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72Y1 - 광고용 간판 - Google Patents

광고용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72Y1
KR200177472Y1 KR2019990024156U KR19990024156U KR200177472Y1 KR 200177472 Y1 KR200177472 Y1 KR 200177472Y1 KR 2019990024156 U KR2019990024156 U KR 2019990024156U KR 19990024156 U KR19990024156 U KR 19990024156U KR 200177472 Y1 KR200177472 Y1 KR 200177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flange portion
sides
cover memb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청마스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청마스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청마스터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 문구 또는 기호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입체화하면서 반사면을 갖는 내측 프레임이 전방으로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광고용 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일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1플랜지부(11)를 형성하고, 타단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고정용 리브(12)가 돌출되며, 양단부간 내측면에는 한쌍의 제1체결용 리브(13)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도록 한 외측 프레임(10)과; 양측의 상기 제1체결용 리브(13)에 양단이 고정되어 양측의 상기 외측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제1보강 부재(20)와; 양측의 상기 고정용 리브(12)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 부재(30)와; 상기 외측 프레임(10)의 전방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제1플랜지부(11)에 걸려지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제2플랜지부(41)를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2체결용 리브(42)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양측의 상기 제2체결용 리브(42)에는 제2보강 부재(5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한 내측 프레임(40); 및 상기 제2플랜지부(41)에 외주연 단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내측 프레임(40)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 부재(60)로서 구비되어 광고 문안의 각 문자 또는 도형이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하므로서 간판 설치 및 취급, 유지 보수가 용이토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고용 간판{A sign board for advertising}
본 고안은 광고 문구 또는 기호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입체화하면서 반사면을 갖는 내측 프레임이 전방으로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보수가 용이토록 하는 광고용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란 불특정 다수인이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호나 상표등을 문자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널리 알리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광고를 위한 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신문, 잡지, 방송, 전단, 간판등이다.
이들 중 특히 간판은 실외 및 실내에서 지나는 여러 사람들의 주위를 끌어 모아 광고 문안을 직접적으로 알리는 광고 방식이다.
현재 알려진 간판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방식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광고용 간판은 광고 문안이 표시하는 부분과 이 부분을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들로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간판의 대부분은 도 1 에서 보는바와 같은 단순한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그 내부에는 네온사인 또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내장되도록 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광고용 간판은 다시 벽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시키는 방식과 벽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와같이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광고용 간판은 대개 정면의 광고 문안이 표시되어 있는 패널이나 후면의 커버 패널 중 하나가 힌지를 축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간판을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부터 네온등이나 형광등을 갈아 끼울 수 있도록 하므로서 관리하기가 쉽도록 하고 있다.
직육면체의 박스형 간판은 대개 금속의 프레임에 정면과 후면 및 측면을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서 커버하고, 내부에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정면의 반사판을 통해 광고 문안이 잘 보이도록 하는데 반해 최근에는 네온사인을 직접 이용하여 광고 문구 또는 도형을 형상화하여 광고하는 방식도 대단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박스형 간판은 지상에서 미리 제작 및 조립한 후 설치할 위치에까지 이동시켜야만 하므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부의 네온등이나 형광등을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간판의 한면을 힌지를 축으로 완전 개방시켜야만 하므로 보수 및 관리가 난해한 단점이 있다.
특히 박스형 간판은 외기와의 접촉면적이 커 심한 태풍등에 쉽게 손상이 되고, 비록 부분적으로 손상이 되더라도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우므로 전체 간판을 벽면으로부터 떼어내 교체를 해야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직접 네온사인을 이용하여 광고 문안이나 도형을 형상화하므로서 광고를 하는 경우에는 네온등이 완전 외부와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합선 및 누전의 전기적 위험이 뒤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과 문제점을 시정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광고 문안이나 도형을 입체화하면서 보다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취급이 용이토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분적으로 보수가 가능토록 하여 관리가 용이토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식별력을 향상시켜 광고 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광고용 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일부 평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고정 부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 커버 부재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간판을 건물 벽면에 설치한 일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측 프레임 11 : 제1플랜지부
12 : 고정용 리브 13 : 제1체결용 리브
20 : 제1보강 부재 30 : 후면 커버 부재
40 : 내측 프레임 41 : 제2플랜지부
42 : 제2체결용 리브 50 : 제2보강 부재
60 : 전면 커버 부재 70 : 조명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일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1플랜지부를 형성하고, 타단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고정용 리브가 돌출되며, 양단부간 내측면에는 한쌍의 제1체결용 리브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도록 한 외측 프레임과,
양측의 제1체결용 리브에 양단이 걸쳐지게 하여 고정되게 하므로서 양측의 외측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보강 부재와,
양측의 고정용 리브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 부재와,
외측 프레임의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며, 일단은 제1플랜지부와 밀착되게 외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2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제2체결용 리브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양측의 제2체결용 리브에는 제2보강 부재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한 내측 프레임과,
제2플랜지부에 외주연 단부가 고정되면서 내측 프레임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 부재로서 구비되어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토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외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광고할 문자나 도형을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외측 프레임(10)과 제1보강 부재(20)와 후면 커버 부재(30)와 내측 프레임(40)과 전면 커버 부재(60)로서 이루어진다.
외측 프레임(10)은 본 고안의 측벽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쌍의 채널을 소정의 폭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하여 측벽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외측 프레임(10)의 전방측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1플랜지부(11)를 이루고, 후방측 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으로부터 마주보게 하여 고정용 리브(12)가 돌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양단부간 내측면의 임의의 위치에는 나란하게 한쌍의 제1체결용 리브(1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돌출되도록 한 구성이다.
제1보강 부재(20)는 양측의 외측 프레임(10)을 동일한 폭으로 안정되게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제1보강 부재(20)는 봉 또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이들 양단부는 양측의 외측 프레임(10)에 형성한 제1체결용 리브(13)에 스크류등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
후면 커버 부재(30)는 양측의 외측 프레임(10)의 후방을 커버하는 백 판넬이며, 양측의 끝단부는 외측 프레임(10)의 후방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시킨 고정용 리브(12)에 스크류등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내측 프레임(40)은 외측 프레임(1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쌍의 채널을 소정의 폭으로 서로 마주보게 하여 이격시킨 것으로서, 외측 프레임(1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이다.
즉 내측 프레임(40)은 측벽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10)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는 한쌍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외측 프레임(10)과 같이 외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2플랜지부(41)를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한쌍의 제2체결용 리브(42)가 서로 마주보면서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한 형상이다.
따라서 내측 프레임(40)은 외측 프레임(10)의 제1플랜지부(11)에 제2플랜지부(41)가 걸릴 때까지만 삽입된다.
또한 내측 프레임(40)에는 내측면에 형성한 한쌍의 제2체결용 리브(42)간으로 봉 또는 막대형상의 제2보강 부재(50)가 일정한 간격으로 끼워져 고정되게 하므로서 이격시킨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2보강 부재(50)는 양단부가 제2체결용 리브(42)에서 각각 스크류 체결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양측의 내측 프레임(40)간 제2플랜지부(41)에는 내측 프레임(40)의 전면을 완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백 패널인 전면 커버 부재(6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전면 커버 부재(60)는 제2플랜지부(41)에 간단한 접착제에 의해서 접합되게 할 수도 있고,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해서는 접합 직후 리벳팅시킬 수도 있다.
한편 내측 프레임(40)이 삽입된 외측 프레임(10)의 외측면으로부터는 별도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외측 프레임(10)에 삽입된 내측 프레임(40)이 더 이상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체결 수단은 도 4 에서와 같이 삽입된 내측 프레임(40)의 제2체결용 리브(42)의 제2보강 부재(50)가 끼워지는 위치인 외측 프레임(10)의 외측면으로 요홈(14)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요홈(14)에 스크류(15)가 체결되게 하므로서 내측 프레임(4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외측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요홈(14)은 외측 프레임(10)에 삽입된 내측 프레임(40)의 항상 일정한 위치 즉 내측 프레임(40)의 내측면에서 나란하게 한쌍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용 리브(42)의 사이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면 커버 부재(60)는 통상적으로 광고 문안을 표시되는 패널로서 주로 사용되는 재질은 아크릴 또는 렉산 및 플랙스(flex)이며, 이러한 아크릴 또는 렉산 및 플랙스와 같은 패널의 일면으로는 박막의 컬러 시트 또는 주간에는 지정한 컬러로 표출되다 야간에는 백색으로 표출되는 컬러 변환 특수 시트가 일체로 부착되게 하므로서 더욱 식별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내측 프레임(40)의 제2플랜지부(42)와 이 제2플랜지부(42)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 부재(60)의 외주연 단부는 고무 또는 알루미늄재등으로 제작되는 사이드 캡(70)에 의해서 동시에 커버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측 프레임(10)의 제1보강 부재(20)에는 조명 수단(80)인 네온등 또는 형광등이 설치되도록 한다.
특히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40) 그리고 후면 커버 부재(30)는 경량의 알루미늄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본 고안의 조립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에서 보는바와 같이 우선 채널형상으로 제작된 한쌍의 외측 프레임(10)에는 제1체결용 리브(12)와 고정용 리브(13)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이러한 제1체결용 리브(12)와 고정용 리브(13)에는 각각 제1보강 부재(20)와 후면 커버 부재(30)를 삽입 및 체결시켜 외측 프레임(10)을 지지 및 커버토록 한다.
다시말해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제1체결용 리브(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보강 부재(20)의 양단을 삽입시킨 후 삽입된 단부가 스크류등에 의해 고정되게 하므로서 양측의 외측 프레임(10)간이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측 프레임(10)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고정용 리브(13)에는 판상의 후면 커버 부재(30)를 체결하므로서 후면이 외부와 완전 밀폐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외측 프레임(10)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측 프레임(10)과는 별도로 내측 프레임(40)을 구비한다.
내측 프레임(40)은 서로 마주보게 제2체결용 리브(42)가 형성되도록 한 한쌍의 채널형상의 구성으로서, 각 제2체결용 리브(42)에는 제2보강 부재(50)의 양단부가 삽입되면서 스크류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양측의 내측 프레임(40)간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내측 프레임(40)의 전방측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2플랜지부(41)에는 외력에 대한 내성이 강한 재질로서 전면 커버 부재(60)를 구비한다.
제2플랜지부(41)에 체결되는 전면 커버 부재(60)로는 전술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아크릴판이나 렉산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보다는 유연한 재질의 플랙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 커버 부재(60)는 아크릴판이나 렉산 및 플랙스와 같은 패널에 전술한 바와같이 대단히 얇은 일반 컬러 시트나 컬러 변환 특수 시트를 증착시켜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면 커버 부재(60)는 단순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2플랜지부(41)에 접착시킬 수도 있으나 외력에 의한 들뜸 방지와 보다 강한 지지를 위해 도 6 에서와 같이 스크류 또는 리벳등을 동시에 체결하여 이중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특히 전면 커버 부재(60)의 체결단부와 제2플랜지부(41)는 사이드 캡(70)에 의해 커버되게 하므로서 내측 프레임(40)의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시켜 구비되는 내측 프레임(40)을 개방된 단부로부터 외측 프레임(10)으로 삽입되게 하면서 외측 프레임(10)의 제1플랜지부(11)에 내측 프레임(40)의 제2플랜지부(41)가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면 외측 프레임(40)의 외측면에서 요홈(14)을 따라 스크류(15)를 체결하여 내측 프레임(4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간판은 내측 프레임(40)을 외측 프레임(10)에 간단히 삽입하는 작업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되는바 이때 광고 문안의 글자 하나 하나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광고 문안이 한글인 경우 도 2 에서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각각 분리되게 할 수도 있고, 글자 하나 하나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영문인 경우에는 알파벳 하나 하나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물 벽면에 설치시에도 광고 문안이 여러 개로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씩 설치가 가능하므로 간판 설치가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40)의 조립에 의해 제작되는 간판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건물에 설치할 수가 있다.
일례로 도 7 에서와 같이 간판을 부착하기 전에 미리 후면 커버 부재(30)에 앵글을 결합하고, 벽면에는 앵커 볼트를 매립시켜 또다른 앵글이 결합되도록 한 후 후면 커버 부재(30)측 앵글과 앵커 볼트에 결합된 앵글간으로 지지대가 견고하게 체결 및 용접되게 하므로서 본 고안의 간판을 간단히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광고용 간판은 광고 문안을 문자별로 제작하여 간단한 조립에 의해 형상화하게 되므로서 건물 벽면에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판 내부의 조명 수단(80)을 교체하고자 할 때에도 외측 프레임(10)으로부터 내측 프레임(40)만을 간단히 인출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보수 유지가 매우 쉽다.
특히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40) 및 후면 커버 부재(30)와 같은 구성 부품을 대단히 가벼운 재질인 알루미늄을 사용하게 되면 취급이 대단히 용이하므로 작업이 쉽고, 부식 방지에 따른 내구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의 장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고 문안 하나 하나를 강조하면서 더욱 식별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광고하고자 하는 문자나 도형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하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취급 및 운반이 편리하다.
또한 내측 프레임(40)을 간단히 외측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여 내부의 네온등이나 형광등을 손쉽게 교체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쉬워진다.
그리고 정면에는 사이드 캡(70)에 의해, 후면은 후면 커버 부재(3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빗물이나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시킨다.
특히 본 고안은 광고 문안의 문자 및 기호 하나 하나를 돌출시켜 입체화한 구성이므로 외관의 개선에 따른 식별력을 증대시켜 광고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일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제1플랜지부(11)를 형성하고, 타단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고정용 리브(12)가 돌출되며, 양단부간 내측면에는 한쌍의 제1체결용 리브(13)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도록 한 외측 프레임(10)과;
    양측의 상기 제1체결용 리브(13)에 양단이 고정되어 양측의 상기 외측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제1보강 부재(20)와;
    양측의 상기 고정용 리브(12)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 부재(30)와;
    상기 외측 프레임(10)의 전방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어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제1플랜지부(11)에 걸려지게 외측으로 절곡시켜 제2플랜지부(41)를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2체결용 리브(42)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양측의 상기 제2체결용 리브(42)에는 제2보강 부재(5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한 내측 프레임(40); 및
    상기 제2플랜지부(41)에 외주연 단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내측 프레임(40)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 부재(60);
    로서 구비되어 광고 문안의 각 문자 또는 도형이 입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광고용 간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40)은
    상기 외측 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외측 프레임(10)의 외측면으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광고용 간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40)은
    알루미늄 재질인 광고용 간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부재(60)는
    플랙스에 박막의 컬러 시트가 증착되는 구성인 광고용 간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부재(60)는
    플랙스에 주간에는 미리 지정한 컬러로 표출되고, 야간에는 백색으로 표출되는 컬러 변환 특수 시트가 증착되는 구성인 광고용 간판.
KR2019990024156U 1999-11-05 1999-11-05 광고용 간판 KR2001774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938A KR100320571B1 (ko) 1999-11-05 1999-11-05 광고용 간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938A Division KR100320571B1 (ko) 1999-11-05 1999-11-05 광고용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72Y1 true KR200177472Y1 (ko) 2000-04-15

Family

ID=196188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938A KR100320571B1 (ko) 1999-11-05 1999-11-05 광고용 간판
KR2019990024156U KR200177472Y1 (ko) 1999-11-05 1999-11-05 광고용 간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938A KR100320571B1 (ko) 1999-11-05 1999-11-05 광고용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20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14B1 (ko) 2007-10-31 2008-10-28 이설규 입체문자채널이 설치되는 조립 및 압탈착식 간판 프레임
KR100941918B1 (ko) 2009-08-11 2010-02-11 이설규 입체 간판용 신형 받침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44B1 (ko) * 2008-04-01 2010-05-12 이승근 에이치빔을 이용한 광고판
KR200448201Y1 (ko) 2008-09-29 2010-03-25 안중경 입체간판용 고정구
KR100943533B1 (ko) 2009-06-19 2010-02-22 (주)서일테크씨에프 입체문자채널간판
KR101945860B1 (ko) * 2018-06-19 2019-05-02 김진기 발광형 광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32Y1 (ko) * 1988-08-12 1991-07-06 장종원 간판용 프레임(frame)
JPH0726882U (ja) * 1993-10-20 1995-05-19 富士精工株式会社 表示装置
KR960029589U (ko) * 1995-02-09 1996-09-17 이정섭 간판프레임의 개량구조
KR0127010Y1 (ko) * 1996-02-28 1998-10-15 손재설 사인부재용 프레임의 절첩장치
KR100241312B1 (ko) * 1997-10-14 2000-02-01 임채왕 내부에 조명장치를 갖는 입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14B1 (ko) 2007-10-31 2008-10-28 이설규 입체문자채널이 설치되는 조립 및 압탈착식 간판 프레임
KR100941918B1 (ko) 2009-08-11 2010-02-11 이설규 입체 간판용 신형 받침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602A (ko) 2001-06-05
KR100320571B1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446B1 (ko) 간판 부착장치
KR200177472Y1 (ko) 광고용 간판
KR100879147B1 (ko) 광고용 간판
KR20120081700A (ko) 광고용 입간판
KR100876576B1 (ko) 간판 부착장치
US20030172569A1 (en) Back illuminated ceiling mounted display panel
KR101031917B1 (ko) 입체문자채널간판의 조립식 확장 프레임
US6722065B2 (en) Illuminated indicia enclosures
KR101298257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300846Y1 (ko) 조립식 광고장치
KR20110000103U (ko) 단면형 간판프레임구조
KR20050036091A (ko) 조립식 간판
KR102191446B1 (ko) 광고용 간판
KR200475808Y1 (ko) 고정이 용이한 광고간판을 적용하는 광고간판 시스템
KR200353136Y1 (ko) 광고용 간판
US6202333B1 (en) Channel letters
KR200348262Y1 (ko) 광고용 간판
KR200228327Y1 (ko) 간판용 프레임
KR100721792B1 (ko) 유리면 부착 광고판
US11436953B1 (en) Banner housing assembly
KR200396133Y1 (ko) 라이팅패넬을 이용한 광고판
KR200365747Y1 (ko) 시민게시판
KR200281598Y1 (ko) 안내표지판
KR200202585Y1 (ko) 옥외간판의 백보드
KR101031913B1 (ko) 입체문자채널간판의 가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