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372Y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372Y1
KR200181372Y1 KR2019980001885U KR19980001885U KR200181372Y1 KR 200181372 Y1 KR200181372 Y1 KR 200181372Y1 KR 2019980001885 U KR2019980001885 U KR 2019980001885U KR 19980001885 U KR19980001885 U KR 19980001885U KR 200181372 Y1 KR200181372 Y1 KR 200181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er
buoyancy
fishing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129U (ko
Inventor
김명숙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2019980001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37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1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낚시찌가 갖고 있는 부력과 봉돌의 침력을 일치 시키기 위하여 봉돌의 무게를 조절하였으나, 봉돌의 무게를 니퍼 등으로 정확하게 깍아내는 것이 번거로웠다.
본 고안은 낚시찌의 내부에 물을 넣은 후 가감 함으로써, 봉돌의 침력에 맞춰서 낚시찌의 부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찌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찌는 고기가 미끼를 건드리거나 흡입하는 시기를 인식하기 위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무게의 봉돌을 미끼와 함께 가라 앉히고, 찌톱의 상단이 물위에 나오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낚시찌를 사용할 때 낚시찌의 부력에 맞춰 봉돌을 조금씩 깍아주면서 무게를 조절하였으나, 낚시찌의 부력과 일치되도록 봉돌을 깍는 것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요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낚시찌가 갖고 있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낚시를 할때, 사용하고자 하는 봉돌을 먼저 선정한 후, 봉돌의 무게에 맞춰 낚시찌 내부의 물을 가감 함으로써, 낚시찌의 부력을 빠르고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찌 몸체 2 : 상체
3 : 하체 4 : 나선
5 : 구멍 6 : 눈금
7 : 찌들 8 : 지지대
9 : 날라리 10 : 물
본 고안은 원통형의 낚시찌 몸체(1)가 투명한 재질의 상체(2)와 하체(3)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체(2)에는 통상의 낚시찌와 같이 상단에 찌톱(7)이 부착되며, 상체로 하체의 상부를 덮어 끼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상체(2)의 하단 내주면과 하체(3)의 상단 외주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돌려서 결합 시킬 수도 있다. 하체의 상부에는 물을 입출 시키기 위한 구멍(5)을 형성하고, 하체의 몸통에는 물(10)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6)이 표시되며, 하체의 하단에는 낚시줄에 연결되는 날라리(9)와의 결합을 위한 지지대(8)가 부착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낚시에 적절한 수심이 먼 거리일 경우에는 미끼를 멀리 던지기 위해 무거운 봉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낚시찌 하체 상부의 구멍(5)으로 물을 빼내어 낚시찌의 부력을 크게하고, 고기의 입질이 미약하여 가벼운 봉돌을 사용할 때에는 물을 더 넣어 낚시찌의 부력을 줄임으로써, 낚시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을 쉽고 짧은 시간에 일치시킬 수가 있다.
종래에도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88-2258호와 제95-740호 같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찌가 출원공고 된 바 있으나, 양자 모두 찌 내부의 공기만으로 부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극히 좁을 뿐만 아니라, 낚시찌의 상하 몸체를 어느 한쪽으로 삽입하여 공기를 압축 시켜야 하므로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 실용화 되지 못 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은 낚시찌 몸체 내부에 물을 넣고 가감함으로써, 부력조절의 범위가 넓고, 구멍을 통하여 물을 가감 함으로써, 부력조절이 용이 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낚시찌 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낚시찌 내부의 물을 가감 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봉돌의 침력과 낚시찌의 부력을 쉽고 빠르게 일치 시킬 수가 있으며, 미끼를 원하는 만큼 띄워서 띄울 낚시를 할 경우에도 채비를 바꿀 필요없이 부력조절만으로 가능하므로, 주어진 시간을 낚시에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이 낚시찌에 있어서, 원통형 낚시찌 몸체(1)가 투명한 재질의 상체(2)와 하체(3)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하체의 상부에는 물이 입출되는 구멍(5)이 형성되며, 하체의 표면에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KR2019980001885U 1998-02-14 1998-02-14 낚시찌 KR200181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85U KR200181372Y1 (ko) 1998-02-14 1998-02-14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85U KR200181372Y1 (ko) 1998-02-14 1998-02-14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129U KR19990036129U (ko) 1999-09-15
KR200181372Y1 true KR200181372Y1 (ko) 2000-06-01

Family

ID=1953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885U KR200181372Y1 (ko) 1998-02-14 1998-02-14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3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11B1 (ko) * 2007-03-19 2008-07-17 이기영 낚시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941B1 (ko) * 2006-10-24 2007-10-19 정도명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11B1 (ko) * 2007-03-19 2008-07-17 이기영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129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9124A (en) Fishing bobber
US5404668A (en) Fishing float
US4534127A (en) Device for a casting float
CA1105260A (en) Bob for cast fishing
US3916556A (en) Multipurpose fishing device
US4649662A (en) Curved fishing post
US2931124A (en) Fishing bobber
US4924620A (en) Floats for fishing lines
KR200181372Y1 (ko) 낚시찌
US4479323A (en) Oscillating trolling lure
US5943811A (en) Airetail fishing lure
US5379543A (en) Fishing lure assembly
US5638630A (en) Fishing lure with a hollow transparent body for supporting live bait
JPH08182452A (ja) 中通し浮き及び調整重錘付き中通し浮き
US20060213114A1 (en) Float with adjustable buoyancy
US6519894B1 (en) Tangle-free fishing line assembly
US5404669A (en) Slip bobber
KR101702457B1 (ko)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US5595016A (en) Motion resistant freeline bobber
KR970001360Y1 (ko) 낚시용 수중찌
US2578874A (en) Fishing float
JP3060104U (ja) 浮 き
KR200227012Y1 (ko) 부력 조절용 낚시찌
KR200279469Y1 (ko) 릴낚시용 구멍찌
JPS5926848Y2 (ja) いか釣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