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143Y1 - 곡물투입 보조대 - Google Patents

곡물투입 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143Y1
KR200180143Y1 KR2019990026706U KR19990026706U KR200180143Y1 KR 200180143 Y1 KR200180143 Y1 KR 200180143Y1 KR 2019990026706 U KR2019990026706 U KR 2019990026706U KR 19990026706 U KR19990026706 U KR 19990026706U KR 200180143 Y1 KR200180143 Y1 KR 200180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hole
hinge
pie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식
이창규
차영욱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합명회사신흥기업사
Priority to KR2019990026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Abstract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지지하며 접이식으로된 다리부 및 다리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등을 건조기의 저장실에 투입이 용이하도록하는 곡물투입 보조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바닥판 및 바닥판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측판, 바닥판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측판 및 바닥판의 하단 양측, 제 1 측판, 제 2 측판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연장편, 제 2 연장편을 구비하고, 제 1 측판의 소정위치에는 제 1 측판의 외부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또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다리부 및 제 2 다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제 1 연장편 및 제 2 연장편에 각각 결합되는 다리부그비하고, 다리부의 제 1 다리부 및 제 2 다리부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고정돌기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 수직하게 배열된 다수의 고정 홈이 형성된 각도 조절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곡물투입 보조대{Auxiliary device for inputting grain}
본 고안은 곡물투입 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지네소 수확한 곡물을 톤백에 담아서 곡물 건조기 내로 투입하는 경우에 투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곡물투입 보조대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라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손상없이 보관 및 운송을 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수분을 함량을 갖기 때문이다. 즉,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약 20∼30%의 수분 함량을 갖는데, 이러한 수분 함량을 갖는 곡물류는 저장을 위한 침적시에 쉽게 변질되어 보관이 어렵다.
벼·보리등의 곡물류가 함유하는 수분 함량은 식미(食味)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고, 품질의 유지 및 벌레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원하는 수치이상의 수분 함량을 갖는 벼나 보리로 밥을 지으면 내부 전분질이 용출되고 밥알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므로 식미가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전에 안저난 저장과 운송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약 14∼15.5%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발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순환식 곡물 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건조 열풍을 강제로 공급하여 벼나 보리가 일정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켜주는 장치이다.
전술한 곡물 건조기내로 곡물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산지에서 산물 콘바인에 의해서 수확한 곡물을 약 1톤정도의 곡물을 수용할 수 있는 톤백에 담아서 건조기 투입문 상측까지 이송시킨다. 그리고, 건조기의 투입문을 개방하고, 투입문에 합판과 같은 넓은 폭을 가지는 판지를 끼운상태하에서 톤백을 개방한다. 이렇게톤백을 개방하면 톤백에 담겨있던 곡물은 판지상부면으로 떨어지고, 판지 위로 떨어진 곡물은 판지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건조기내의 저장실로 투입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 곡물을 건조기내로 투입할 때 판지를 지지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이 필요하게되고, 또한 약 1톤의 중량이 나가는 곡물이 톤백에서 단시간내에 배출되어 합판위로 떨어지기 때문에 판지를 지지하는 작업자들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지지하며 접이식으로된 다리부 및 다리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등을 톤백에 담아서 건조기의 저장실에 투입할 때 투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곡물투입 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0 : 곡물투입 보조대 110 : 가이드부
112 : 바닥판 118 : 고정돌기
200 : 다리부 210 : 제 1 다리부
212 : 제 1 수직 프레임 214 : 제 2 수직 프레임
250 : 제 2 다리부 252 : 제 3 수직 프레임
254 : 제 4 수직 프레임 300 : 각도 조절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바닥판 및 바닥판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측판, 바닥판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측판 및 바닥판의 하단 양측, 제 1 측판, 제 2 측판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연장편, 제 2 연장편을 구비하고, 제 1 측판의 소정위치에는 제 1 측판의 외부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다리부 및 제 2 다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제 1 연장편 및 제 2 연장편에 각각 결합되는 다리부; 그리고
다리부의 제 1 다리부 및 제 2 다리부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고정돌기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 수직하게 배열된 다수의 고정 홈이 형성된 각조 조절부를 포함하는 곡물투입 보조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지지하며 접이식으로된 다리부 및 다리부의 일츠게 장착되어 가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산지에서 수확한 벼·보리등의 곡물등을 용이하게 건조기의 저장실에 투입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100)는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바닥판(112) 및 바닥판(112)의 양측에 제 1 측판(114) 및 제 2 측판(116)이 형성된 가이드부(110), 가이드부(110)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가이드부(110)를 지지하는 다리부(200) 및 다리부(200)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이드부(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0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110)의 제 1 측판(114)은 바닥판(112)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측판(116)은 바닥판(112)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측판(114)의 소정위치에는 고정돌기(118)가 부착된다. 고정돌기(118)는 제 1 측판(114)의 외측면에서 제 1 측판(114)의 외부로 연장된다.
제 1 측판(114)과 제 2 측판(116)의 하부상에는 제 1 연장편(120) 및 제 2 연장편(122)이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 1 연장편(120) 및 제 2 연장편(122)에는 제 1 관통공(124) 및 제 2 관통공(126)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부(110)를 지지하는 다리부(200)는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로 구성된다.
먼저, 제 1 다리부(210)는 상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제 2 수직 프레임(214)을 구비한다.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제 2 수직 프레임(214)은 이들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 1 경간(216)과 제 2 경간(218)에 의해서 고정된다. 제 1 경간(216)은 제 1 수직 프레임(212)의 하단에서 제 2 수직 프레임(214)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제 2 경간(218)은 제 1 수직 프레임(212)의 중간부분에서 제 2 수직 프레임(214)의 중간부분까지 연장된다.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제 2 수직 프레임(214)의 상단에는 제 1 돌출편(220)과 제 2 돌출편(222)이 제 2 다리부(250)쪽으로 돌출되게 부착된다. 제 1 돌출편(220) 및 제 2 돌출편(222)에는 제 3 관통공(224) 및 제 4 관통공(226)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돌출편(220) 및 제 2 돌출편(222)의 하측에는 제 1 힌지(H1) 및 제 2 힌지(H2)에 의해서 제 1 수직 프레임(212) 및 제 2 수직 프레임(214)에 결합되는 제 1 연결편(228) 및 제 2 연결편(230)이 각각 부착된다. 제 1 연결편(228)및 제 2 연결편(230)의 끝단에는 제 1 힌지공(232) 및 제 2 힌지공(23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 2 다리부(250)는 상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 3 수직 프레임(252) 및 제 4 수직 프레임(254)을 구비한다. 제 3 수직 프레임(252)과 제 4 수직 프레임(254)은 이들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 3 경간(256) 및 제 4 경간(258)에 의해서 고정된다. 제 3 경간(256)은 제 3 수직 프레임(252)의 하단에서 제 4 수직 프레임(254)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제 4 경간(258)은 제 3 수직 프레임(252)의 중간부분에서 제 4 수직 프레임(254)의 중간부분까지 연장된다.
제 3 수직 프레임(252)과 제 4 수직 프레임(254)의 상단에는 제 3 돌출편(260)과 제 4 돌출편(262)이 제 1 다리부(210)쪽으로 돌출되게 부착된다. 제 3 돌출편(260)과 제 4 돌출편(262)에는 제 5 관통공(264) 및 제 6 관통공(266)이 각각 형성된다. 제 3 돌출편(260) 및 제 4 돌출편(262)의 하측에는 제 3 힌지(H3) 및 제 4 힌지(H4)에 의해서 제 3 수직 프레임(252) 및 제 4 수직 프레임(254)에 결합되는 제 3 연결편(268) 및 제 4 연결편(270)이 부착된다. 제 3 연결편(268)과 제 4 연결편(270)의 끝단측에는 제 3 힌지공(272) 및 제 4 힌지공(27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 3 수직 프레임(252)의 제 3 연결대(268)의 상측에는 각도 조절부(300)가 부착된다. 각도 조절부(300)의 일단에는 제 5 힌지공(302)이 형성된다. 제 5 힌지공(302)에 대향하는 각도 조절부(300)의 자유단부에는 제 5 힌지공(302)쪽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 홈(304)이 형성된다. 각도조절부(300)는 제 5 힌지공(302)을 관통하여 지나는 제 3 힌지(H3)에 의해서 제 3 연결편(268)의 고정 단부에 부착된다.
도 2는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100)의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다. 이때, 제 1 돌출편(220)의 외측면에는 제 3 돌출편(260)의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제 1 연결편(228)의 외측면에는 제 3 연결편(268)의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편(222)의 내측면에는 제 4 돌출편(262)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제 2 연결편(230)의 내측면에는 제 4 연결편(270)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배치된 제 1 돌출편(220)과 제 3 돌출편(260)에는 제 5 힌지(H5)가 끼워진다. 제 5 힌지(H5)는 제 3 돌출편(260)의 제 5 관통공(264)과 제 1 돌출편(220)의 제 3 관통공(224)에 삽입되어 제 1 돌출편(22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편(222)과 제 4 돌출편(262)에는 제 6 힌지(H6)가 끼워진다. 제 6 힌지(H6)는 제 2 돌출편(222)의 제 4 관통공(226)과 제 4 돌출편(262)의 제 6 관통공(256)에 삽입되어 돌출된다.
또한, 제 1 연결편(228)과 제 3 연결편(268)에는 제 7 힌지(H7)가 끼워진다. 제 7 힌지(H7)는 제 3 연결편(268)의 제 3 힌지공(272)과 제 1 연결편(228)의 제 1 힌지공(232)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연결편(230)과 제 4 연결편(270)에는 제 8 힌지(H8)가 끼워진다. 제 8 힌지(H8)는 제 2 연결편(230)의 제 2 힌지공(234)과 제 4 연결편(270)의 제 4 힌지공(274)에 삽입된다.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가 결합되면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는 사다리꼴형상을 갖는다. 이런 상태하에서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의 상단에 가이드부(110)를 체결시킨다. 이때, 가이드부(110)의 제 1 연장편(12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24)에는 제 1 돌출편(2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 5 힌지(H5)가 끼워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연장편(122)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26)에는 제 2 돌출편(222)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 6 힌지(H6)가 끼워진다.
이렇게 가이드부(110)가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에 결합되면 가이드부(110)는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의 상부에서 시소(seesaw)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제 3 수직 프레임(252)에 부착된 각도 조절부(300)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 홈(304)을 제 1 측벽(114)에 부착된 고정돌기(118)에 끼우면 가이드부(110)는 시소운동을 멈추게되고,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진다. 고정돌기(118)에 끼워지는 고정 홈(304)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면, 가이드부(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곡물투입 보조대(100)를 건조기(A)의 투입문(B) 일측에 위치시키고, 투입문(B)을 개방한다. 다음에는, 곡물투입 보조대(100)의 상측에 곡물이 담긴 톤백(C)을 배치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미리 곡물투입 보조대(100)의 가이드부(110)가 투입문(B)측으로 기울어지게 조절한다. 이렇게 가이드부(110)가 투입문(B)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톤백(C)을 개방하면, 톤백(C)내에 담겨있던 곡물은 가이드부(110)의 바닥판(112)의 상부면에 떨어지게되고, 계속해서 바닥판(112)을 따라서 건저기(A)내의 저장실로 공급된다.
건조기(A)내로 곡물투입이 완전하게 끝나면 작업자는 고정돌기(118)에서 각도 조절부(300)를 분리시킨다. 이에의해, 반침부(110)는 일측으로 수직하게 기울어지게 되고, 그러면 다시 작업자는 제 1 다리부(210)를 제 2 다리부(250)측으로 밀어서 제 1 다리부(210)를 제 2 다리부(250)측으로 접을수 있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곡물투입 보조대(100)는 다리부(200)의 일측에 장착된 각도 조절부(300)에 의해서 가이드부(110)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톤백(C)에서 떨어지는 곡물을 적절하게 건조기(A)의 저장실내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곡물투입 보조대(100)의 제 1 다리부(210)와 제 2 다리부(250)는 접이식으로 제작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공급되는 곡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바닥판(112) 및 상기 바닥판(112)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측판(114), 상기 바닥판(112)의 타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측판(116), 상기 제 1 측판(114)과 상기 제 2 측판(116)의 하부면상에서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연장편(120) 및 제 2 연장편(122), 그리고 상기 제 1 측판(114)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제 1 측판(114)의 외부로 연장된 고정돌기(118)를 구비하는 가이드부(110);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다리부(210) 및 제 2 다리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110)의 상기 제 1 연장편(120) 및 상기 제 2 연장편(122)에 각각 결합되는 다리부(200); 그리고
    상기 제 1 다리부(210) 및 상기 제 2 다리부(25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고정돌기(118)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 수직하게 배열된 다수의 고정 홈(304)이 형성된 각도 조절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투입 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편(120)과 상기 제 2 연장편(122)에는 제 1 관통공(124)과 제 2 관통공(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투입 보조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리부(210)와 상기 제 2 다리부(250)는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제 2 수직 프레임(214) 및 제 3 수직 프레임(252)과 제 4 수직 프레임(25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214) 및 상기 제 3 수직 프레임(252)과 상기 제 4 수직 프레임(254)은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212)의 하단 및 중앙에서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214)의 하단 및 중앙까지 수평하게 연장된 제 1 경간(216) 및 제 2 경간(218)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제 3 수직 프레임(252)의 하단 및 중앙에서 상기 제 4 수직 프레임(254)의 하단 및 중앙까지 수평하게 연장된 제 3 경간(256) 및 제 4 경간(258)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214) 및 상기 제 3 수직 프레임(252)과 상기 제 4 수직 프레임(254)의 상단측에는 제 3 관통공(224)과 제 4 관통공(226)이 형성된 제 1 돌출편(220)과 제 2 돌출편(222) 및 제 5 관통공(264) 및 제 6 관통공(266)이 형성된 제 3 돌출편(260) 및 제 4 돌출편(26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편(220)과 제 2 돌출편(222) 및 상기 제 3 돌출편(260)과 제 4 돌출편(262)의 하측에는 제 1 힌지(H1)와 제 2 힌지(H2) 및 제 3 힌지(H3) 및 제 4 힌지(H4)에 의해서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212)과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214) 및 상기 제 3 수직 프레임(252)과 상기 제 4 수직 프레임(254)에 결합되는 제 1 연결편(228)과 제 2 연결편(230) 및 제 3 연결편(268)과 제 4 연결편(270)이 부착되고, 상기 제 1 연결편(228)과 상기 제 2 연결편(230)의 끝단측에는 제 1 힌지공(232)과 제 2 힌지공(234)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연결편(268)과 상기 제 4 연결편(270)의 끝단에는 제 3 힌지공(272)과 제 4 힌지공(2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투입 보조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300)의 타단에는 제 5 힌지공(3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5 힌지공(302)은 제 3 힌지(H3)에 의해서 상기 제 3 연결편(268)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다리부(210)의 상기 제 1 돌출편(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다리부(250)의 상기 제 3 돌출편(260)의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 3 돌출편(260)의 상기 제 5 관통공(264)을 지나 상기 제 1 돌출편(220)의 상기 제 3 관통공(224)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돌출편(2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5 힌지(H5)를 구비하며, 상기 제 5 힌지(H5)의 연장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상기 제 1 연장편(120)의 상기 제 1 관통공(124)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다리부(210)의 상기 제 2 돌출편(2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2 다리부(250)의 상기 제 4 돌출편(262)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 2 돌출편(222)의 상기 제 4 관통공(226)을 지나 상기 제 4 돌출편(262)의 상기 제 6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 4 돌출편(26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6 힌지(H6)를 구비하며, 상기 제 6 힌지(H6)의 연장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상기 제 2 연장편(122)의 상기 제 2 관통공(126)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연결편(228)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3 연결편(268)의 내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 3 연결편(268)의 상기 제 3 힌지공(272)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연결편(228)의 상기 제 1 힌지공(232)까지 연장되는 제 7 힌지(H7)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연결편(2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4 연결편(270)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2 연결편(230)의 상기 제 2 힌지공(234)을 관통하여 상기 제 4 연결편(270)의 상기 제 4 힌지공(274)까지 연장되는 제 8 힌지(H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투입 보조대.
KR2019990026706U 1999-12-01 1999-12-01 곡물투입 보조대 KR200180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06U KR200180143Y1 (ko) 1999-12-01 1999-12-01 곡물투입 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06U KR200180143Y1 (ko) 1999-12-01 1999-12-01 곡물투입 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143Y1 true KR200180143Y1 (ko) 2000-04-15

Family

ID=1959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06U KR200180143Y1 (ko) 1999-12-01 1999-12-01 곡물투입 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1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26Y1 (ko) 2012-06-15 2012-12-07 문석민 조립식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26Y1 (ko) 2012-06-15 2012-12-07 문석민 조립식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3125A (en) Rack for storing trays or the like
US6725785B2 (en) Protective cover of grille-shaped article support
US7845894B2 (en) Shipping container
CN101115659A (zh) 可收拢板条箱
KR200180143Y1 (ko) 곡물투입 보조대
US20030178381A1 (en) Collapsible article holder
US20100300993A1 (en) Modular utility rack
US6006903A (en) Cigar humidor
KR101538606B1 (ko) 파렛트
US20140246967A1 (en) Portable folding closet
US20030019404A1 (en) Extensible table
JP2787877B2 (ja) 棚式乾燥設備
KR102303346B1 (ko) 감 탈피를 위한 감 공급장치
JP2005125858A (ja) ラック搬送カート
CN207737762U (zh) 一种新型木盒
KR97000603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쌀통
KR100227253B1 (ko) 농수산물 건조 및 저장용 이동식 통풍상자
KR200265557Y1 (ko) 농산물의 선별 및 포장이 용이한 작업대
CN219524662U (zh) 一种防潮包装箱
CN220174359U (zh) 一种茶叶均匀杀青装置
KR102555478B1 (ko) 드레스룸의 가변형 행거 장치
JP4048805B2 (ja) 受け渡し設備
JPH0126588Y2 (ko)
CN220326499U (zh) 高度可调的宠物餐桌
JPS61214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