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992Y1 -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992Y1
KR200179992Y1 KR2019940017605U KR19940017605U KR200179992Y1 KR 200179992 Y1 KR200179992 Y1 KR 200179992Y1 KR 2019940017605 U KR2019940017605 U KR 2019940017605U KR 19940017605 U KR19940017605 U KR 19940017605U KR 200179992 Y1 KR200179992 Y1 KR 200179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overcurrent
resisto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308U (ko
Inventor
류홍기
최민규
옥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40017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992Y1/ko
Publication of KR960006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17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 H01J37/3171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for changing properties of the objects or for applying thin layers thereon, e.g. for ion implantation for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44Detectors; Associated components or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온주입기 내의 직류모터 이상 발생시, 이상 발생으로인한 과전류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모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은 물론 그에 따른 복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직류모터 이상 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모터부(1)내의 동작전류와 이상유무의 판단기준으로 설정한 기준전류를 모터 전류 검출부(2)와 기준 전류 검출부(3)를 통해 입력받는 비교부(4)를 구비하고, 상기 비교부(4)의 출력이 모터 동작전류가 과전류 임을 나타낼때 이를 표시부(5)에 표시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이온주입기에서 모터의 이상 유.무를 과전류 검출을 통해 용이하게 감지하므로 이온주입기의 비정상 상태 유지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링부 2 : 모터 전류 검출부
3 : 기준 전류 검출부 4 : 과전류 발생 판단부
5 : 경고부
본 고안은 반도체 장비중 이온주입기(Implan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의 이상동작시 발생되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이온주입기내의 다수의 직류모터들에 대한 이상 유.무를 간단하게 검출하는 직류모터 이상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온주입기(VARRIAN E-220 ION IMPLANTER)는 직류모터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단순하게 모터의 문제가 “인터락(Inter-lock)”으로만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온주입기의 직류모터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에, 직류모터의 직접적인 고장 원인이 직류모터 자체의 고장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외적원인에서 초래되어 졌는지 바로 파악할 수 없어서, 모터의 고장원인을 찾아내어 수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이온주입기 내의 직류모터 이상 발생시, 이상 발생으로 인한 과전류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모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은 물론 그에 따른 복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직류모터 이상 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는 직류 전원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링부; 상기 모터링부의 동작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 상기 모터링부가 정상동작 할 때의 최고 한계치 전류를 기준 값으로하여 기준전류를 발생하는 기준 전류 발생부;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모터링부의 검출전류와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기준 전류를 입력하여, 입력된 이 두 값을 비교하여 상기 모터링부에 과전류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전류 발생 판단부; 및 상기 과전류 발생 판단부로부터 출력되는 과전류 발생 판단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모터링부에 과전류가 발생되었음을 경고하여 주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한다.
이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는 모터링부(1)와, 모터 전류 검출부(2)와, 기준 전류 발생부(3)와, 과전류 발생 판단부(4)와, 경고부(5)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전류 검출부(2)는 모터링부(1)의 동작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며, 기준 전류 발생부(3)는 모터링부(1)내의 직류모터가 정상동작 할 때의 최고 한계치 전류를 기준 값으로 자체 발생하여 출력한다.
과전류 발생 판단부(4)는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2)로부터의 출력인 모터링부(1)의 동작 전류를 입력받고,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3)로부터 모터가 정상동작할 때 발생되는 값과 같은 기준 전류를 입력받아, 이 두 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값을 출력한다.
즉, 과전류 발생 판단부(4)는 모터 전류 검출부(2)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이 클때와 기준 전류 발생부(3)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이 클때에 대한 각각 다른 출력값을 출력하게 된다.
경고부(5)는 상기 과전류 발생 판단부(4)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따라 구동하는데, 과전류 발생 판단부(4)의 출력값이 모터 전류 검출부(2)에서 입력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 발생부(3)에서 출력된 기준전류값보다 큼을 나타내는 출력값일때, 모터의 이상상태를 알리는 표시신호를 출력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모터링부(1)에 이상이 발생함을 모터링부(1)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과전류가 될 경우에 감지하여, 운용자에게 표시하므로 조속한 조치가 이루어지게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모터링부(1)는 직류 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직류모터(M)와, 전원전압과 직류모터(M)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저항(R6)과, 접지와 직류모터(M)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저항(R7)과, 직류모터(M)의 +단자 및 -단자사이에 직렬 연결된 가변저항(VR1, VR2)들을 구비한다.
모터 전류 검출부(2)는 모터링부(1)로부터 전달된 전류를 통과시키기는 저항(R5)과, 애노드가 저항(R5)의 일측단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다이오드(D4)와, 애노드가 접지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저항(R5)의 일측단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D5)와, 저항(R5)의 일측단과 접지사이에 각각 연결된 커패시터(C1) 및 저항(R2)으로 이루어진다.
기준 전류 발생부(3)는 과전류 발생 판단부(4)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2)와, 일측단이 각각 커패시터(C2)에 연결되며,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직렬연결된 저항(R3, R4)들과, 애노드가 커패시터(C2)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전원전압에 접속된 다이오드(D2)와, 캐소드가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접지에 접속된 다이오드(D3)로 구성된다.
과전류 발생 판단부(4)는 모터전류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검출부(2)의 출력신호가 비반전단자로 인가되고 기준전류 발생부(3)의 기준전류가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연산증폭기(U)를 구비한다.
경고부(5)는 연산증폭기(U)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R1) 및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다.
모터링부(1)는 가변저항(VR1, VR2)들과 직류모터(M)가 브렌치를 이루므로 가변저항(VR1, VR2)들을 각각 조절하여 모터(M)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모터(M)의 정상동작시는 물론이고, 모터(M)에 이상이 발생하면 모터(M)을 통한 전류가 증가되어 과전류가 발생하고 이는 모터 전류 검출부(2)에 의해 검출된다.
모터전류 검출부(2)는 다이오드(D4, D5)를 이용하여 과전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고장을 방지하고, 이는 통상의 전자회로에서 널리 쓰이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그리고 커패시터(C1)를 통해 잡음을 제거한다.
과전류 발생 판단부(4)는 모터링부(1)내의 모터(M)가 정상동작 할 경우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기준 전류 발생부(3)로부터 보다 큰 전류값이 입력되어, 연산증폭기(U)는 음(-)의 전류를 출력하고, 반대로 모터(M)에 이상이 발생되어 모터 전류 검출부(2)로부터 큰 전류값이 입력되면, 연산증폭기(U)는 양(+)의 전류를 출력한다.
경고부(5)는 과전류 발생 판단부(4)로부터 양(+)의 전류가 인가되면, 발광다이오드(LED)는 발광하여 모터링부(1)에서 과전류가 발생되었음을 경고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는, 이온주입기의 직류모터에 발생되는 과전류 검출하여, 이를 통해 직류모터에 이상이 생겼음을 경고하여 주므로써, 이온주입기의 고장을 신속하게 판단하고, 이에 따라 빠른시간내에 이온주입기를 수리할 수 있도록하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직류 전원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링부; 상기 모터링부의 동작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 상기 모터링부가 정상동작 할 때의 최고 한계치 전류를 기준 값으로하여 기준전류를 발생하는 기준 전류 발생부;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모터링부의 검출전류와 상기 기준전류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기준 전류를 입력하여, 입력된 이 두 값을 비교하여 상기 모터링부에 과전류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전류 발생 판단부; 및 상기 과전류 발생 판단부로부터 출력되는 과전류 발생 판단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모터링부에 과전류가 발생되었음을 경고하여 주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링부는 직류 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직류모터; 상기 전원전압과 직류모터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저항; 접지와 상기 직류모터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 및 상기 직류모터의 +단자 및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는 상기 모터링부로부터 전달된 전류를 통과시키기는 제1저항; 애노드가 상기 제1저항의 일측단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다이오드; 애노드가 접지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1저항의 일측단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 및 상기 제1저항의 일측단과 접지사이에 각각 연결된 커패시터 및 제2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발생부는 과전류 발생 판단부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일측단이 각각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저항; 애노드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다이오드; 및 캐소드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접지에 접속된 제2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발생 판단부는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모터 전류검출부의 출력신호가 비반전단자로 인가되고 상기 기준전류 발생부의 기준전류가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과전류 발생 판단부의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 및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기용 직류모터 이상 검출 회로.
KR2019940017605U 1994-07-15 1994-07-15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KR200179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605U KR200179992Y1 (ko) 1994-07-15 1994-07-15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605U KR200179992Y1 (ko) 1994-07-15 1994-07-15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308U KR960006308U (ko) 1996-02-17
KR200179992Y1 true KR200179992Y1 (ko) 2000-05-01

Family

ID=1938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605U KR200179992Y1 (ko) 1994-07-15 1994-07-15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9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44B1 (ko) * 2005-09-06 2012-06-28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류감지를 이용한 팬 모터의 구동 제어방법
KR102288535B1 (ko) * 2019-12-19 2021-08-11 박증언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수처리시설의 현장감시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308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0545A (ko) Led 표시등 고장 진단 회로
KR101769650B1 (ko) 게이트 전압 감지를 통한 igbt 고장 확인 회로
CN111371065A (zh) 一种伺服驱动器igbt过流关断分级保护电路
KR200179992Y1 (ko) 이온주입기용 직류 모터 이상 검출 회로
KR20030077051A (ko) 차량용 센서의 보호장치
KR100416081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과전류 검출 장치
US6255860B1 (en) Pulse detection circuit,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fan assembly test circuit employing the same
JP3731482B2 (ja) 強電系バッテリの電圧センサ
JP4872652B2 (ja) 電力変換装置
KR100238187B1 (ko) 3상 교류 전원의 상 전압 에러 검출 장치
JPH11160370A (ja) 異常電圧検出回路
KR100464132B1 (ko) 피엘씨에 공급되는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의 순시정전 고속검출장치
KR100525375B1 (ko) Ipm 보호회로
CN114362092B (zh) 一种负载短路保护电路及电子设备
KR940007079B1 (ko) 스위칭 모드파워 서플라이의 보호회로
TWM573431U (zh) Leakage detection device
KR960010036Y1 (ko) 엘리베이터의 에러검출회로
KR200241732Y1 (ko) 공작기계의인버터상태검출회로
KR0126410B1 (ko) 디씨(dc)모터 구동에 따른 유지 보수방법 및 그 장치
JP2022155636A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源装置
KR100240721B1 (ko) 전기 자동차 트랙션 배터리 와이드 차체 단락 감지회로
JPH0857363A (ja) 高電圧発生器内蔵静電塗装ガンの電源ケーブル断線検出装置
KR200165561Y1 (ko) 빔전류/X-레이 보호 회로(beam current/X-ray protection circuit)
CN117584788A (zh) 一种交流充电桩的旁路控制电路及设备
KR890007211Y1 (ko) 전자식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오동작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