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76Y1 -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 Google Patents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76Y1
KR200177476Y1 KR2019990024407U KR19990024407U KR200177476Y1 KR 200177476 Y1 KR200177476 Y1 KR 200177476Y1 KR 2019990024407 U KR2019990024407 U KR 2019990024407U KR 19990024407 U KR19990024407 U KR 19990024407U KR 200177476 Y1 KR200177476 Y1 KR 200177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ammer
valve
air cylind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범
Original Assignee
한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범 filed Critical 한창범
Priority to KR2019990024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04Firecrac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사관체(1)와,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 개폐밸브(4), 타격헤머(5) 및 방아쇠 뭉치(6)로 이루어진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에 있어서, 상기 타격헤머(5)의 저부 중간위치에 상기 방아쇠 뭉치(6)의 걸림구(6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611)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또 다른 걸림홈(54)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저부에는 압력게이지(7)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에어축포를 이용하여 오색테이프를 발사코자할시 기념식장의 크기나 분위기, 또는 기념식장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등을 파악하여 오색테이프의 분사범위 및 축포소리를 결정할 수 있어 에어축포의 발사소리에 의해 하객이 놀라게 된다든지 오색테이프가 너무 넓게 또는 너무 좁게 퍼짐으로 인한 축제분위기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사용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소음공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실린더내 에어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충진시기를 놓치므로 인한 낭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Salute for discharging various coloured tape}
본 고안은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결혼식장 등과 같은 각종 기념식장에서 압축된 에어를 순간적으로 방출시키는 방식을 통해 발사관내에 충진시킨 오색테이프를 공중으로 발사시켜 주는 에어축포의 에어 방출량을 2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기념식장의 크기나 분위기, 또는 기념식장이 실내이냐 실외냐에 따라 사용자가 에어축포의 소리 및 오색테이프의 퍼짐정도를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에어실린더내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의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충진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장과 같이 그 기념을 축하해주는 분위기를 갖는 각종 기념행사에서는 오색테이프를 뿌려줌과 동시에 축포를 통해 소리를 내주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같은 오색테이프를 손으로 일일히 뿌려서 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오색테이프 자체가 제대로 펴지지 않고, 또 상기와 같이 오색테이프를 뿌리면서 별도의 축포를 통해 소리를 내야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경비가 많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오색테이프를 뿌리는 폭죽이 개발되었는데, 이와같은 폭죽을 사용하다 보면 화약의 폭발로 인해 화재의 발생 또는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들어서는 화약의 폭발에 의한 화재 및 부상의 우려가 없도록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오색테이프를 발사시킴과 동시에어의 방출시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폭죽소리를 내는 트롬펫형 오색테이프 발사용 축포가 개발되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33131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와같은 오색테이프 발사용 축포는, 방아쇠부와 그 방아쇠부에 의해서 연동되는 타격헤머를 구비한 총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부와 일체로 형성된 압축가스실린더; 중공형상의 관체를 이루어 어느 일단부는 상기 압축실린더내부와 연락되고, 타단부는 외부로 개구된 상태로서 상기 압축가스실린더에 일체로 장착되며, 그 관체의 내부로 장전되는 장전물을 압축가스에 의하여 발사하는 발사관체; 상기 발사관체의 개구를 통하여 내부로 장전되는 오색테이프 장전물; 및 상기 압축가스실린더가 발사관체측으로 연락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타격헤머의 타격시 그 실린더의 압축가스를 오색테이프 발사를 위하여 발사관체측으로 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방아쇠의 작동으로 인해 타격헤머가 개폐밸브를 열을시 항상 일정한 량의 압축가스가 압축가스실린더로 부터 발사관체측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실제있어서 적은 공간을 갖는 실내에서 기념행사가 이루어지므로 인해 적은 총소리와 함께 좁은 범위로 오색테이프가 펴지질 원하는데도 불구하고 큰 총소리와 함께 오색테이프가 넓은 범위로 퍼진다든가, 이와 반대로 야외에서 기념행사가 이루어지므로 인해 큰 총소리와 함께 오색테이프가 넓게 퍼지기를 원하나 실제 실내용을 감안하여 제작된 관계로 적은 총소리와 함께 좁은 법위내에 오색테이프가 퍼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실린더내에 가스압력을 유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충진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에어축포의 에어 방출량을 강약 2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타격헤머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념식장의 크기나 분위기, 또는 기념식장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등에 따라 에어축포의 발사소리 및 오색테이프의 퍼짐정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음공해의 발생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실린더내의 에어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충진시기를 쉽게 결정지을 수 있는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사관체와,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 개폐밸브, 타격헤머 및 방아쇠 뭉치로 구성된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에 있어서,
상기 타격헤머의 저부 중간위치에 상기 방아쇠 뭉치의 걸림구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또 다른 걸림홈을 형성시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타격헤머가 제 1 에어실린더의 후방부로 후퇴될시 상기 방아쇠 뭉치 걸림구의 걸림돌기가 타격헤머의 중간 걸림홈 또는 일단부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 1 에어실린더에 압력게이지를 부가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트롬펫 형상을 갖는 에어축포를 이용하여 오색테이프를 발사코자할시 기념식장의 크기나 분위기, 또는 기념식장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등을 파악하여 타격헤버의 당김정도를 결정할 수 있어 에어축포의 발사소리에 의해 하객이 놀라게 된다든지 오색테이프가 너무 넓게 또는 너무 좁게 퍼짐으로 인한 축제분위기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소음공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에어실린더내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의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충진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에어축포의 요부 절취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에어축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고안 에어축포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사관체 2,3 :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
4 : 개폐밸브 5 : 타격헤머
6 : 방아쇠 뭉치 7 : 압력게이지
53 : 걸림턱 54 : 걸림홈
61 : 걸림구 611 : 걸림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에어축포의 요부 절취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에어축포의 요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고안 에어축포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개구부에는 나팔관(11)이 설치되고 내측부에는 개폐밸브 연결관(12)을 통해 전해오는 에어를 분산시켜 주는 에어 분산구(1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에어실린더(2)에 볼트(14)와 너트(15)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발사관체(1)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체(1)의 저부에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와; 수개의 압축에어 유입공(411)이 천공된 캡(41)과, 외주면에는 수개의 O링(421)이 설치되고 그 상방부에는 밸브통로(422)와 연통되는 형태의 상기 연결관(12)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캡(41)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몸체(42), 타격헤머(5)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밸브통로(422)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간(43) 및 통상시 상기 밸브간(43)이 밸브 몸체(42)의 밸브통로(422)를 막아주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4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 중간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4)와; 타격봉(51)과 방아쇠 뭉치(6)의 걸림구(61)에 형성된 걸림돌기(611)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턱(53) 및 손잡이(5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부와 개폐밸브(4) 사이의 공간부에서 스프링(55)의 탄성력을 받으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방아쇠(62)의 작동시 스프링(55)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밸브간(43)을 선택적으로 타격하여 개폐밸브(4)가 순간적으로 열려지게 하는 타격헤머(5)와; 상기 타격헤머(5) 걸림구(61)와 방아쇠(6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 저부에 설치되는 방아쇠 뭉치(6)로 이루어진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에 있어서,
상기 타격헤머(5)의 저부 중간위치에 상기 방아쇠 뭉치(6)의 걸림구(6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611)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또 다른 걸림홈(54)을 형성시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타격헤머(5)가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부로 후퇴될시 상기 방아쇠 뭉치(6) 걸림구(61)의 걸림돌기(611)가 타격헤머(5)의 중간 걸림홈(54) 또는 일단부의 걸림턱(5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저부에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에 충진된 압축에어의 압력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게이지(7)를 설치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에어실린더(2)의 일단부에 설치된 에어주입구(21)를 통해 강한 압력으로 에어를 주입시키면 서로 관통된 상태에 있는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어 압축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에 충진되는 에어량 또는 그 압력은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게이지(7)를 통해 확인하면 된다.
물론, 본 고안의 에어축포를 사용하기에 앞서 상기 압력게이지(7)를 통해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의 에어 충진정도를 확인하고 에어를 더 충진시켜야할지의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격헤머(5)를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측으로 당기지 않은 통상시에는 상기 개폐밸브(4)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44)의 탄성력이 타격헤머(5)를 밀고 있는 스프링(55)의 탄성력 보다 큰 상태이므로 비록 상기 타격헤머(5)의 타격봉(51)이 도 4 (a)의 가상선과 같이 개폐밸브(4)의 밸브간(43)과 접한 상태에 있다하더라도 상기 개폐밸브(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에어축포를 사용하고자 할시에는 상기 발사관체(1)에 오색테이프(8)등을 장진시키고 마개(81)를 막은 다음, 타격헤머(5)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제 1 에어 실린더(2)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52)를 잡고 후방부를 향해 당기게 되면 상기 타격헤머(5)가 스프링(55)의 타발력을 받으며 제 1 에어실린더(2)의 내부에서 후방부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현재 축포를 쏘고자 하는 기념식장의 크기나 분위기, 또는 기념식장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등을 파악하여 상기 타격헤머(5)의 당김정도를 결정하면 된다.
즉, 기념식장이 적은 실내공간이거나 조용한 분위기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타격헤머(5)를 약간만 당기어 도 4 (a)의 실선과 같이 방아쇠 뭉치(6) 걸림구(61)의 걸림돌기(611)가 상기 타격헤머(5) 저부 중간부에 형성된 걸림홈(54)에 걸려지도록 하여 오색테이프 발사시 적은 소리와 함께 좁은 범위내에 오색테이프(8)가 분산되도록 하면되고, 이와 반대로 기념식장이 비록 실내이나 그 공간이 크거나 약간 흥분된 분위기를 원할 경우, 또는 실외인 경우에는 상기 타격헤머(5)를 강하게 당겨 도 4 (a)의 가상선과 같이 방아쇠 뭉치(6) 걸림구(61)의 걸림돌기(611)가 상기 타격헤머(5)의 일단부(즉, 타격봉(51)의 직하방부)에 형성된 걸림턱(53)에 걸려지도록 하여 오색테이프 발사시 큰 소리와 함께 넓은 범위내에 오색테이프(8)가 분산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타격헤머(5)를 당겨 방아쇠 뭉치(6)의 걸림구(61)에 타격헤머(5)의 소정부위가 걸려지도록 한 후, 축포를 발사시키는 방법은 종래와 동일하다.
즉, 발사체에 의해 사람이 부상당하지 않토록 발사관체(1)의 나팔관(11)이 공중을 향한 상태에서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한 후, 상기 방아쇠 뭉치(6)의 방아쇠(62)에 손가락을 걸고 약간 당기게 되면 걸림구(61)의 걸림돌기(611)가 타격헤머(5)의 걸림홈(54) 또는 걸림턱(53)으로 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타격헤머(5)가 스프링(55)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밸브(4)측으로 소정속도(즉, 스프링(55)의 탄성력에 부응하는 속도)를 갖고 이동하여 도 4의 (b)와 같이 상기 타격헤머(5)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된 타격봉(51)이 상기 개폐밸브(4)의 밸브간(43)을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간(43)이 스프링(44)의 탄발력을 받으며 타격헤머(5)의 타격력에 부응하는 만큼 후퇴하게 되므로 밸브 몸체(42)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통로(422)가 소정시간(즉, 타격헤머(5)의 타격력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 열리게 되어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에 압축된 상태로 충진되어 있는 에어가 소정속도를 갖고 캡(41)의 압축에어 유입공(411)과 밸브통로(422), 연결관(12) 및 에어 분산구(13)를 통해 발사관체(1)내의 오섹테이프(8)에 가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사관체(1)에 충진되어 있는 오색테이프(8)와 이 관체의 입구를 막고있는 마개(81)는 상기 개폐밸브(4)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의 압축에어 분사압력에 부응하는 속도로 발사관체(1)를 빠져나가 공중에서 분산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오색테이프(8)의 분산범위 및 발사시 소리의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헤머(5)의 당김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트롬펫 형상을 갖는 에어축포를 이용하여 오색테이프를 발사코자할시 기념식장의 크기나 분위기, 또는 기념식장이 실내인지 실외인지 등을 파악하여 오색테이프의 분사범위 및 축포소리를 결정할 수 있어 에어축포의 발사소리에 의해 하객이 놀라게 된다든지 오색테이프가 너무 넓게 또는 너무 좁게 퍼짐으로 인한 축제분위기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사용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소음공해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실린더내 에어압력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충진시기를 놓치므로 인한 낭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개구부에는 나팔관(11)이 설치되고 내측부에는 개폐밸브 연결관(12)을 통해 전해오는 에어를 분산시켜 주는 에어 분산구(13)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에어실린더(2)에 볼트(14)와 너트(15)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발사관체(1)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발사관체(1)의 저부에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와; 수개의 압축에어 유입공(411)이 천공된 캡(41)과, 외주면에는 수개의 O링(421)이 설치되고 그 상방부에는 밸브통로(422)와 연통되는 형태의 상기 연결관(12)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캡(41)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몸체(42), 타격헤머(5)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밸브통로(422)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간(43) 및 통상시 상기 밸브간(43)이 밸브 몸체(42)의 밸브통로(422)를 막아주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4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 중간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4)와; 타격봉(51)과 방아쇠 뭉치(6)의 걸림구(61)에 형성된 걸림돌기(611)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턱(53) 및 손잡이(5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부와 개폐밸브(4) 사이의 공간부에서 스프링(55)의 탄성력을 받으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방아쇠(62)의 작동시 스프링(55)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밸브간(43)을 선택적으로 타격하여 개폐밸브(4)가 순간적으로 열려지게 하는 타격헤머(5)와; 상기 타격헤머(5) 걸림구(61)와 방아쇠(6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 저부에 설치되는 방아쇠 뭉치(6)로 이루어진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에 있어서,
    상기 타격헤머(5)의 저부 중간위치에 상기 방아쇠 뭉치(6)의 걸림구(6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611)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또 다른 걸림홈(54)을 형성시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타격헤머(5)가 제 1 에어실린더(2)의 후방부로 후퇴될시 상기 방아쇠 뭉치(6) 걸림구(61)의 걸림돌기(611)가 타격헤머(5)의 중간 걸림홈(54) 또는 일단부의 걸림턱(5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실린더(2)의 저부에 제 1 및 제 2 에어실린더(2)(3)내에 충진된 압축에어의 압력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게이지(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KR2019990024407U 1999-11-09 1999-11-09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KR200177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07U KR200177476Y1 (ko) 1999-11-09 1999-11-09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07U KR200177476Y1 (ko) 1999-11-09 1999-11-09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76Y1 true KR200177476Y1 (ko) 2000-04-15

Family

ID=1959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07U KR200177476Y1 (ko) 1999-11-09 1999-11-09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15B1 (ko) * 2006-12-30 2008-01-02 주식회사 세성인터내셔날 폭죽
KR101192473B1 (ko) 2012-06-05 2012-10-17 유흥락 오색테이프 발사용 축포
US9608280B2 (en) 2011-03-11 2017-03-28 Nissan Motor Co., Ltd.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15B1 (ko) * 2006-12-30 2008-01-02 주식회사 세성인터내셔날 폭죽
WO2008082113A1 (en) * 2006-12-30 2008-07-10 Saesung International Co., Ltd. Firecracker
US9608280B2 (en) 2011-03-11 2017-03-28 Nissan Motor Co., Ltd.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101192473B1 (ko) 2012-06-05 2012-10-17 유흥락 오색테이프 발사용 축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837A (en) Safety nozzle for multi-shot projectile shooting air gun
JP4132076B2 (ja) 空気圧駆動式弾丸発射装置
US5706795A (en) Multi-purpose projectile launcher
US5791327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having a non-lethal projectile
JP2001521133A (ja) 空気式発射体発射装置
WO2002079709A3 (en) Compressed gas-powered gun simulating the recoil of a conventional firearm
US6119671A (en) Toy projectile launcher
US6311623B1 (en) Power-packed arrowhead
EP1766316B1 (en) Valve for gas operated gun
US7069922B1 (en) Paintball marker internal reset system
KR200177476Y1 (ko) 오색테이프 발사용 에어축포
US7617816B1 (en) Low pressure ram assembly
US2031785A (en) Firearm
KR200488286Y1 (ko) 화약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JP3962352B2 (ja) 遊戯銃の複数弾丸発射装置
KR200256934Y1 (ko) 오색 테이프 발사용 축포
JP3217137U (ja) 模擬銃
CN220853297U (zh) 一种可以连续发射的玩具弓弩
US4854238A (en) Shark projectile
KR200160547Y1 (ko) 공기압축식 발사놀이구
KR0133131Y1 (ko) 오색테잎 발사용 축포
US3087429A (en) Reloadable live ammunition for toy guns
KR0133360Y1 (ko) 호신용 총
KR101192473B1 (ko) 오색테이프 발사용 축포
KR200307900Y1 (ko) 모의탄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