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327Y1 - 간판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간판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327Y1
KR200228327Y1 KR2020010001615U KR20010001615U KR200228327Y1 KR 200228327 Y1 KR200228327 Y1 KR 200228327Y1 KR 2020010001615 U KR2020010001615 U KR 2020010001615U KR 20010001615 U KR20010001615 U KR 20010001615U KR 200228327 Y1 KR200228327 Y1 KR 200228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frame
signboard
present
install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김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호 filed Critical 김준호
Priority to KR2020010001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327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판에 대하여 각종 이벤트행사를 알리기 위하여 필요시 부수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의 장착을 매우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통상의 간판(1)을 구성하는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에 있어서: 상기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의 어느 하나로는 현수막(40)을 장착하기 위한 현수막 설치홈(30)이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현수막 설치홈(30)을 상기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의 내부로 수용 또는 외부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하여 현수막(40)을 장착하게 구성하고, 또한 현수막 설치홈(30)을 전측 및 후측 프레임(10, 20) 모두에 형성하여 이들 모두에 현수막(40)을 장착 광고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간판용 프레임{Frame for Sign Board}
본 고안은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판에 대하여 각종 이벤트행사를 알리기 위하여 필요시 부수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의 장착을 매우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간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하는 광고용 간판은, 상가 등의 벽에 부착되는 벽 간판과 돌출되는 돌출간판 및 세워두게 되는 입 간판 등으로 분류되며, 내부에는 형강들을 설치하여 야간에 조명간판으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형식과 용도를 갖는 종래의 간판들은 크게 두 종류의 간판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첫째로 단순한 형상의 알루미늄 샤시로 프레임을 제작하고 프레임의 전, 후면에 투명 아크릴판을 부착하고 이에 광고문자를 인쇄하여 제작하는 것과, 둘째로는 상기한 아크릴간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상 사용되고 있는 타포린지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이는 타포린지의 경우 인열강도 및 유연성과 빛 투과율 등이 매우 양호한 합성직포로서, 근자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타포린지를 사용할 때 이를 잡아주기 위한 간판용 프레임은 별도로 제작 사용되고 있는 바, 통상 타카 방식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타포린지를 사용하는 프레임은 타포린지의 특성상 프레임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특이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타포린지가 부착 설치되는 전측 프레임과 이에 대하여 주로 상부가 경첩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 기능을 하는 후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간판이 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간판은 전측 프레임에 대하여 광고문자만을 제작하여 홍보하는 것이 고작이고, 별도의 이벤트 행사를 알리는 현수막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장착 수단이 구비되어 잇지 못하였기 때문에 필요시 이러한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로 간판의 하부 측에 나사못을 드릴 작업하여 현수막을 인위적으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나사못을 박고 이에 철사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현수막을 설치하는 것이 고작이었기 때문에 현수막의 설치에 따른 별도의 드릴작업은 물론 이로 인한 간판의 수명 단축 및 현수막의 설치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으며, 특히 그 설치 외관이 매우 지저분하게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광고용 간판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한 현수막 설치홈을 프레임 제작 과정에서 직접 형성하여 줌으로서 나사못이나 철사 등의 인위적인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벤트 행사 등을 알리기 위한 현수막을 간편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간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에 현수막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설치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4 및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설치홈의 또 다른 실시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설치홈이 전 후측 프레임 모두에 형성된 또 다른 실시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간판 10: 전측 프레임
20: 후측 프레임 30: 현수막 설치홈
40: 현수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는 본 고안의 간판용 프레임의 특징은, 통상의 간판을 구성하는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의 어느 하나로는 현수막을 장착하기 위한 현수막 설치홈이 구비된 점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현수막 설치홈은 상기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현수막 설치홈은 전 후측 프레임 모두에 각각 형성하고 이에 현수막을 각각 장착하여 광고 할 수 있도록 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간판용 프레임으로 제작된 벽면 부착용 광고 간판(1)에 현수막(40)이 장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로서, 통상의 간판(1)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한 각종 상호나 영업종목 등이 표시되는 전측 프레임(10)과, 이 전측 프레임의 후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 기능을 하게되는 후측 프레임(20)으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10, 20)의 내부 구조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간판용 프레임을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으로 구분한 것은 벽면 부착용 간판인 경우에 주로 구분되고, 입 간판이나 벽면 돌출간판의 경우에는 간판의 양면으로 각종 선전 표시문구가 각각 제작되어 광고효과를 발휘하는 하는 것이어서, 구태여 전측 후레임(10) 또는 후측 프레임(20)으로 구분할 필요는 없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판(1)을 구성하는 전측 프레임(10)으로는 각종의 이벤트 행사를 알리기 위하여 필요시 부수적으로 설치되는 현수막(40)을 장착하기 위한 현수막 설치홈(20)이 간판(1)의 간판의 각 둘레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 프레임(10)으로 형성되는 현수막 설치홈(12)은 그 내부로 수용되게 형성하여 현수막(40)을 장착 할 수 도 있고,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현수막(40)을 장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며, 현수막 설치홈(30)은 특정의 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간판(1)을 구성하는 전측 프레임(10)에 현수막(40)을 장착하기 위한 현수막 설치홈(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판(1)을 벽에 부착하거나 돌출 및 입 간판형태로 설치한 후에라도 필요시 현수막(40)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수막 설치홈(20)의 일 단부로 부터 현수막(40)을 끼우거나 분리해내면 되는 것이어서 종래 이러한 장착 구조가 없는 것에 비하여 현수막(40)의 장착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특히 현수막(40)의 설치에 따른 별도의 나사못을 박는 등의 작업이 전혀 불필요하게 되어 간판(1)의 외관이 전혀 손상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4 및 도5는 간판(1)의 현수막 설치홈(30)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도4 및 도5에 따르면 현수막 설치홈(30)이 후측 프레임(20)의 소정 지점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에 형성된 현수막 설치홈(30) 역시 전측 후레임(10)과 마찬가지로 해당 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현수막(40)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6은 현수막 설치홈(30)이 전측 프레임(10)과 후측 프레임(20) 모두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현수막 설치홈(30)에 현수막(40)을 필요에 따라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광고할 수 도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간판(1)을 벽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하나의 현수막 양면으로 광고문구의 제작이 곤란하여 각각의 광고문구가 제작된 현수막을 걸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간판(1)의 전 후 측 프레임(10, 20)으로 형성되는 현수막 설치홈(20)에 현수막(40)을 각각 장착하여 줌으로서 전 후 양면으로 동시에 현수막 광고 효과를 제공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판에 부수적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하게 되는 현수막의 설치 및 분리가 매우 간편 용이할 뿐 아니라 현수막의 장착상태가 매우 깨끗하고, 특히 현수막의 설치에 따른 나사못을 작업등이 전혀 불필요하여 간판의 외관이 미려하고 또한 간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4)

  1. 통상의 간판(1)을 구성하는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에 있어서:
    상기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의 어느 하나로는 현수막(40)을 장착하기 위한 현수막 설치홈(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설치홈(30)은 상기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의 내부로 수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설치홈(30)은 전측 또는 후측 프레임(10, 2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설치홈(30)은 전측 및 후측 프레임(10, 20) 모두에 형성하여 현수막(40)을 장착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용 프레임.
KR2020010001615U 2001-01-19 2001-01-19 간판용 프레임 KR200228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15U KR200228327Y1 (ko) 2001-01-19 2001-01-19 간판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15U KR200228327Y1 (ko) 2001-01-19 2001-01-19 간판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327Y1 true KR200228327Y1 (ko) 2001-06-15

Family

ID=7306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15U KR200228327Y1 (ko) 2001-01-19 2001-01-19 간판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3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959B1 (ko) 간판용 테두리 마감재
KR100962586B1 (ko) 확장가능한 조립식 간판 프레임
KR200228327Y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031917B1 (ko) 입체문자채널간판의 조립식 확장 프레임
KR100320571B1 (ko) 광고용 간판
KR100970899B1 (ko) 다목적 간판프레임
KR200297373Y1 (ko) 광고용 간판
KR200370760Y1 (ko) 돌출형 양면 간판의 프레임구조
KR200250316Y1 (ko) 다기능 게시판넬
KR20110003689A (ko) 조립식 간판프레임
US20050073469A1 (en) Multimedia advertising billboard
KR20000012533U (ko) 조립식 광고장치
KR100533133B1 (ko) 간판 프레임
KR20100072136A (ko) 배경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조립식 프레임 광고간판
KR200336502Y1 (ko) 광고용 조형물이 부착된 간판
JP3100456U (ja) マルチメディア看板
KR200330626Y1 (ko) 유도식 입간판
KR200348262Y1 (ko) 광고용 간판
KR200260252Y1 (ko) 광고물의 교체가 용이한 케이스
JP3098484U (ja) パネル
KR200385141Y1 (ko) 상,하부 고정대를 구비한 전단지 광고판
KR200267201Y1 (ko) 광고간판
KR200281598Y1 (ko) 안내표지판
KR20110003685A (ko) 조립식 간판프레임
KR200374155Y1 (ko) 광고용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