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06Y1 -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06Y1
KR200177906Y1 KR2019960057338U KR19960057338U KR200177906Y1 KR 200177906 Y1 KR200177906 Y1 KR 200177906Y1 KR 2019960057338 U KR2019960057338 U KR 2019960057338U KR 19960057338 U KR19960057338 U KR 19960057338U KR 200177906 Y1 KR200177906 Y1 KR 200177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locking
moving means
guide hol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210U (ko
Inventor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7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다리와 횡간으로 이루어져 전,후진 이동되는 스트라이커(1);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공(21)과, 이 가이드공(21)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 가이드공(21)내에 설치된 가이드핀(23)과, 이동상태를 정지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잠금홈(2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트라이커(1)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이동수단(2); 상기 이동수단(2)의 상,하에 각각 일단부 축점(31)(31')을 축지하고 그 중간부 탄발점(32)(32')는 코일스프링등으로 탄발시키고 타단부 집게(33)(33')는 글로브홈(34)(34')을 형성하여 각각 상기 이동수단(2)의 전,후진에 따라 편심회동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1)의 상,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거나 해제하기 위한 걸림수단(3)과, 상기 이동수단(2)의 이동상태를 일시적으로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로드부재(5)에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잠금홈(22)에 접촉되도록 탄설되어 중점(41)을 중심으로 좌,우 작동되는 잠금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트라이커와 이에 접촉하는 이동수단의 이동작동에 따라 록킹작동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록킹순간의 충격을 줄이면서 록킹 작동이 원활하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자석에는 슬라이딩되는 시트트랙구조의 로킹장치가 제공되고, 뒤자석에는 차량의 형태에 따라 시트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시트의 로킹장치를 제공하고 있었다.
종래에 알려져온 자동차 뒷자석의 시트의 록킹장치는 스트라이커를 차체 패널 등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회전 래치구조 혹은 래치구조에 캐처를 결합한 구조등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상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록킹장치들에 있어서는 알려진 대로 1차적인 록킹을 위하여 스트라이커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걸림작동을 주게 되고, 걸림 후 잠금상태를 일정시간동안 유지하더라도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빠질수 있는 경우가 생기게 됨으로서, 고장이 잦고 스트라이커와의 충격에 의하여 캐처 혹은 래치 등이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록킹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통해서 안출된 본 고안은, 간단한 작동원리로 잔고장이 없으면서 충격에도 견고한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잠금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해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라이커 2 : 이동수단
3 : 걸림수단 4 : 잠금수단
5 : 로드부재 21 : 가이드공
22 : 잠금홈 23 : 가이드핀
31,31' : 힌지축 32,32' : 탄발스프링
33,33' : 집게 34,34' : 글로브홈
41 : 축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다리가 횡간으로 이루어져 전,후진 이동되는 스트라이커와;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공과, 이 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 가이드공내에 설치된 가이드핀과; 이동상태를 정지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잠금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하부 일단에 각각의 힌지축을 축지하고, 그 축상에는 탄력스프링으로 탄발시키고 타단부에는 글로브홈을 갖는 집게를 형성하여 각각 상기 이동수단의 전,후진에 따라 편심회동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거나 해제하기 위한 걸림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상태를 일시적으로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로드부재에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잠금홈에 접촉되도록 탄설되어 중점을 중심으로 좌,우 작동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간단한 이동수단의 전,후진 작동과 이의 해제로서 잠금 및 해제기능이 달성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종래 래치와 이에 결합된 캐처수단수의 구조에 의한 록킹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 록킹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도 2는 이같은 장치의 록킹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해제상태를 각기 나타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를 각기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스트라이커(1)와, 이 스트라이커(1)와의 전,후진 접촉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수단(2)과, 이 이동수단(2)의 이동시에 접어지거나 해제되는 걸림수단(3)과, 이동수단(3)의 이동상태를 멈추게 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잠금수단(4)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라이커(1)는 두 개의 다리부와 이 다리부를 잇는 횡간부로 연결되어 이동가능하거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접촉하면서 충격을 받는 이동수단(2)은 직사각형의 수평부재로서 그 일단부가 상기 스트라이커(1)에 접촉하게 되며, 타단부에는 가이드공(21)이 뚫려있고 그 내부에는 가이드핀(23)이 위치하며 중간부분에는 잠금홈(22)이 형성된다.
즉,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공(21)과, 이 가이드공(21)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 가이드공(21)내에 설치된 가이드핀(23)과, 이동상태를 정지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잠금홈(2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트라이커(1)의 전,후진에 대응하면서 이동된다. 이와같은 이동수단(2)의 상기 일단부 상,하에는 이동수단(2)의 상,하에 각각 일단부 힌지축(31)(31')을 축지하고, 그 중간에는 탄력을 줄 수 있는 탄력스프링(32)(32') 등으로 탄발시키고 타단부 집게(33)(33')는 글로브홈(34)(34')을 형성하여, 각각 상기 이동수단(2)의 전,후진에 따라 편심회동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1)의 상,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1)를 걸거나 해제하기 위한 걸림수단(3)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2)의 이동상태는 일시적으로 잠그거나 해제되도록 하게 되며, 이것은 일단이 로드부재(5)에 연결되고 타단이 잠금홈(22)에 접촉되도록 탄설되어 중점(41)을 중심으로 좌,우 작동되는 잠금수단(4)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잠금수단(4)의 두께의 폭을 잠금홈(22)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집개(3)의 일단부가 잠금수단(4)의 하단부와 면접촉하여 작용시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구성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트라이커(1)가 이동수단(2)을 밀면 가이드핀(23)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잠금수단(4)이 이동수단(2)의 잠금홈(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양측의 걸림수단(3,3')을 누르면서 스트라이커(1)를 로킹하게 되는 구조이다.
로킹해제시는 로드부재(5)를 누르게 되면 잠금수단(4)이 회전하면서 이동수단(2)을 이탈하게 되면서 잠금수단(4)에 의해 눌려있던 양 걸림수단(3,3')이 탄력스프링(32,32')에 의해 원상복귀 된다.
즉, 도 1의 열린상태에서 스트라이커(1)가 이동수단(2)에 근접하면서 이동수단(2)을 밀면 이동수단(2)은 가이드공(21)내의 가이드핀(23)을 따라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도 2와 같이 걸림수단(3)의 집게(33)(33')가 스트라이커(1)를 향해 상,하 방향에서 각각 오프라들어 스트라이커(1)를 걸어 록킹상태가 되며, 이 상태는 다시 하방으로 항상 탄력을 받는 잠금수단(4)이 잠금홈(22)에 걸리면서 유지된다.
상기에서 집계(33)(33')가 회동되면서 탄력을 받는 것은 일단부를 이동수단(2)에 힌지축(31)으로 회동가능하게 한 뒤 걸리는 탄력스프링(32)(32')에 의해 각각 탄력을 갖게 하므로서 가능하다.
이후 록킹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면 상술한 바와같이(도 3과 같이)로드부재(5)를 당겨올려 이동수단(2)의 잠금홈(22)에 걸린 잠금수단(4)을 이탈시켜 전방으로 탄력을 받는 이동수단(2)이 이동되도록 하므로서, 걸림수단(3)의 집게(33)(33')가 벌어짐과 동시에 스트라이커(1)가 후진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록킹장치들이 갖는 고정 스트라이커에 접촉하는 래치와 이 래치에 접촉하는 캐처의 구조 등에 의한 시트 록킹장치의 구조적인 복잡성을 개선하고 보다 부품수를 줄이고도 확실한 록킹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다리가 횡간으로 이루어져 전,후진 이동되는 스트라이커와;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공과, 이 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 가이드공내에 설치된 가이드핀과; 이동상태를 정지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잠금홀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하부 일단에 각각의 힌지축을 축지하고, 그 축상에는 탄력스프링으로 탄발시키고 타단부에는 글로브홈을 갖는 집게를 형성하여 각각 상기 이동수단의 전,후진에 따라 편심회동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하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거나 해제하기 위한 걸림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상태를 일시적으로 잠그거나 해제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로드부재에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잠금홈에 접촉되도록 탄설되어 중점을 중심으로 좌,우 작동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로킹장치.
KR2019960057338U 1996-12-26 1996-12-26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KR200177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338U KR200177906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338U KR200177906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210U KR19980044210U (ko) 1998-09-25
KR200177906Y1 true KR200177906Y1 (ko) 2000-04-15

Family

ID=1948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338U KR200177906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89B1 (ko) * 2007-02-23 2007-09-03 (주)케이엠앤아이 래치 어셈블리
KR101455337B1 (ko) * 2013-09-16 2014-10-27 권익형 차량용 도어 스톱장치
KR102098912B1 (ko) * 2019-01-22 2020-04-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유닛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210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2695A1 (en) Device comprising a momentary contact switch for actuating a lock on a door or hinged lid, in particular, for a vehicle
KR20210046908A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락 장치
JP4586304B2 (ja) 引出形電気機器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CN110537795A (zh) 一种触碰自动弹出抽屉的弹出装置和控制方法
KR200177906Y1 (ko) 자동차 시트의 로킹 장치
KR101226613B1 (ko) 자동차 엔진을 시동 및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3507132A (en) Door handle construction
CN111776922B (zh) 异步门刀装置
CN210342946U (zh) 一种斜舌防反推式锁定的防盗锁
CN214003754U (zh) 单刀活动式异步门刀装置
CN213505525U (zh) 异步门刀装置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2580077Y2 (ja) 錠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の空動き防止装置
JP3737655B2 (ja) グラブドアロック装置
CN213679397U (zh) 同步门刀装置
KR100329067B1 (ko) 자동차용 잠금 장치
CN212400862U (zh) 一种天窗锁止机构
CN112551328A (zh) 单刀活动式异步门刀装置
JP3722877B2 (ja) ドアガード
CN114541899B (zh) 门钩连接机构、门锁以及电器
CN217631774U (zh) 一种杠杆式手柄锁
RU2735106C1 (ru) Запирающий механизм устройств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дозволе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4346803B2 (ja) 面付ガードアーム錠。
KR10043201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S6283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