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061Y1 -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061Y1
KR200178061Y1 KR2019990025448U KR19990025448U KR200178061Y1 KR 200178061 Y1 KR200178061 Y1 KR 200178061Y1 KR 2019990025448 U KR2019990025448 U KR 2019990025448U KR 19990025448 U KR19990025448 U KR 19990025448U KR 200178061 Y1 KR200178061 Y1 KR 200178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vane
air conditioner
wind
air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5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체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날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조작수단과, 상기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풍향날개를 닫아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으로 이루어져, 흡입그릴체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풍향날개에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시에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므로 풍향날개를 완전히 닫아줄 수 있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louver clos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시에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켜 풍향날개를 완전히 닫아주는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면상부에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된 흡입그릴체(5)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하부에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토출하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7)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풍향날개(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7)의 우측에는 리모트 콘트롤러(11;이하, 리모콘이라 한다)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로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흡입구(3)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키는 일자형상의 실내열교환기(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5)의 후측하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5)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팬(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5)의 후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7)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5)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열교환기(15)에서 열교환시킬 때에 토출되는 찬 공기와 실내공기의 혼합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중의 수분 즉, 제상수를 한 곳으로 모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11)을 조작하여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가 한다)를 누른다음 원하는 운전모드(예를들면, 냉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향, 설정풍량을 입력하면, 풍향날개(9)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풍향날개(11)를 열어 주면서 실내팬(17)이 설정풍량에 따라 회전하여 실내공기가 실내기(1)내로 흡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실내기(1)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실내기(1)내의 도시되지 않은 온도센서에서 감지하면, 실내기(1)에서는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를 비교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도시안됨)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실내열교환기(15)가 냉각되므로 실내기(1)내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내열교환기(15)를 통과하면서 냉풍으로 열교환되어 덕트부재(19)의 안내를 받아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은 설정풍향에 따라 위치가 조절된 풍향날개(7)의 풍향각도에 의해 풍향이 조절되면서 냉방운전을 행한다.
이후, 운전키가 오프되면 모든 부하(압축기, 실내팬 등)가 정지되면서 풍향날개(9)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여 풍향날개(9)를 닫아주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운전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정지시 풍향날개(9)가 닫힐 때에 풍향날개(9) 자체의 하중 때문에 풍향날개(9)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흡입그릴체(5)와 풍향날개(9)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 실내의 먼지 등이 유입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입그릴체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풍향날개에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시에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므로 풍향날개를 완전히 닫아줄 수 있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체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날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조작수단과, 상기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풍향날개를 닫아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내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내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력발생수단의 상세회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를 닫아주기 위한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3 : 흡입구
5 : 흡입그릴체 7 : 토출구
9 : 풍향날개 31 : 마그네트
33 : 전자석 104 : 제어수단
110 : 풍향조절수단 118 : 자력발생수단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향날개(9)의 양측내면에는 마그네트(31)가 설치되어 있고, 흡입그릴체(5)의 양측하면에는 풍향날개(9)를 흡입그릴체(5)에 밀착시켜 풍향날개(9)를 완전히 닫아주도록 상기 마그네트(31)와 반대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상용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난방, 제습, 송풍 등)와 설정풍량, 설정풍향, 설정온도(Ts),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 운전조작수단(102)은 실내기(1)의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된 키입력부(103)와, 리모콘(11)의 키조작에 따라 리모콘(9)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면 풍향날개(9)를 흡입그릴체(5)에 밀착시켜 상기 풍향날개(9)를 완전히 닫아주도록 상기 전자석(33)의 구동을 제어한다.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은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고, 압축기구동수단(110)은 설정온도(Ts) 및 실내온도(Tr)의 비교결과에 따라 압축기(111)를 구동시킨다.
또한, 풍향조절수단(112)은 설정풍향에 따라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스텝핑모터(113)를 구동하여 풍향날개(9)를 이동시킨다.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은 설정온도(Ts) 및 실내온도(Tr)의 비교결과에 따라 실외팬(115)을 구동시키고,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은 실내열교환기(15)에서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117)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17)을 구동시킨다.
또, 자력발생수단(118)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이 자력발생수단(118)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저항(R1)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턴온동작시에 구동하는 릴레이(RY1)와, 상기 릴레이(RY1)의 구동시에 상기 풍향날개(9)를 흡입그릴체(5)에 밀착시켜 풍향날개(9)를 완전히 닫아주도록 마그네트(31)를 당기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를 닫아주기 위한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7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상용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실내기의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된 키입력부 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운전/정지키를 누른다음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예를들면, 냉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하면,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가 제어수단(10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NO일 경우)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신호가 입력되면(YES일 경우) 풍향날개(9)를 흡입그릴체(5)에서 분리시키도록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출력단자(P1)를 통해 로우레벨(Low level)의 제어신호를 자력발생수단(11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가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면, 릴레이(RY1)에 전류가 유기되지 않아 릴레이(RY1)의 접점이 오프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자석(33)에 인가되는 전압(VCC)이 차단되어 전자석(33)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흡입그릴체(5)에 설치된 전자석(33)으로부터 풍향날개(9)에 설치된 마그네트(31)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흡입그릴체(5)에서 풍향날개(9)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S4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17)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에 출력함과 동시에 풍향날개(9)를 열림 위치로 이동하기위한 구동펄스를 풍향조절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6)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117)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17)을 구동시키고, 풍향조절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펄스를 입력받아 스텝핑모터(113)를 회전시킴으로서 스텝핑모터(113)의 회전축에 장착된 풍향날개(9)가 설정풍향에 따라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풍향날개(9)를 열어 준다.
상기 실내팬(17)이 구동되면, 실내공기가 실내기(1)내로 흡입되기 시작하는데, 이때에 실내기(1)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서 감지한다.
이때, 스텝S5에서는 소정시간(압축기를 보호하기위한 지연시간, 약 3분 정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NO일 경우)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하면(YES일 경우)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가를 비교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지 않으면(NO일 경우) 실외기의 운전동작을 대기하면서 상기 스텝S5로 복귀하여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면(YES일 경우) 스텝S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111)와 실외팬(115)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10)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10)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111)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4)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실외팬(115)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11)와 실외팬(115)이 구동되기 시작하면, 냉매의 순환에 따라 실내열교환기(15)가 냉각되므로 스텝S8에서는 실내팬(17)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기(1)내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내열교환기(15)를 통과하면서 냉풍으로 열교환되어 덕트부재(19)의 안내를 받아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은 풍향날개(9)의 풍향각도에 따라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냉방을 행한다.
상기의 냉방운전중에, 스텝S9에서는 운전조작수단(102)의 운전키가 오프되어 운전정지신호가 제어수단(104)에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NO일 경우) 상기 스텝S8로 복귀하여 냉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9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면(YES일 경우) 스텝S10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압축기(111), 실외팬(115) 및 실내팬(17)을 정지시켜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정지하고, 스텝S11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풍향날개(9)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펄스를 풍향조절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풍향조절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펄스를 입력받아 스텝핑모터(113)를 회전시킴으로써 풍향날개(9)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여 풍향날개(9)를 닫아주게 되는데, 상기 풍향날개(9)가 닫힐 때에 풍향날개(9) 자체의 하중 때문에 풍향날개(9)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흡입그릴체(5)와 풍향날개(9) 사이에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틈새(ⓦ)가 벌어진다.
이에 따라, 스텝S12에서 제어수단(104)은 출력단자(P1)를 통해 하이레벨(High level)의 제어신호를 자력발생수단(11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4)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VDD)에 의해 전류가 릴레이(RY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를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릴레이(RY1)의 접점이 온된다.
상기 릴레이(RY1)가 온되면, 외부로부터 전자석(33)에 전압(VCC)이 인가되어 전자석(33)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전자석(33)으로부터 마그네트(31)를 당기는 힘을 갖는 자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스텝S13에서는 상기 전자석(33)이 설치된 흡입그릴체(5)에 마그네트(31)가 설치된 풍향날개(9)가 밀착되어 풍향날개(9)를 완전히 닫아주므로 먼저 등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에 의하면, 흡입그릴체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풍향날개에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시에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므로 풍향날개를 완전히 닫아줄 수 있어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체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날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운전조작수단과,
    상기 운전조작수단으로부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풍향날개를 닫아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날개의 양측내면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시에 구동하는 릴레이(RY1)와, 상기 릴레이(RY1)의 구동시에 상기 풍향날개를 흡입그릴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마그네트를 당기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흡입그릴체의 양측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KR2019990025448U 1999-11-19 1999-11-19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KR200178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48U KR200178061Y1 (ko) 1999-11-19 1999-11-19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48U KR200178061Y1 (ko) 1999-11-19 1999-11-19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061Y1 true KR200178061Y1 (ko) 2000-04-15

Family

ID=1959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448U KR200178061Y1 (ko) 1999-11-19 1999-11-19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0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42B1 (ko) * 2005-12-30 2007-05-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측면토출커버 밀폐구조
CN110906544A (zh) * 2019-12-19 2020-03-24 都匀市嘉予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空气能热水器外机用防尘蒸发器
EP3657087A1 (en) * 2018-11-26 2020-05-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Vent assembly for blow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42B1 (ko) * 2005-12-30 2007-05-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측면토출커버 밀폐구조
EP3657087A1 (en) * 2018-11-26 2020-05-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Vent assembly for blow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N110906544A (zh) * 2019-12-19 2020-03-24 都匀市嘉予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空气能热水器外机用防尘蒸发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19694A (ja)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197683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178061Y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닫힘장치
KR19990042958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45006B1 (ko) 공기조화기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50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187240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0168251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234092B1 (ko)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3104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KR1001872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307720B1 (ko) 공기조화기의정전복귀운전장치및그방법
KR018258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308561B1 (ko) 공기조화기의덕트운전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6817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321241B1 (ko) 공기조화기의이슬맺힘방지장치및그방법
KR10018722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5076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018727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44316B1 (ko) 공기조화기의온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2565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508482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0182546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