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215Y1 -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 Google Patents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215Y1
KR200178215Y1 KR2019990019373U KR19990019373U KR200178215Y1 KR 200178215 Y1 KR200178215 Y1 KR 200178215Y1 KR 2019990019373 U KR2019990019373 U KR 2019990019373U KR 19990019373 U KR19990019373 U KR 19990019373U KR 200178215 Y1 KR200178215 Y1 KR 200178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organic
organic fertilizer
anaerobic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행
Original Assignee
정연종
주식회사체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종, 주식회사체크 코리아 filed Critical 정연종
Priority to KR2019990019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215Y1/ko
Priority to KR2019990026089U priority patent/KR200180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비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질 비료로부터 추출해낸 유효성분에 화학비료성분과 미량원소의 무기질 성분을 첨가시켜 비료성분을 보완시킨 유·무기질 복합비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화학비료는 토양의 산성화를 가속화시키고 지력을 약화시키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유기질 비료를 권장하고 있으나 이는 시비 후 발생하는 가스로 인하여 작물이 떠서 죽는 폐단이 있으므로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유기질 비료를 발효시킨 후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부족되는 화학비료성분과 미량원소의 무기질 성분을 첨가시켜 비료성분을 보완시켜 농가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는 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A complex liquid fertilizer composed of organic component as the chief ingredient}
화학비료의 발달과 함께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에 100% 화학비료를 사용하고 있다. 화학비료는 속효성으로 작용하여 농작물의 생산을 증대시키고 비료성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장점이 있으나 토양의 산성화를 가속화시키고 지력을 약화시켜 각종 병해(바이러스성병 등)에 견디는 힘이 약화되어 농약사용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기질 비료 시비가 권장되고 있으나 유기질 비료인 퇴비는 자체 생산이 어렵고 시비하기가 번거로워서 회사의 제품을 이용하고 있으며, 각 유기질 퇴비 회사에서는 발효가 어려운 톱밥을 주원료로 하여 미발효 퇴비를 생산하고 있어 미발효 퇴비 시비 후 발생하는 암모니아 등의 가스로 인해 작물이 떠서 죽는 폐단이 있으므로 농가에서는 유기질 비료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질 비료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무기질 비료로 보완하여 농가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유기질 비료를 발효시킨 후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여기에 부족되는 화학비료성분과 미량원소의 무기질 성분을 첨가시켜 비료성분을 보완시키는 데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흐름도
1차 호기성균에 의한 발효 단계 : 유기질 비료의 원료로서 탈지강, 깻묵, 대두박, 유체박, 계분, 돈분, 우분, 베아박 등을 수분 20∼30%, 온도 35∼50℃의 조건에서 산소주입구 및 배기구를 설치하여 통기를 원활히 하면서 호기성균에 의하여 호기성 발효실에서 3∼4일 동안 1차 발효시킨다.
2차 호기성균에 의한 발효 단계 : 1차 발효된 유기질 비료원료를 뒤집으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수분 20∼30%, 온도 35∼50℃하에서 통기를 원활하게 하여 3∼4일 동안 호기성 발효실에서 2차 발효시킨다.
3차 혐기성균에 의한 발효 및 1차 추출 단계 : 외부공기가 차단된 혐기성 발효실에서 호기성 균에 의하여 2차 발효된 유기질 비료를 용질로서 그리고 물을 용매로서 각각 50%의 비율로 혼합하고 30∼50℃에서 48시간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혐기성균에 의하여 3차 발효하면서 추출기로 유기질 비료원료로부터 유효 유기비료성분액을 1차 추출한다.
2차 추출 및 미량원소 첨가 단계 : 3차 혐기성균에 의한 발효와 동시에 추출된 유기질 비료원료(추출박(抽出粕))를 용질로서 그리고 1차 추출한 유기비료액을 용매로서 50℃에서 약 48시간 혐기성균에 의하여 발효하면서 추출기(抽出器)로 재차 추출한 추출액에 화학비료(질소, 인산(아인산), 카리 등)와 함께 미량원소인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아연, 구리, 철, 황, 칼슘, 붕산 등 무기원소를 혼합기(混合器)에 보완첨가하여 혼합한다.
제품완성 단계 : 이와 같이 완성된 유기질 비료추출물을 품질검사 후 포장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유기물을 완전히 발효 분해시키고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액체화하고 여기에 부족되는 화학비료와 미량원소의 무기질 비료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농가에서 필요에 따라 언제나 손쉽게 시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유기질 비료성분이 주원료로 투입됨에 따라 비료성분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또한 유기질 비료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지력이 회복되므로 각종 바이러스 병균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 농약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파괴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유기질 비료의 원료로서 탈지강, 깻묵, 대두박, 유체박, 계분, 돈분, 우분, 베아박 등을 수분 20∼30%, 온도 35∼50℃의 조건에서 호기성균에 의하여 3∼4일씩 1차와 2차로 반복 발효시키기 위하여 산소주입구 및 배기구를 설치한 호기성 발효실과, 2차 호기성균에 의하여 발효된 유기질 비료 50%와 물 50%의 비율로 혼합하고 30∼50℃에서 48시간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혐기성균에 의하여 다시 3차 발효하면서 유기물질로부터 유효 유기비료성분액을 1차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가 설치되고 외부공기가 차단된 혐기성 발효실과, 3차 혐기성 균에 의하여 발효와 동시에 추출된 유기질 비료원료(抽出粕)를 용질로서 그리고 1차 추출한 유기비료액을 용매로서 50℃에서 약 48시간 혐기성균에 의하여 재차 추출하는 추출기(抽出器)와, 이 추출물에 화학비료(질소, 인산(아인산), 카리 등)와 함께 미량원소인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아연, 구리, 철, 칼슘, 붕산 등 무기원소를 보완첨가하는 혼합기(混合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질 복합비료 제조장치'
KR2019990019373U 1999-08-13 1999-09-10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KR200178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373U KR200178215Y1 (ko) 1999-09-10 1999-09-10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KR2019990026089U KR200180591Y1 (ko) 1999-08-13 1999-11-25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373U KR200178215Y1 (ko) 1999-09-10 1999-09-10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215Y1 true KR200178215Y1 (ko) 2000-04-15

Family

ID=1958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373U KR200178215Y1 (ko) 1999-08-13 1999-09-10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6B1 (ko) 2010-12-28 2013-08-19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수박 관비재배용 유기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6B1 (ko) 2010-12-28 2013-08-19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수박 관비재배용 유기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24227B (zh) 一种水稻专用有机无机复合生物药肥及其制备方法
CN102659456B (zh) 一种氨基酸有机复合肥及其生产方法
CN104844374A (zh) 一种甘蔗专用缓释肥
CN104557238A (zh) 一种高效生物冲施肥
CN101913954A (zh) 一种果树专用型功能生物有机(无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3694006A (zh) 一种生物有机肥生产工艺
CN108101643A (zh) 一种抗病型水溶肥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117449A (zh) 一种抗病型木醋液水溶肥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261954A (zh) 一种葡萄用化肥
CN105000993A (zh) 一种具有高渗透性的液体肥及其制备方法
CN104628442A (zh) 一种黄瓜用组合肥料及其使用方法
CN108191581A (zh) 一种生物有机滴灌肥料及其制备方法
CN105967856A (zh) 一种解磷解钾固氮菌型含腐植酸液体肥及其制备方法
CN104628461A (zh) 一种黄瓜专用复合肥
KR100360341B1 (ko)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CN101628830A (zh) 一种堆肥过程中减少氮素损失的方法
CN101811913B (zh) 一种沼液蔬菜促生防病制剂
CN105565918A (zh) 植物营养套餐绿色有机肥
CN105693293A (zh) 一种多功能微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
CN103896659B (zh) 一种利用糖厂、酒精厂、味精厂、酵母厂废弃物的腐植酸型流体或固体有机肥组合物
CN104892172A (zh) 一种添加有贝壳粉的有机肥生产工艺
CN113149725A (zh) 一种再发酵的富硒生物有机肥及其生产方法
KR200178215Y1 (ko) 유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한 복합액체비료
CN106588195A (zh) 高效复混肥的制备方法
CN110590450A (zh) 一种有机液体肥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