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674Y1 - 침대용 황토 보드 - Google Patents

침대용 황토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674Y1
KR200180674Y1 KR2019990021573U KR19990021573U KR200180674Y1 KR 200180674 Y1 KR200180674 Y1 KR 200180674Y1 KR 2019990021573 U KR2019990021573 U KR 2019990021573U KR 19990021573 U KR19990021573 U KR 19990021573U KR 200180674 Y1 KR200180674 Y1 KR 200180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oard
bed
mixer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우
Original Assignee
최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주 filed Critical 최현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용 황토 보드에 관한 것으로, 침대(1)에 설치되는 황토 보드(2)가 구비되되, 상기 황토 보드(2)는 황토가루, 석영가루, 옹기석가루 및, 점토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재료와 이 재료의 전체비율 15% 미만에 해당되는 물을 재료에 투입하여 스크류 방식의 배합기를 통해 배합함으로써 황토 재료가 형성되고, 상기 배합기의 황토 재료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면서 다수의 황토 블럭(3)이 성형되며, 상기 황토 블럭(3)을 믹싱기(4)의 투입구(5)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다시 배합함과 더불어 진공기(6)를 통해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믹싱기(4)의 배출구(7)로부터 일정 크기의 보드 몸체(8)가 배출되고, 상기 보드 몸체(8)의 상하부면에 면직포(9)가 부착됨과 더불어 고압의 프레스(1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건조되어 성형된 구조로서, 침대용이나 건축물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황토 보드가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성형되어, 이에 따라 제품의 파손이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황토 보드가 간편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침대용 황토 보드{A mud-board for bed}
본 고안은 침대나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황토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함과 더불어 이물질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그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킨 침대용 황토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가옥에 쓰여오던 황토가 인체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에 의해 각종 건축물이나 침대 등의 자재로 개발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황토를 이용한 제품 개발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나 장비를 동원하여 보다 질 좋은 황토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황토가 특히 인체의 피로를 풀어주거나 숙면에 좋다는 연구 결과에 의해 주로 소비자가 거주하거나 잠을 자게 되는 공간에 사용되고 있고, 이를 위해 건축물의 바닥이나 침대 등에 황토를 이용한 바닥재나 침대용 보드가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침대에 사용되는 황토 보드의 경우 황토의 특성상 보드로 성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황토 이외에 종이와 같은 이물질을 섞어 그 성형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황토 보드의 성형시 그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프레스를 사용하여 황토를 압착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황토에 이물질을 섞어서 고압의 프레스로 압착해줌으로써 황토 보드를 성형하게 되는 경우, 이물질에 의해 황토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내구성이 저하되고, 또한 황토 보드의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개의 황토 보드를 적층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단점이 있으며, 내구성 저하와 잦은 파손으로 인해 황토 보드의 제작시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순수한 황토만을 이용함과 더불어 그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침대용 황토 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황토가루, 석영가루, 옹기석가루 및, 점토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재료와 이 재료의 전체비율 15% 미만에 해당되는 물을 재료에 투입하여 스크류 방식의 배합기를 통해 배합함으로써 황토 재료가 형성되고, 상기 배합기의 황토 재료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면서 다수의 황토 블럭이 성형되며, 상기 황토 블럭을 믹싱기의 투입구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다시 배합함과 더불어 진공기를 통해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믹싱기의 배출구로부터 일정 크기의 보드 몸체가 배출되고, 상기 보드 몸체의 상하부면에 면직포가 부착됨과 더불어 고압의 프레스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건조되어 성형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황토 보드는 필요에 따라 선택된 재료가 상기 배합기와 믹싱기를 거치면서 침대 규격에 적합한 크기로 배출 및 절단되고, 이렇게 배출된 황토 보드의 상하부면을 면직포로 접합시켜 고압의 프레스로 압착한 후, 1차 건조 단계와 2차 건조 단계를 거치면서 성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침대용이나 건축물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황토 보드가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성형되어, 이에 따라 제품의 파손이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황토 보드가 간편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황토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보드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보드를 제작하는 믹싱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보드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황토 보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침대 2 : 황토 보드
3 : 황토 블럭 4 : 믹싱기
5 : 투입구 6 : 진공기
7 : 배출구 8 : 보드 몸체
9 : 면직포 10 : 프레스
11 : 파이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황토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보드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보드를 제작하는 믹싱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보드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황토 보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을 설명하면, 침대(1)에 설치되는 황토 보드(2)가 구비되되, 상기 황토 보드(2)는 황토가루, 석영가루, 옹기석가루 및, 점토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재료와 이 재료의 전체비율 15% 미만에 해당되는 물을 재료에 투입하여 스크류 방식의 배합기를 통해 배합함으로써 황토 재료가 형성되고, 상기 배합기의 황토 재료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면서 다수의 황토 블럭(3)이 성형되며, 상기 황토 블럭(3)을 믹싱기(4)의 투입구(5)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다시 배합함과 더불어 진공기(6)를 통해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믹싱기(4)의 배출구(7)로부터 일정 크기의 보드 몸체(8)가 배출되고, 상기 보드 몸체(8)의 상하부면에 면직포(9)가 부착됨과 더불어 고압의 프레스(1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건조되어 성형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황토 보드(2)의 특징은 상기 배합기와 믹싱기(4)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두 번에 걸쳐 황토에 섞여있는 공기를 완벽하게 제거하고, 또한 상기 믹싱기(4)의 배출구(7)를 통해 일정 크기를 갖는 보드 몸체(8)가 자동으로 배출되어, 이를 절개한 후 고압 프레스(10)를 통해 압착성형함과 더불어 건조시킴으로서 황토 보드(2)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황토 보드(2)를 제작하는 공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재료 선택 단계는 황토, 석영, 옹기석, 점토, 운모, 고령토, 세레라이트(견운모석) 등의 재료를 필요에 따라 일정비율 만큼 선택하는 공정이다.
둘째, 상기 재료 배합 단계는 상기 재료들에 전체비율의 15% 미만의 물을 투입하여 스크류 방식의 배합기를 통해 배합함과 더불어 상기 배합기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 배출기를 통해 황토 재료속에 투입된 공기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셋째, 상기 믹싱 단계는 상기 배합기로부터 절단된 상태로 배출되어 지는 다수의 황토 블럭(3)을 믹싱기(4)의 투입구(5)를 통해 투입하게 되면, 상기 믹싱기(4)의 스크류를 통해 황토를 균일하게 섞어줌과 더불어 상기 진공기(6)에 의해 황토의 공기를 2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넷째, 상기 황토 보드 성형 단계는 상기 믹싱 단계를 거친후 상기 믹싱기(4)의 배출구(7)를 통해 일정 크기의 보드 몸체(8)를 배출하도록 된 공정이다.
다섯째, 상기 황토 보드 압착 단계는 상기 믹싱기(4)로부터 배출된 보드 몸체(8)의 상하부면에 면직포(9)를 접합하여 고압의 프레스(10)로 압착시키는 공정이다.
여섯째, 상기 1차 건조 단계는 상기와 같이 압착성형된 황토 보드(2)를 30℃ 온도에서 1일 내지 2일동안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일곱째, 상기 2차 건조 단계는 1차 건조 단계 후 상기 황토 보드(2)를 60℃ - 80℃ 온도에서 3일 정도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황토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함과 더불어 2회에 걸친 건조를 통해 황토 보드(2)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또한 침대(1)에 적합한 크기로 성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황토 보드(2)를 성형하는 상기 믹싱기(4)는 배합기를 통해 생성된 황토 블럭(3)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5)와, 이렇게 투입된 황토 블럭(3)을 스크류를 통해 믹싱한 후 보드 몸체(8)로 배출시키는 배출구(7)가 구비되어, 일정크기의 보드 몸체를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믹싱기(4)와 파이프(11)를 통해 연결된 진공기(6)로 보드 몸체(8)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황토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함과 더불어 충분히 황토를 믹싱시켜 주기 때문에 종이와 같은 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황토만으로 충분한 강성을 갖는 황토 보드(2)를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황토 보드(2)를 사용하는 침대(1)나 각종 건축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황토 보드에 의하면, 침대용이나 건축물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황토 보드가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성형되어, 이에 따라 제품의 파손이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황토 보드가 간편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황토가루, 석영가루, 옹기석가루 및, 점토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재료와 이 재료의 전체비율 15% 미만에 해당되는 물을 재료에 투입하여 스크류 방식의 배합기를 통해 배합함으로써 황토 재료가 형성되고, 상기 배합기의 황토 재료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면서 다수의 황토 블럭(3)이 성형되며, 상기 황토 블럭(3)을 믹싱기(4)의 투입구(5)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다시 배합함과 더불어 진공기(6)를 통해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믹싱기(4)의 배출구(7)로부터 일정 크기의 보드 몸체(8)가 배출되고, 상기 보드 몸체(8)의 상하부면에 면직포(9)가 부착됨과 더불어 고압의 프레스(1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건조되어 성형된 침대용 황토 보드.
KR2019990021573U 1999-10-08 1999-10-08 침대용 황토 보드 KR2001806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376A KR100350703B1 (ko) 1999-10-08 1999-10-08 침대용 황토 보드 제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376A Division KR100350703B1 (ko) 1999-10-08 1999-10-08 침대용 황토 보드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674Y1 true KR200180674Y1 (ko) 2000-05-15

Family

ID=19614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573U KR200180674Y1 (ko) 1999-10-08 1999-10-08 침대용 황토 보드
KR1019990043376A KR100350703B1 (ko) 1999-10-08 1999-10-08 침대용 황토 보드 제작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376A KR100350703B1 (ko) 1999-10-08 1999-10-08 침대용 황토 보드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06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10B1 (ko) * 2007-12-28 2009-09-03 청우산업 주식회사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404A (ko) * 2002-10-09 2004-04-17 (주)빛고을황토산업 황토매트용 황토소자의 제조방법
KR100544565B1 (ko) * 2002-10-29 2006-01-24 이익규 황토타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381B1 (ko) * 1997-08-27 2000-05-15 정기호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10B1 (ko) * 2007-12-28 2009-09-03 청우산업 주식회사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379A (ko) 2001-05-07
KR100350703B1 (ko) 200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5319A1 (en) Artificial stone tile using native rock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180674Y1 (ko) 침대용 황토 보드
AU4806293A (en) Board st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from recycled paper
KR20120076856A (ko) 황토와 머드를 이용한 제조장치
KR101049570B1 (ko) 친환경 건축용 자재 그리고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0834165B1 (ko)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361117B1 (ko) 건축용 조립식 샌드위치 피시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3489A (ko) 황토,폐탄을 이용한 다목적 벽돌제조방법
KR100314536B1 (ko)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과 성형장치
KR100355186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0432A (ko) 황토 바이오 세라믹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229201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ightweight products
KR102170667B1 (ko) 폐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CN110862085B (zh) 一种活性炭
KR20130013903A (ko) 필터프레스를 이용한 알루미나 세라믹스 제조 방법
KR100543568B1 (ko) 기능성 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128B1 (ko) 보도용 또는 지압용 자연석을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제조방법
CN209851248U (zh) 一种新型人造条纹石材板生产装置
KR100854125B1 (ko) 고무부재를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93357B1 (ko)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KR20010017578A (ko) 고로 슬래그를 이용한 인조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1352A (ko) 숯 타일 제조방법 및 그 타일
KR100313061B1 (ko) 고밀도로 발포가공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합성수지를 이용한 경량벽돌 및 그 제조방법
CN112060284A (zh) 一种抹灰墙板的生产工艺
KR200269948Y1 (ko) 황토건자재 제조장치 및 그 황토건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