의 회전만 이루게 하여 필름이 한 컷씩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원판의 회전수단과, 상기 투시창으로 투시되는 목적필름이 이와 대칭된 상대필름과 겹쳐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필름 출현수단을 포함하면 된다.
도1은 종래 휴대용 필름 투시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 휴대용 필름 투시기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 휴대용 필름 투시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1,102-좌,우측하우징 103-투시창 104-필름롤
105-결착홈 106-회전원판 107-회전돌기
108-회전축 109-회동공 110-목적필름
111-상대필름 112-걸림턱 113-경사면
114-밀대 115-스토퍼 116-탄편
117-왕복대 118-결합돌기 119-탄성부재
120-커버 121-지지대 122-수용홈
123-장공 124-스크류 125-조작레버
126-안내관 127-개구부 128-굴절판
129-통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3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측하우징(101)(102)이 형합되어 외형이 형성되며 그 일면에 눈을 밀착하여 볼 수 있도록 투시창(103)과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필름을 내장한 휴대용 필름 투시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필름을 편집하여 형성된 필름롤(104)과, 상기 필름롤(104)의 하단을 삽결시키기 위한 결착홈(105)이 상부의 선단부로 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된 회전원판(106)과, 상기 회전원판(106)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호 동일한 중심과 소정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돌기(107)와, 상기 회전원판(106)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108)을 회동가능토록 결합시키기 위해 우측하우징(102)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회동공(109)과, 상기 회전원판(106)을 사용자의 한 번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의 회전만 이루게 하여 필름이 한 컷씩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원판(106)의 회전수단과, 상기 투시창(103)으로 투시되는 목적필름(110)이 이와 대칭된 상대필름(111)과 겹쳐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필름 출현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돌기(107)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돌기(107)를 일측방향 소정거리 만큼 밀어 회동되도록 하는 걸림턱(112)과, 상기 걸림턱(112)이 회전돌기(107)를 소정거리 또는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킨 후 회전돌기(107)의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112)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13)과, 상기 경사면(113)이 회전돌기(107)의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또는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가지며 걸림턱(112)에서 소정길이의 'ㄱ'형상으로 연장형성된 밀대(114)와, 상기 걸림턱(112) 복귀시 회전돌기(107)와 걸림턱(112)의 간섭에 의해 역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에 배치된 회전돌기(107)에 걸쳐지는 스토퍼(115)와, 상기 스토퍼(115)에 연장형성되어 스토퍼(115)가 소정의 탄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ㄱ'형상의 탄편(116)과, 상기 걸림턱(112)이 회전돌기(107)를 밀어주고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의 왕복수단으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왕복수단은 상기 밀대(114)의 타단에 형성되어 왕복이송될 수 있도록 된 왕복대(117)와, 상기 왕복대(117)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18)에 삽결되어 왕복대(117)를 탄지하도록 된 탄성부재(119)와, 상기 탄성부재(119)가 결합돌기(11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왕복대(117)의 일단에 형성되어 탄성부재(119)가 내삽되도록 하는 커버(120)와, 상기 탄성부재(119)가 왕복대(117)를 탄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19)를 일단에서 지지토록 하기 위해 우측하우징(102)에 형성된 지지대(121)와, 상기 왕복대(117)의 수평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커버(120)를 일부 수용하기 위하여 우측하우징(102)에 형성되는 수용홈(122)과, 상기 왕복대(117)의 하부 우측하우징(102)에 형성된 장공(123)과, 상기 왕복대(117)에 형성된 통공(129)으로 삽입되어 장공(123)으로 돌출되는 스크류(124)에 우측하우징(102)의 외측면에서 결합되는 조작레버(12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필름 출현수단은 좌측하우징(101)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회동공(109)에 결합된 회전원판(106)의 필름롤(104)내부로 삽입되어 외부의 빛을 목적필름(110)측으로 안내하도록 된 안내관(126)과, 상기 안내관(126)의 일면에 부착되며 안내된 빛을 개구부(127)와 목적필름(110)을 통하여 투시창(103)측으로 굴절시키도록 된 굴절판(128)으로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기술을 도3내지 도4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조작레버(125)는 왕복대(117)에 형성된 통공(129)으로 삽입되는 스크류(124)에 의해 우측하우징(102)의 내외측에서 상호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형상이나 모양은 도3에 도시된 모양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24)는 우측하우징(102)에 형성된 장공(123)을 통과하여 조작레버(125)와 체결되므로 상기 왕복대(117)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왕복(슬라이딩)시키면 장공(123)의 길이만큼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125)는 왕복대(117)를 일단에서 타단측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성부재(119)에 의해 장공(123)의 상단(도면상에서)으로 밀려난 상태가 초기상태이며, 상기 조작레버(125)를 하강시키면 왕복대(117)는 하측을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탄성부재(119)를 지지대(121)측으로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왕복대(117)에 형성된 밀대(114)와 걸림턱(112)도 하강하게 되어도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112)으로 제1회전돌기(107)를 하강시키는 바, 상기 제1회전돌기(107)는 회전축(108)이 회동공(109)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도4a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왕복대(117)의 커버(120)는 일단에 마련된 수용홈(122)에 수용되어 있어 상기 수용홈(122)이 왕복대(117)를 직선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항상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119)는 결합돌기(118)에 억지끼움의 상태로 결합된 상태임과 동시에 커버(12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크류(124)와 조작레버(125)가 왕복대(117)를 우측하우징(102)의 내외측에서 상호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왕복대(117)로부터 탈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조작레버(125)의 하강에 의해 제1회전돌기(107)는 걸림턱(112)에 의해 하강하면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원판을 회동시키는 데, 이때, 상기 제1회전돌기(107)와 대각선 방향의 타측에 배치된 제3회전돌기(107)는 제1회전돌기(107)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동하면서 도4a에서 도시된 스토퍼(115)를 상측(도면상으로)으로 밀어 올리면서 회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스토퍼(115)에 연장형성된 'ㄱ'형상의 탄편은 우측(도면상)으로 활처럼 휘어지게 되어 상기 제3회전돌기가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스토퍼(115)는 제3회전돌기(107)가 회동된 후, 탄편(11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제3회전돌기(107)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역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레버(125)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지지대(121)측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19)의 복원력에 의해 왕복대(117)와 조작레버(125)는 초기위치로 상승하려 하며, 이때, 상기 걸림턱(112)은 도4b에서와 같이 제2회전돌기(107)와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제2회전돌기(107)이 역회동되게 하려 한다.
그러나, 이미 회동된 제3회전돌기(107)는 스토퍼(115)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ㄱ'형상의 탄편(116)이 내측으로 휘어지려 해도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115)에 의해 역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2회전돌기(107)도 역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12)에 형성된 경사면(113)이 도4b와 같이 좌측(도면상)으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밀대(114)가 활처럼 휘어진 후 다시 복원되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원판(106)은 일측방향으로는 항상 회동이 가능하지만 타측방향으로는 회동이 될 수 없도록 스토퍼와 밀대(114)를 적절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왕복대(117)와 걸림턱(112)의 승하강이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레버(125)조작에 의해 회전원판(106)과 필름롤(104)이 소정각도 만큼 회동하는 것에 따라 사용자는 한 컷씩 필름을 투시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롤(104)에 편집된 다수개의 필름들은 상호 대칭적인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자칫 사용자의 눈에는 겹쳐서 보일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상기 좌측하우징(101)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안내관(126)을 일측과 타측의 하우징을 상호 결합하였을 때 필름롤(104)의 중심부로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126)의 일면에는 외부의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된 굴절판(128)을 부착하여 외부의 빛이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목적필름(110)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눈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직 한 컷의 필름만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목적필름(110)과 상대필름(111)사이에는 안내관(126)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대필름(111)은 안내관(126)에 가려져 볼 수가 없게 되며 목적필름(110)은 굴절판(128)에서 굴절된 빛에 의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름을 정확하게 한 컷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필름이 꺽이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각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좌,우측하우징이 형합되어 외형이 형성되며 그 일면에 눈을 밀착하여 볼 수 있도록 투시창과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필름을 내장한 휴대용 필름 투시기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한 컷씩 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필름을 편집하여 형성된 필름롤과,
    상기 필름롤의 하단을 삽결시키기 위한 결착홈이 상부의 선단부로 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호 동일한 중심과 소정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돌기와,
    상기 회전원판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을 회동가능토록 결합시키기 위해 일측하우징의 내측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회동공과,
    상기 회전원판을 사용자의 한 번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의 회전만 이루게 하여 필름이 한 컷씩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원판의 회전수단과,
    상기 투시창으로 투시되는 목적필름이 이와 대칭된 상대필름과 겹쳐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필름 출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필름 투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돌기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돌기를 일측방향 소정거리 만큼 밀어 회동되도록 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회전돌기를 소정거리 또는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킨 후 회전돌기의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걸림턱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회전돌기의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또는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가지며 걸림턱에서 소정길이의 'ㄱ'형상으로 연장형성된 밀대와,
    상기 걸림턱 복귀시 회전돌기와 걸림턱의 간섭에 의해 역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에 배치된 회전돌기에 걸쳐지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연장형성되어 스토퍼가 소정의 탄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ㄱ'형상의 탄편과,
    상기 걸림턱이 회전돌기를 밀어주고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의 왕복수단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필름 투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왕복수단은 상기 밀대의 타단에 형성되어 왕복이송될 수 있도록 된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삽결되어 왕복대를 탄지하도록 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돌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왕복대의 일단에 형성되어 탄성부재를 내삽시키는 커버와,
    상기 탄성부재가 왕복대를 탄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를 일단에서 지지토록 하기 위해 일측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왕복대의 수평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커버를 일부 수용하기 위하여 일측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왕복대의 하부 일측하우징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왕복대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어 장공으로 돌출되는 스크류에 일측하우징의 외측면에서 결합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필름 투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필름 출현수단은 타측하우징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회동공에 결합된 회전원판의 필름롤내부로 삽입되어 빛을 안내하도록 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일면에 부착되며 안내된 빛을 개구부와 필름을 통하여 투시창측으로 굴절시키는 굴절판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필름 투시기.
KR2019990026433U 1999-11-29 1999-11-29 휴대용 필름 투시기 KR200181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433U KR200181451Y1 (ko) 1999-11-29 1999-11-29 휴대용 필름 투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433U KR200181451Y1 (ko) 1999-11-29 1999-11-29 휴대용 필름 투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451Y1 true KR200181451Y1 (ko) 2000-05-15

Family

ID=1959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433U KR200181451Y1 (ko) 1999-11-29 1999-11-29 휴대용 필름 투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4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5056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EP1001617A2 (en) Video camera
US7507042B2 (en) Lens cover apparatus for camera
JP4077421B2 (ja) 部材保持装置
US4968134A (en) Overhead projector
TW201643767A (zh) 掃描裝置及轉動組件
KR200181451Y1 (ko) 휴대용 필름 투시기
JPH0787813B2 (ja)
US5737658A (en) Barrier device for camera
KR101891188B1 (ko)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
JP2000010153A (ja) バリア部材を有するカメラ
JP2003075889A (ja) カメラ
US10616437B2 (en) Optical device having housing rotatable relative to fixing member detachably affixed to scanner
US20150279252A1 (en) Automaton capable of writing a signature
KR200246848Y1 (ko) 휴대용 필름 투시기
US20030063214A1 (en) Device for enlarged display of text or images on an external screen
KR200183812Y1 (ko) 휴대용 필름 투시기
JPH06111685A (ja) 接点切換表示機能付ピアノスイッチ
JP3201657B2 (ja) スイッチ
US6302598B1 (en) Camera having a barrier
CN219349270U (zh) 眼镜
US20240176430A1 (en) Foldable input device
KR200281686Y1 (ko) 완구용 사진 투시기
CN111812840B (zh) 头戴式显示装置
KR100664175B1 (ko) 이동단말기의 힌지 토오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