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048Y1 -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048Y1
KR200181048Y1 KR2019970042659U KR19970042659U KR200181048Y1 KR 200181048 Y1 KR200181048 Y1 KR 200181048Y1 KR 2019970042659 U KR2019970042659 U KR 2019970042659U KR 19970042659 U KR19970042659 U KR 19970042659U KR 200181048 Y1 KR200181048 Y1 KR 200181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d
variable
channel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989U (ko
Inventor
김창호
표근석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2019970042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0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04N7/104Switchers or spl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Head-End에서 가입자측으로 보내어주는 하향신호는 광송수신기, 간선증폭기, 간선분기증폭기, 분배증폭기, 연장증폭기, 분배기, 분기기 등을 통하여 전달되고 가입자에서 Head-End로 보내어주는 상향 신호는 상기의 역순으로 전달되도록 하되, 각 증폭기에서의 하향신호는 증폭하여 전달하면서 상향 신호는 방송국의 채널 변경 명령에 따라 마이콤부에서 가변형 모뎀의 채널을 가변하도록 하고, 듀플렉서1에서 가변형모뎀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상향신호를 전달받은 마이콤부에서 가변형모뎀을 통해 가변된 채널의 상향 신호로 변조시켜 듀플렉서1에 출력함으로서 양방향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본 고안은 수지분기(tree & branch)형 동축 분배망으로 구성된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방향 CATV(Cable Television) 서비스를 제공할 때 가입자측으로 부터 CATV 방송국으로 전달되는 상향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양방향 통신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TV 서비스는 CATV 방송국에서 각각의 가입자측으로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하향신호의 전달과 가입자측에서 CATV 방송국으로 상향신호를 전달하는 양방향으로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의 CATV 방송국에서 가입자측으로 전달되는 하향신호는 54∼750MHz 정도의 대역중 각각의 채널마다 일정한 대역을 할당받아 해당 주파수의 RF 신호로 출력되며, 각각의 가입자측에서 CATV 방송국으로 전달되는 상향신호는 5∼42MHz 대역중 각각의 방송국마다 일정한 대역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의 RF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입자측에서 CATV 방송국으로 상향신호가 전달되는 주파수 대역인 5∼42MHz의 대역은 외부 전파에 가장 취약한 대역이므로 잡음을 완벽하게 방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CATV용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방송국(A)과 다수의 가입자(B)들의 사이에 양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되, 상기 방송국(A)로 부터의 방송신호를 광케이블(1)을 통하여 전달받아 간선(3)으로 전달하거나 간선(3)을 통해 전달되는 상향신호를 상기의 광케이블(1)로 전달하는 광송수신기(2)와, 상기 광송수신기(2)로 부터 간선(3)을 통하여 방송신호를 하향으로 전달받거나 간선(3)을 통하여 상향신호를 전달받으면 증폭하여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간선증폭기(TA)(4)와, 상기 간선증폭기(4)로 부터 간선(3)을 통하여 연결되어 간선증폭기(4)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분기시키기위한 간선분기증폭기(5)와, 상기 간선분기증폭기(5)에 의해 분기된 다수의 분기선(6)의 중간에 설치되어 다수의 다른 분배선들에 방송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하는 분배 증폭기(DA)(8)와, 상기의 동일 분기선(6)에 설치되어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연장증폭기(EA)(7)들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증폭기들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Head-End 측으로부터의 하향신호는 듀플렉서1(10)에 접속하고, 감쇠기(11)를 통해 등화기(12)에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신호인 높은 주파수의 전송중에 발생되는 감쇠에 대해 정방향증폭기(13)로 보상 증폭하도록 하고, 방향성 결합기(14)를 통해 듀플렉서2(15)에 연결되어 가입자측으로 전달되게 하며, 가입자측으로부터 올라온 상향 신호를 듀플렉서2(15)을 통해 분리되어져 감쇠기(16), 등화기(17)를 통해 전송중에 발생되는 감쇠에 대해 역방향 증폭기(18)로 보상 증폭하도록 하고 방향성결합기(14)를 통해 하향신호의 일부중 상태감시신호가 모뎀1(19)을 통해 마이콤부(20)을거쳐 상기 증폭된 상향신호와 함께 결합기(21)을 통해 합해져 듀플렉서1(10)를 통해 Head-End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CATV용 증폭기에 의하여서는 상향신호가 하향신호인 방송신호에 비해 잡음이나 다른 외란에 영향을 많이 받기 쉽고, 가입자들에 연결된 선로들로 부터 유입되는 잡음들이 수지분기형망을 거치면서 여러 곳의 잡음이 모아지게 되어 크기가 커진 잡음으로 인해 정상적인 통신이 수행될 수 없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가입자측으로 부터 CATV 방송국으로 전달되는 상향신호는 Head-End의 채널변경명령에 따라 지정된 채널로 수신되어 디지털화 하였다가 다시 지정된 채널로 변조시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향신호에 포함된 모든 잡음 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광송수신기에 전달되면서 양방향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는 방송국에서 전달되는 방송신호는 여러 가입자들에 전달하면서 다수의 가입자들로 부터 전달되는 상향신호는 연장 증폭기나 분배 증폭기를 경유하고 간선분기증폭기와 간선증폭기를 통해 광송수신기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방송국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되, 각각의 증폭기에서 방송신호는 듀플렉서1, 감쇠기, 등화기, 정방향 증폭기, 방향성결합기, 듀플렉서2를 통해 다음의 간선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태감시 채널을 통해 전달된 신호는 방향성 결합기 및 모뎀1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다시 마이콤부로 전달되어 방송국에서 설정된 채널로 가변형모뎀의 송신채널을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의 듀플렉서2를 통해 5∼42MHz 대역의 상향신호를 전달받는 가변형모뎀에서는 설정된채널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상향신호를 전달받는 마이콤부에서 가변형모뎀을 통해 방송국에서 설정된 채널로 상향신호를 변조시켜 모뎀1의 출력과 결합기로 함해진 후 듀플렉서1에 직접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향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완전하게 제거하면서 원활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쌍방향 CATV 서비스를 위한 전송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
제2도는 종래 양방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7 : 듀플렉서2 28 : 가변형모뎀
29 : 모뎀1 30 : 마이콤부
31 : 결합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방송신호는 듀플렉서1(21)을 통하여 전달되어 감쇠기(23), 등화기(24)를 통해 다시 정방향 증폭기(25)로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신호인 높은 주파수의 전송중에 발생되는 감쇠에 대해 보상증폭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상증폭된 방송신호는 방향성결합기(26)를 통해 듀플렉서2(27)에 연결되어져 가입자측으로 전달되도록하고, 또한 방향성결합기(26)을 통해 방송국에서 전달된 상태감시신호는 모뎀1(29)을 통해 마이콤부(30)에 전달되어져 이에 대한 응답이 다시 모뎀1(29)을 통해 결합기(31)에 전달되도록 하고, 방송국에서 전달된 또 다른 신호인 채널변경신호는 모뎀1(29)을 통해 마이콤부(30)에 전달되어져 가변형모뎀(28)의 상향채널을 바꾸도록하고, 상기 듀플렉서2(27)를 통해 5∼42MHz 대역의 상향신호를 전달받는 가변형모뎀(28)에서는 상향신호가 전달되도록 방송국에서 설정된 채널만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의 디지털신호를 전달받는 마이콤부(30)에서는 가변형모뎀(28)을 경유하는 중에 방송국의 채널변경신호에 의해 변경된 채널의 주파수로 상향신호가 변조되도록 하여 잡음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결합기(31)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모뎀1(29)을 통해 전달된 상태감시신호는 마이콤부(30)에 전달되어져 상태신호를 다시 모뎀1(29)을 통해 결합기(31)로 전달하여 상기의 상향신호와 함께 직접 듀플렉서1(22)로 전달됨으로써 양방향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방송국(A)로 부터의 방송신호를 광케이블(1)을 통하여 전달받는 광송수신기(2)에서 간선(3)으로 전달하고, 상기 광송수신기(2)로 부터 간선(3)을 통하여 방송신호를 하향으로 전달받는 간선 증폭기(4)에서는 이들 하향의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간선(3)을 통해 전달하고, 상기 간선(3)의 중간에 설치된 간선분기 증폭기(TBA)(5)는 다수의 분기선(6)의 중간에 설치된 분배 증폭기(8)를 경유하고 분배선을 거쳐 탭(9)에 연결된 컨버터를 통하여 각각 접속된 가입자(B)들이 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방송국(A)에서 전달되는 하향신호인 방송신호에는 중간중간에 설치된 증폭기들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기위한 상태감시신호 및 상향채널이 잡음이 심하여 통신이 불가하거나 별도로 채널변경을 위한 상향신호의 채널변화신호 등이 포함된다.
탭(9)에 접속되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가입자(B)들로 부터 방송국(A)으로 전달되는 상향신호는 탭(9)을 통하여 연장 증폭기(EA)(7)나 분배 증폭기(8)를 경유하여 상향으로 전달되고 간선분기증폭기(5)와 간선증폭기(4)를 통해 광송수신기(2)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방송국(A)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방송신호가 간선 증폭기(4)에서 증폭되어 하향으로 전달되면서 상향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Head-End측에 연결된 송수신가능 데이터회로인 듀플렉서1(22)를 통하여 하향 전달되는 방송신호는 감쇠기(23)와 등화기(24)로 전달되어 방송신호가 높은 주파수로 전송되는 중에 발생되는 감쇠에 대해 정방향증폭기(25)를 통하여 보상하는 증폭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정방향증폭기(25)를 통하여 증폭된 방송신호는 듀플렉서2(27)를 통하여 가입자측으로 전달된다.
동시에 상기의 듀플렉서2(27)를 통해 5∼42MHz 대역의 상향신호를 전달받는 가변형모뎀(28)에서는 상향신호가 전달되도록 방송국에서 설정된 채널만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도록 하고, 상기의 디지털신호를 전달받는 마이콤부(30)에서는 가변형모뎀(28)을 경유하는 중에 할당된 주파수의 상향신호로 변조되도록 하여 잡음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결합기(31)로 전달되고, 상기의 모뎀1(29)을 통해 전달된 상태감시신호는 마이콤부(30)에 전달되어져 상태신호를 다시 모뎀1(29)을 통해 결합기(31)로 전달하여 상기의 상향신호와 함께 직접 듀플렉서1(22)로 전달됨으로써 양방향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만약 방송국에서 수신한 상향신호가 통신이 불가한 상태이거나 다른 채널로의 변경을 위해 다른 채널로 할당하는 채널변경신호를 마이콤부(30)에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은 마이콤부(30)에서 가변형 모뎀(28)의 송신채널을 할당된 채널로 변경한 후 마이콤부(30)로 부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상태로 전달되는 상향신호에 대해 변경된 채널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하여 안정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본 고안은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기술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의하여서는 상태감시신호와 채널변경신호를 전달받은 모뎀1에서 이를 마이콤부에 전달하면 마이콤부에서 가변형모뎀의 상향채널을 변환한 후, 가입자측으로부터 듀플렉서2를 통해 5∼42MHz 대역의 상향신호를 전달받는 가변형모뎀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 후 다시 상향신호로 변조할 때 변경된 채널로 변환하여 모뎀1을 통해 전달되는 상태감시 응답신호와 결합기로 합해져 듀플렉서1에 출력하므로써 상향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완전하게 제거하면서 원활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Head-End측에 연결되는 듀플렉서1(22)에는 감쇠기(23), 등화기(24), 정방향증폭기(25), 방향성결합기(26) 및 듀플렉서2(27)를 통해 가입자측에 연결하면서 상기의 방향성결합기(26)를 통해 모뎀1(29)에 전달된 상태감시신호가 마이콤부(30)에 전달되도록 한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듀플렉서2(27)를 통해 상향신호를 전달받는 가변형모뎀(28)은 방향성결합기(26)을 통해 전달되는 상향신호를 마이콤부(30)부 전달되도록 하고, 채널변경신호를 모뎀1(29)을 통해 전달받는 상기의 마이콤부(30)로 부터 디지털신호로 전달받는 상기의 가변형모뎀(28)에서 상향신호를 변경된 채널의 상향신호로 변조하여 결합기(31)을 경유하여 듀플렉서1(22)로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마이콤부(30)는 방송국측으로 부터 채널변경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의 가변형모뎀(28)의 상향채널을 변경하여 마이콤부(30)에서 디지털신호로 전달되는 상향신호의 채널을 변경된 채널의 상향신호로 변조시키도록한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KR2019970042659U 1997-12-29 1997-12-29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KR200181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659U KR200181048Y1 (ko) 1997-12-29 1997-12-29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659U KR200181048Y1 (ko) 1997-12-29 1997-12-29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89U KR19990029989U (ko) 1999-07-26
KR200181048Y1 true KR200181048Y1 (ko) 2000-05-15

Family

ID=1951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659U KR200181048Y1 (ko) 1997-12-29 1997-12-29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0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8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7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s to remote cellular antennas
US5488413A (en) CATV telephony system using subsplit band for both directions of transmission
US6678893B1 (en) Bidirectional trunk amplifier and cable modem for cable hybrid fiber and coax network which utilizes an upstream pilot signal
US8270834B2 (en) Frequency modulated burst mode optical system
JPWO2006009197A1 (ja) 光信号伝送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87156B1 (ko) Hfc망의 왜곡 및 잡음 상쇄 시스템
KR100671052B1 (ko) 광동축혼합망에서 다중화 기능을 가지는 광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H09261611A (ja) チャネル選択形無線送信装置
US6438359B1 (en) Dual transmitter arrangement with back-up switching
US7095960B2 (en) Spurious free dynamic range i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EP1811692B1 (en) Optical transmitting devic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 transmitting method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KR200181048Y1 (ko)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KR100678662B1 (ko) 멀티 채널 다이플렉서를 이용한 간선분기 증폭기
KR100262248B1 (ko) Catv 동축 분배망의 양방향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4056781A (ja) 双方向増幅装置及び双方向catvシステム
US20030202613A1 (en) Burst-mode combining of reverse path radio frequency signals
KR100333141B1 (ko) 광 선로를 이용한 시디엠에이 기지국의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KR100383722B1 (ko) 동축 케이블을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장치
KR970000765B1 (ko)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006216A (ja) 送受信装置,分配装置及び双方向catvシステム
KR20010097981A (ko) 광 중계기
JPH10276179A (ja) 双方向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7154333A (ja) Catvシステムにおける幹線光信号の分岐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幹線分岐増幅器
JPH0213030A (ja) ヘッドエンド装置
JPH05268605A (ja) 双方向catv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