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543Y1 - 투시성을 갖는 셔터 - Google Patents

투시성을 갖는 셔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543Y1
KR200180543Y1 KR2019990026105U KR19990026105U KR200180543Y1 KR 200180543 Y1 KR200180543 Y1 KR 200180543Y1 KR 2019990026105 U KR2019990026105 U KR 2019990026105U KR 19990026105 U KR19990026105 U KR 19990026105U KR 200180543 Y1 KR200180543 Y1 KR 200180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late
shutter plate
se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규
Original Assignee
이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규 filed Critical 이경규
Priority to KR2019990026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27Transparent slats or transparent sections in sl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모터의 가동에 의하여 셔터판이 권취드럼에 권취되어 지면서 개폐토록 되는 셔터에 있어서, 셔터판에 투명판을 장착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권취되어져 개폐토록 되는 셔터는 각각의 셔터판이 유동이 자유롭게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되어짐으로 각각의 셔터판이 서로 밀착되면서 권취되어질 경우에도 셔터판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금속이나 알루미늄으로 된 셔터판을 사용함으로 셔터를 하강한 상태에서는 실내를 볼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내에서 일어나일들을 알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셔터판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서 구멍을 통하여 실내를 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멍으로 인하여 통기가 됨으로 각종 이물질은 물론 보온유지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셔터판에 투명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판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투시성을 우수하게 하고 동시에 보온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건물용 셔터.

Description

투시성을 갖는 셔터{A shutter}
본 고안은 모터의 가동에 의하여 셔터판이 권취드럼에 권취되어 지면서 개폐토록 되는 셔터에 있어서, 셔터판에 투명가 가능토록 된 셔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권취되어져 개폐토록 되는 셔터는 각각의 셔터판이 유동이 자유롭게 결합된 상태에서 끼여진 셔터판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여진 셔터판의 측면으로 미미를 결합토록 함으로서 끼워진 셔터판이 빠지지 않게 되면서 권취되어지는 것이고 이와 같이 권취되어질 경우에 셔터판이 서로 밀착되면서 권취됨으로 셔터판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금속이나 알루미늄으로 된 셔터판을 사용하게 됨으로 셔터를 하강한 상태에서는 실내를 볼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셔터판을 봉체를 이용하여 제작토록 함으로서 실내를 볼 수 있도록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실내가 외부로 노출되어진 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셔터판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서 구멍을 통하여 실내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 실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멍을 형성시키기 위한 가공으로 인하여 원가의 상승은 물론 이러한 구멍으로 인하여 통기가 됨으로 각종 이물질은 물론 보온유지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셔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셔터판에 투명성이 우수한 투시판을 결합토록 함으로서 투시성을 우수하게 하고 동시에 실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셔터판의 구성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투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투시판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보조셔터판의 구성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셔터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미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보조셔터판 2: 상부연결체
3: 하부연결체 4: 투시판
5: 미미 6: 가이드레일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걸림부(1a)가 형성된 투시판(4)이 끼임부(2a,3a)가 형성된 상부연결체(2)와 하부연결체(3)에 끼어져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부연결체(2)와 하부연결체(3)에는 걸림고리(2b)와 걸림홈(3b)이 형성되어 있어 셔터판(5)이 상하로 연속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투시판(4)의 걸림부(4a,4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형성하여 상단의 걸림부(4a)는 상부연결체(2)와 하부연결체(3)의 끼임부(2a,3a)에 끼어 고정된 후 하단의 걸림부(4b)가 끼임부(2a,3a)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위치토록 하여 투시판(4)의 흔들림을 보강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될 경우에 투시판(4)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또는 투시판(4)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시판(4)의 좌우로 보조셔터판(1)을 형성토록 하고, 상기 보조셔터판(1)의 상부와 하부에도 걸림부(1a)를 형성하여 상.하부연결체(2,3)의 끼임부(2a,3a)에 끼여져 결합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투시판과 보조셔터판는 각각 따로 결합토록 하거나 또는 투시판을 보조셔터판의 내측으로 내입토록 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토록 할 경우에는 투시판이 보조셔터판에 내입되는 부분은 걸림부를 제거하여 삽입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끼워져 결합된 셔터판이 상하로 연속되게 연결될 경우에 좌우로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미미(5)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진 걸이부(5a)를 형성하고 상기 걸이부(5a)가 걸려질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6)에는 걸림돌기(6a)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셔터판이 외압에 밀릴 경우에도 빠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셔터판(10)이 상.하부연결체(2,3)의 중앙에 투시판으로 형성됨으로 외부에서 실내를 투시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투시판(4)의 좌우로 보조셔터판(1)이 장착되어 있어 권취될 경우에도 휨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셔터판의 빠짐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미미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걸이부는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지면서 셔터판이 가이드레일에서 빠짐이 발생되지 않토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셔터판의 중앙에 투시판이 형성되어 있어 실내투시가 가능한 것이고, 미미에 형성된 걸이부가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지면서 셔터판이 가이드레일에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상부에는 걸림고리(2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걸림홈(3b)이 형성되어 진 셔터판(10)이 상하로 연결되어져 미미(5)로 빠지지 않토록 결합된 셔터의 양측단의 일부가 가이드레일(6)에 내입된 상태에서 승강토록 되는 공지의 셔터에 있어서, 셔터판(10)의 걸림고리(2b)와 걸림홈(3b)을 분리하여 상.하부연결체(2,3)로 구분하고,상기 상.하부연결체(2,3)의 하단에는 끼임부(2a,3a)를 형성하여 상기 끼임부에 끼일 수 있도록 걸림부(1a)가 형성된 투시판(4)으로 되는 셔터판(1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투시판(4)의 걸림부(4a,4b)는 2단으로 형성하여 투시판(4)의 흔들림을 보강토록 함이 특징인 셔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시판(4)의 좌우로 상.하부연결체(2,3)의 끼임부(2a,3a)에 끼일 수 있는 걸림부(1a)가 형성된 보조셔터판(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4. 제1항에 있어서, 미미(5)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진 걸이부(5a)를 형성하고 상기 걸이부(5a)가 걸려질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6)에는 걸림돌기(6a)를 형성토록 함이 특징인 셔터.
KR2019990026105U 1999-11-25 1999-11-25 투시성을 갖는 셔터 KR200180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05U KR200180543Y1 (ko) 1999-11-25 1999-11-25 투시성을 갖는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05U KR200180543Y1 (ko) 1999-11-25 1999-11-25 투시성을 갖는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543Y1 true KR200180543Y1 (ko) 2000-05-01

Family

ID=1959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105U KR200180543Y1 (ko) 1999-11-25 1999-11-25 투시성을 갖는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5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73B1 (ko) 2006-04-14 2007-11-29 김재영 투명 셔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73B1 (ko) 2006-04-14 2007-11-29 김재영 투명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884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US11293219B2 (en) Self-locking balance weight-type insulated glass assembly with internal blinds
US20190048659A1 (en) Screen device
KR200180543Y1 (ko) 투시성을 갖는 셔터
KR100652890B1 (ko) 건축물 창문틀용 방충망 구조
US4526412A (en) Security device to prevent removal of sliding windows and doors
JP2001220971A (ja) シャッター
KR102071319B1 (ko)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이중프레임 구조를 갖는 커튼월
CN211598272U (zh) 一种高密封性推拉式塑钢门窗
KR102215879B1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US20030051830A1 (en) Assembly for rolling blinds
CN211776846U (zh) 一种封盖安装结构及门窗
KR100780373B1 (ko) 투명 셔터
KR101218789B1 (ko) 방범방충창의 고정프레임
KR200393561Y1 (ko) 복합 기능창
JP4251354B2 (ja) 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KR200369502Y1 (ko) 건물용 셔터의 투명 슬랫
JP7094853B2 (ja) 建具、及び、建具の施工方法
KR100915319B1 (ko) 브라켓이 설치된 체인 내장형 배연창 자동 개폐장치용 하우징
CN115749073B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单元幕墙
JP2002106275A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構造
CN211230132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百叶窗
CN109300407B (zh) 一种高清屏固定安装套件
CN213597846U (zh) 编织状连接件
KR200186904Y1 (ko) 방풍용 창문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