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593Y1 -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593Y1
KR200177593Y1 KR2019960026751U KR19960026751U KR200177593Y1 KR 200177593 Y1 KR200177593 Y1 KR 200177593Y1 KR 2019960026751 U KR2019960026751 U KR 2019960026751U KR 19960026751 U KR19960026751 U KR 19960026751U KR 200177593 Y1 KR200177593 Y1 KR 200177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unit
torsion spring
lead
lead screw
optic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153U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26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59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1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593Y1/ko

Link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픽업 유닛의 리드 너트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리드너트의 한쪽 측면에서 공간으로 고정핀이 형성되며, 고정핀에 토션 스프링의 감김부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이 끼워져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의 한쪽 끝은 자유단으로서 리드 스크류의 나사골에 탄성력을 측방향으로 부여하도록 맞물리게 되며, 토션 스프링의 다른쪽 끝은 고정단으로서 픽업 유닛의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유지된다.
따라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토션 스프링의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픽업 유닛의 리드 너트가 리드 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력을 부여받을 뿐만 아니라, 백 래시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픽업 유닛의 이송이 정밀하게 수행되므로, 픽업 유닛의 재생 특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해져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제1도는 일반적인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2a, b도는 종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4a,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 메인 섀시 11 : 드라이브 유닛
12 : 베이스 플레이트 15 : 가이드
16 : 리드 스크류 20 : 픽업 유닛
22 : 슬라이더 23 : 리드 너트
40 : (리드 너트사이의) 공간 41 : 고정핀
45 : 토션 스프링 46 : (토션 스프링의) 감김부
47 : (토션 스프링의) 자유단 48 : (토션 스프링의) 고정단
본 고안은 광디스크 플레이어(optical disc play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업 유닛(pick-up unit)의 이송이 정밀하게 수행되도록 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DP(laser disc player), CDP(Compact disc player)등과 같은 광디스크 플레이어는, 로딩 메커니즘(loading mechanism)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가 턴테이블(turntable)에 로딩(loading)되어 클램팽 유닛(clamping unit)의 작동에 의해 클램핑되고, 픽업 유닛의 작동에 의해 디스크의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 플레이어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섀시(main chassis : 1O)의 내부에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 : 11)이 설치된다.
드라이브 유닛(11)은 그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 12)의 전방에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 : 13)가 장착되고, 스핀들 모터(13)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14)에 안착되는 디스크(D)가 회전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한쪽에 가이드(guide : 15)가 장착되며, 가이므(15)의 대향 위치에 리드 스크류(lead Screw : 16)가 피드 모터(feed moter : 1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드라이브 유닛(11)의 가이드(15)를 따라 픽업 유닛(20)의 몸체(body : 21)에 형성되는 슬라이더(slider : 21)가 슬라이드 이동되고, 리드 스크류(16)에 픽업 유닛(20)의 몸체(21)에 형성되는 리드 너트(lead nut : 23)가 조립된다.
따라서,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는 리드 스크류(16)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크(D)의 정보를 재생하게 되며, 이때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가 리드 스크류(16)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기구적으로 이송력을 부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는, 제2a, 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스크류(16)의 한쪽에 이송력이 부여하기 위한 슬라이더 래크(silder rack : 30)이 장착되고, 슬라이드 래크(30)의 한쪽에 복수의 기어이(31), (32)가 서로 소정 간격 떨어져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래크(30)의 기어이(31), (32)는 리드 스크류(16)의 나사골(16A)에 측방향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도록 맞물려지며, 슬라이드 래크(20)의 상부에 백 래시(back lash)를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슬레드(spring sled : 35)가 장착된다.
스프링 슬레드(35)의 자유단에 기어이(36)이 형싱되어 리드 스크류(16)의 나사골(16A)에 상측방향을 지지하도록 맞물려지고, 슬라이드 래크(30)와 스프링 슬레드(35)는 픽업 유닛(20)의 몸체(21)에 나사(37)의 체결에 의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는, 리드 스크류(16)와 슬라이드 래크(30)사이에서 발생하는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프링 슬레드(35)가 사용되므로, 조립부품수가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래크(30)와 스프링 슬레드(35)는 나사(37)의 체결에 의해 조립되므로, 조립공정이 번거롭고 복잡해져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 슬레드(35)의 기어이(36)가 리드 스크류(16)에 부여하는 탄성력, 즉 가입력(加壓力)을 적정하게 조정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픽업 유닛(20)의 이송이 정밀하게 수행되지 못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픽업 유닛(20)의 정확한 재생을 위해서는 서보 시간(servo time)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픽업 유닛이 이송력을 부여받을 뿐만 아니라, 백 래시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픽업 유닛의 이송이 정밀하게 수행되므로, 픽업 유닛의 재생 특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조립공정이 단순해져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메인 섀시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한쪽에 가이드가 장착되며 가이드의 대향 위치에 리드 스크류가 피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드라이브 유닛과, 드라이브 유닛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되고 리드 스크류에 리드 너트가 조립되는 픽업 유닛을 구비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픽업 유닛의 리드 너트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리드 너트의 한쪽 측면에서 공간으로 고정핀이 형성되며, 고정핀에 토션 스프링의 감김부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이 끼워져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의 한쪽 끝은 자유단으로서 리드 스크류의 나사골에 탄성력을 측방향으로 부여하도록 맞물리게 되며, 토션 스프링의 다른쪽 끝은 고정단으로서 픽업 유닛의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a,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제1도에서 설명힌 굉디스크 플레이어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 섀시(10)의 내부에 드라이브 유닛(11)이 설치되고, 드라이브 유닛(11)은 그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한쪽에 가이드(15)가 장착되며, 가이드(15)의 대향 위치에 리드 스크류(16)가 피드 모터(1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드라이브 유닛(20)의 가이드(15)를 따라 픽업 유닛(20)의 슬라이더(22)가 슬라이드 이동되고, 리드 스크류(16)에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가 조립된다.
따라서,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는 리드 스크류(16)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크(D)의 정보를 재생하게 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사이에 공간(40)이 형성되고, 리드 너트(23)의 한쪽 측면에서 공간(40)으로 고정핀(fixed pin 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픽업 유닛(20)의 고정핀(41)에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 45)이 설치되는 것으로, 토션 스프링(45)의 중앙에 감김부(46)가 고정구멍(46A)을 갖도록 형성되며, 토션 스프링(46)의 고정구멍(46a)은 고징핀(41)에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제4a, 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45)의 한쪽 끝은 자유단(47)으로서 리드 스크류(ㅗ6)의 나시골(16A)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맞물리게 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45)의 자유단(47)은 나사골(16A)의 측방향을 지지하도록 맞물리게 된다.
여기에서, 토션 스프링(45)의 직경은 리드 스크류(16)의 나사골(16A)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45)의 자유단(47)은 그 외주면 리드 스크류(16)의 나사골(16A)에 맞닿은 상태로 맞물리게 된다.
한편, 토션 수프링(45)의 다른쪽 끝은 고정단(48)으로서 픽업 유닛(20)의 몸체(21)에 형성되는 걸림턱(49)에 걸림유지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45)은 고정단(48)이 걸림턱(49)에 걸림유지되면서 자유단(47)이 리드 스크류(46)의 나사골(16A)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는, 토션 스프링(45)의 자유단(47)이 리드 스크류(l6)의 나사골(16A)에 맞물려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가 리드 스크류(16)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력을 부여받게 된다.
그리고, 리드 스크류(16)와 리드 너트(23)사이에서 발생하는 백 래시는 토션 스프링(45)의 자유단(47)으로부터 부여되는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픽업 유닛(20)이 이송이 정밀하게 수행된다.
이로 인하여 픽업 유닛(20)의 재생 특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45)의 사용으로 이송력과 백 래시의 제거가 동시에 수행되므로, 조립부품수가 크게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비용이 크게 절감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이 단순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토션 스프링의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픽업 유닛의 리드 너트가 리드 스그류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력을 부여받을 뿐만 아니라, 백 래시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픽업 유닛의 이송이 정밀하게 수행되므로, 픽업 유닛의 재생 특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해져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메인 섀시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한쪽에 가이드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의 대향 위치에 리드 스크류가 피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드라이브 유닛과,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에 리드 너트가 조립되는 픽업 유닛을 구비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픽업 유닛(20)의 리드 너트(23)사이에 공간(40)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 너트(23)의 한쪽 측면에서 상기 공간(40)으로 고정핀(4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41)에 토션 스프링(45)의 감김부(46)에 형성되는 고정구멍(46A)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5)의 한쪽 끝은 자유단(47)으로서 상기 리드 스크류(16)의 나사골(16A)에 탄성력을 측방향으로 부여하도록 맞물리게 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45)의 다른쪽 끝은 고정단(48)으로서 상기 픽업 유닛(20)의 몸체(21)에 형성되는 걸림턱(49)에 걸림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
KR2019960026751U 1996-08-30 1996-08-30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KR200177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751U KR200177593Y1 (ko) 1996-08-30 1996-08-30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751U KR200177593Y1 (ko) 1996-08-30 1996-08-30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153U KR19980013153U (ko) 1998-06-05
KR200177593Y1 true KR200177593Y1 (ko) 2000-05-01

Family

ID=1946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751U KR200177593Y1 (ko) 1996-08-30 1996-08-30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5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091B1 (ko) * 1998-07-14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의이송장치
KR100532399B1 (ko) * 1999-01-15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픽업장치의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153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8240A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373795B2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optical disc
KR890005708A (ko) 디스크오토체인저장치
KR860000658B1 (ko) 디스크로우딩 기구
KR100520975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KR200177593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유닛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a pick-up unit of an optical disc player)
US6594218B2 (en) Disk device having disk transferring mechanism capable of being made thin
JP353329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6646973B2 (en) Disk device having disk transferring mechanism capable of shortening disk replacement time
KR100202021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장치
KR100497855B1 (ko) 광디스크재생장치의픽업경사조절장치
US5303103A (en) Head drive mechanism with resilient signal transmitting member
KR100225128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클램핑장치
KR0166226B1 (ko) 광디스크 구동용 턴테이블의 중심 고정장치
JP2658053B2 (ja) デイスクプレーヤ
JP3809705B2 (ja) 光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光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における案内レール取り付け方法及びその案内レール取り付け治具
KR100225117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및 척킹장치
JP2658054B2 (ja) デイスクプレーヤ
KR100532399B1 (ko) 광 픽업장치의 이송장치
JP3316395B2 (ja) 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KR100209151B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S6113469A (ja) フロン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JP2001222881A (ja)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ケーブル固定構造
JP3815560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25118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안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