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578Y1 -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8578Y1 KR200178578Y1 KR2019990024885U KR19990024885U KR200178578Y1 KR 200178578 Y1 KR200178578 Y1 KR 200178578Y1 KR 2019990024885 U KR2019990024885 U KR 2019990024885U KR 19990024885 U KR19990024885 U KR 19990024885U KR 200178578 Y1 KR200178578 Y1 KR 2001785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loading
- reducer
- bridge frame
- power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7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the crane being detachable from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 B60P1/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mounted o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장치는 브릿지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힌지 결합된 배출구 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베이스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승하강 회전되게 설치되는 적재함, 상기 브릿지 프레임과 적재함에 고정되는 복수의 도르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축이 돌출되는 감속기, 이 감속기의 어느 하나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를 경유하여 브릿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강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적재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끌어 토출시키게 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감속기의 축 어느 하나와 연결됨과 동시에 이송수단과도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됨으로써 다른 부가적인 장비를 대여하거나 구입할 필요없이 기동성있게 장소를 이동하여 곡물류등을 옮길 수 있고, 차량의 적재칸에서 적재함을 승강시키고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곡물류를 수직 파이프의 토출구를 통해 낙하시켜 포대나 통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소수의 인력과 적은 노동력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적재함에 채워진 적재물을 용이하게 배출 및 이송시킬 수 있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량의 짐을 옮기는 데 널리 사용되는 1톤 트럭이나 경운기에는 짐을 싣기 위한 적재칸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적재칸에 다양한 짐을 실을 수 있지만 곡물류와 같이 알갱이로 되어진 것들은 적재칸에 적재시킬시 일일이 퍼서 올리거나 내려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됨과 동시에 적재함을 승하강시키고 스크루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적재장치는 브릿지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구동수단,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힌지 결합된 배출구 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베이스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승하강 회전되게 설치되는 적재함, 상기 브릿지 프레임과 적재함에 고정되는 복수의 도르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축이 돌출되는 감속기, 이 감속기의 어느 하나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를 경유하여 브릿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강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적재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끌어 토출시키게 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감속기의 축 어느 하나와 연결됨과 동시에 이송수단과도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동력전달수단은 복수의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송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가 힌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스크루 컨베이어가 연속으로 연결되며 끝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감속기와 동력전달수단의 사이에 동력 전달을 단속시키는 클러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베이스 플레이트 4:적재함
6:브릿지 프레임 8:풀리
10:모터 12:감속기
14:강선 16:이송수단
18:동력전달수단 20:커플링
22:윈치 24:클러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적재장치는 브릿지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 적재함(4), 브릿지 프레임(6)과 적재함(4)에 고정되는 풀리(8), 구동수단(10), 감속기(12), 일단이 브릿지 프레임(6)에 고정되고 타단이 구동수단(10)과 연결되는 강선(14), 이송수단(16) 및 동력전달수단(18)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전방에는 브릿지 프레임(bridge frame;6)이 설치되고, 그 브릿지 프레임(6)의 상부 프레임에는 풀리(8)가 고정된다.
적재함(4)은 상부에 덮개(4a)가 설치되고 후방의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그 배출구는 힌지 설치된 배출구 커버(4b)에 의해 개폐된다. 배출구 커버(4b)에는 록킹장치(도시 생략)가 장착되어진다. 적재함(4)의 전방 하부에는 풀리(8)가 고정된다. 적재함(4)의 후방 하부 가장자리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다.
구동수단으로 사용되는 모터(10)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고, 모터(10)의 구동축(10a)에는 후술하는 감속기(12)가 커플링(20)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감속기(12)는 세 방향으로 축이 돌출되고, 그 축의 하나는 상술한 모터(10)의 구동축(10a)과 연결되며, 나머지 두 개인 풀리축(12a)과 윈치축(12b)은 후술하는 강선(14)과 동력전달수단(18)에 연결된다. 감속기(12)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 일방향으로 입력된 회전력이 두 개의 축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감속기(12)에는 변환레버(12c)가 설치되어 동력전달을 풀리축(12a) 또는 윈치축(12b)으로 변환할 수 있고, 또한 풀리축(12a)과 윈치축(12b) 모두로도 동력전달이 가능하며, 모터(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감속기 내부 기어들의 적절한 맞물림에 의해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윈치축(12b)으로 전달된다.
강선(14)은 상술한 감속기(12)의 윈치축(12b)과 연결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윈치축(12b)에 고정되는 윈치(winch;22)의 둘레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브릿지 프레임(6)과 적재함(4)에 고정된 풀리(8)를 경유하여 브릿지 프레임(6)의 일측 적소에 고정된다.
동력전달수단(18)은 복수의 풀리(18a)와 벨트(18b)로 구성되는데, 복수의 풀리(18a)는 전술한 감속기(12)의 풀리축(12a)과 결합되는 전방 풀리(18a)와, 후술하는 이송수단(16)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후방 풀리(18c)로 구성된다. 전방 풀리(18a)와 후방 풀리(18c)는 벨트(12b)로 연결된다.
한편, 풀리축(12a)에는 동력 전달을 단속시키는 클러치(24)가 설치되어 상술한 변환레버(12c)를 조정시킴으로써 모터(10)에서 동력전달수단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시킨다.
이송수단(16)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16a)(16b)가 힌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스크루 컨베이어(16c)가 연속으로 연결되며 끝부분에 토출구(16d)가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이송수단(16)은 베이스 플레이트(2)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히 이송수단(16)을 살펴보면, 수평 파이프(16a)와 수직 파이프(16b)는 서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 파이프(16b)의 위치 변환이 가능하며, 수평 파이프(16a)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수평 파이프(16a)의 길이 방향으로는 유입구(16aa)가 형성되며, 그 유입구(16aa)는 수평 파이프(16a)에 힌지 고정되는 유입구 커버(16ab)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수직 파이프(16b)의 상부 끝부분에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토출구(16d)가 형성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곡물류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수평 파이프(16a)와 수직 파이프(16b)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루 컨베이어(16c)가 내장되는데, 그 두 스크루 컨베이어(16c)는 두 파이프(16a)(16b)의 연결부위에서 기어, 예를 들면 베벨기어와 같은 방향 전환이 가능한 기어로 연결된다.
그리고, 수평 파이프(16a)에 내장된 스크루 컨베이어(16c)의 회전축(26)에는 전술한 동력전달수단(18)의 일부인 풀리(18c)가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적재장치는 도시 생략된 차량의 적재칸에 탑재된 상태에서 적재함(4)에 곡물류을 싣고 차량을 운전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곡물류를 배출시킬 곳에 도착하게 되면, 우선 모터(10)를 작동하여 구동축(10a)을 통해 감속기(12)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감속기(12)에서 감속된 회전력은 윈치축(12b)과 연결된 윈치(22)를 회전시킨다.
윈치(22)의 회전에 의해 강선(14)이 감겨지고, 강선(14)의 타단이 브릿지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함(4)이 베이스 플레이트(2)의 후방의 중심으로 회전되어 적재함(4)의 전방이 승강된다.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모터(10)의 작동을 중지시켜 적재함(4)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 상태에서 감속기(12)의 변환레버(12c)를 조절하여 모터(1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풀리축(12a)을 통해 전방 풀리(18a)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제안된 클러치(24)는 동력을 단속할 수 있다. 전방 풀리(18a)와 후방 풀리(18c)를 연결한 벨트(18b)에 의해 동력은 스크루 컨베이어(16c)를 회전된다.
이어서, 수평 파이프(16a)의 유입구 커버(16ab)를 연 후 배출구 커버(4b)의 록킹장치를 해제하여 배출구를 개방시키면 적재함(4)에 채워졌던 곡물류가 유입구(16aa)를 통해 수평 파이프(16a)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곡물류는 스크루 컨베이어(16c)에 의해 수직 파이프(16b) 방향으로 이송된 후 수직 파이프(16b)의 스크루 컨베이어(16c)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된 후 토출구(16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포대 또는 기타 적재 가능한 통(30)에 곡물류를 담아 내게 된다.
담는 작업이 종료되면, 변환레버(12c)를 조정하여 클러치(24)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전방 풀리(18a)로 전달된 동력이 차단되며, 스크루 컨베이어(16c)의 동작도 멈추게 된다.
그리고, 감속기(12)의 변환레버(12c)를 다시 조작하여 모터(10)의 동력이 윈치(22)로 전달되도록 하는데, 이때의 모터(10) 회전방향은 최초 적재함을 승강시킬 때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윈치(22)가 회전되면서 강선(14)을 서서히 풀어 적재함(4)의 전방이 하강되고, 하강이 종료되면 모터(10)의 동작을 멈춤으로써 모든 작업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적재장치는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됨으로써 기동성있게 장소를 이동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적재장치는 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됨으로써 다른 부가적인 장비를 대여하거나 구입할 필요없이 기동성있게 장소를 이동하여 곡물류등을 옮길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적재칸에서 적재함을 승강시키고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곡물류를 수직 파이프의 토출구를 통해 낙하시켜 포대나 통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소수의 인력과 적은 노동력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Claims (4)
- 브릿지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구동수단;후방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힌지 결합된 배출구 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승하강 회전되게 설치되는 적재함;상기 브릿지 프레임과 적재함에 고정되는 복수의 풀리;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축이 돌출되는 감속기;상기 감속기의 어느 하나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브릿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강선;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적재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끌어 토출시키게 하는 이송수단; 및상기 감속기의 축 어느 하나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수단과도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며,차량의 적재칸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복수의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가 힌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스크루 컨베이어가 연속으로 연결되며, 끝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와 동력전달수단의 사이에 동력 전달을 단속시키는 클러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885U KR200178578Y1 (ko) | 1999-11-13 | 1999-11-13 |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885U KR200178578Y1 (ko) | 1999-11-13 | 1999-11-13 |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8578Y1 true KR200178578Y1 (ko) | 2000-04-15 |
Family
ID=1959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4885U KR200178578Y1 (ko) | 1999-11-13 | 1999-11-13 |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8578Y1 (ko) |
-
1999
- 1999-11-13 KR KR2019990024885U patent/KR20017857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3016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and loading apparatus therefor | |
US20220106106A1 (en) | Bulk material receiving, conveying, storing, and dispensing | |
CN111874614A (zh) | 一种双流程高效自动化散货装箱系统及方法 | |
CN215974035U (zh) | 一种码包装车设备 | |
KR200178578Y1 (ko) | 적재물 이송수단을 갖는 적재장치 | |
CA3200288A1 (en) | Bulk material receiving, conveying, storing, and dispensing | |
AU2014100919A4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ised bulk Handling to load and discharge dry bulk goods | |
CN210286040U (zh) | 一种装车机器人的码垛总成 | |
CN206551936U (zh) | 货物卸载机以及运输货车 | |
EP0562688B1 (en) | Device for unloading a container for parcel goods, more particularly for postal parcels | |
CN217534742U (zh) | 一种集装箱卸粮安全控制装置 | |
KR101298761B1 (ko)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
US4525070A (en) | Rotary mixing apparatus | |
CN112079135B (zh) | 用于搅拌站的物料输送控制方法和搅拌站 | |
CN219771620U (zh) | 一种用于物料输送的提升机 | |
KR20050001982A (ko) | 탑차용 화물 이송장치 | |
US5197843A (en) |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unitary cargo onto and from ships | |
CN201923528U (zh) | 开顶集装箱 | |
CN213801990U (zh) | 饲料原料卸料系统 | |
CN214298344U (zh) | 一种卸料机头 | |
CN210654582U (zh) | 一种集装箱 | |
CA1297448C (en) | Apparatus for lifting and tilting drums of flowable material | |
KR20020031974A (ko) |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덮개 개폐장치 | |
CN216661786U (zh) | 一种吨包卸料装置 | |
CN216333866U (zh) | 方便卸料的挡板周转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