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559Y1 -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59Y1
KR200176559Y1 KR2019990024177U KR19990024177U KR200176559Y1 KR 200176559 Y1 KR200176559 Y1 KR 200176559Y1 KR 2019990024177 U KR2019990024177 U KR 2019990024177U KR 19990024177 U KR19990024177 U KR 19990024177U KR 200176559 Y1 KR200176559 Y1 KR 200176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bottle
safety device
injection
bottle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연준
Original Assignee
안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연준 filed Critical 안연준
Priority to KR2019990024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거병의 병목 부위와 주사바늘부의 관찰용 투명튜브에서 부력작용을 하는 부구에 의해서, 링거액이 거의 주입되는 시점에서 링거액을 혈관으로 주입되지 않게 하므로써, 링거주사시에 공기유입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링거병(16)의 링거액에서 부력작용을 하되, 상기 링거병(16)의 병목(17)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를 갖고, 무균처리된 실리콘 재질로 타원구형상을 갖는 중앙부(11)의 테두리에 비행접시 형상과 같이 차양부(12)를 형성한 제1부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상기 제1부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거주사부의 관찰용 투명튜브(19)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2부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상기 링거병(16')의 병목(17')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상기 병목(17')의 높이보다 약간 길게 연장하고, 연장된 상기 삽입부(22)의 끝단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23)가 부력작용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3)의 끝단에 원형구 형상의 제3부구(21)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링거병용 제2마개(2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링거주사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an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본 고안은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 보건소, 가정에서 환자에게 포도당과 같은 영양소를 혈관에 직접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링거병에 장착되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나 기타 질병에 걸려 정상인과 같은 신진대사를 하지 못하는 환자에게는 인위적으로 영양소를 공급해줘야만 한다. 그러한 환자들은 영양제 또는 특수 제조된 혈관 링거액을 링거병 또는 링거팩에 담아 링거주사를 맞는다.
이런 링거주사는 혈관주사를 주사할 수 있는 간호원 또는 보호자의 관찰 하에서 소정 시간동안 적당한 양의 링거액을 혈관에 직접 흘려 보내어 환자로 하여금 원기를 회복하도록 돕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링거주사에 필요한 도구는 링거액을 내부에 충진한 링거병(1)과, 이런 링거병(1)의 고무재질의 마개(2)와 삽입 결합하여 링거액이 튜브(4)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주사바늘부(3)와, 튜브(4)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링거액의 유량과 속도를 제어하건, 링거액이 흐르지 않게 하는 스토퍼(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사바늘부(3)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소정크기의 관찰용 투명튜브와, 이런 관찰용 투명튜브의 상면에 수직한 주사바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5)는 경사진 홈을 따라 회동하는 걸림구의 압축에 의해서 튜브의 단면적을 작게 또는 넓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링거주사를 놓은 간호원은 주사바늘부(3)의 관찰용 투명튜브에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링거액 방울을 개수하므로써, 링거액의 주사시간과 주입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간호원은 링거병의 내부 공기가 튜브를 통하여 환자의 혈관에 들어가지 않게 않도록, 링거액의 주입시간이 끝나기 전에 스토퍼(5)를 이용하여 링거액의 유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링거주사에 필요한 도구는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호원이 없을 때 링거주사의 링거액이 환자의 혈관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안전장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링거주사에 필요한 도구는 링거액의 주입시간이 끝나는 시점부터 간호원 또는 보호자가 주시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링거주사에 필요한 도구는 링거병에 채워진 링거액의 잔량을 수위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링거액의 경우, 먼 거리에서 링거액의 잔량을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링거주사에 필요한 도구는 스토퍼를 제외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링거액이 소진되어 갈 때, 환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링거병의 병목 부위와 주사바늘부의 관찰용 투명튜브에서 부력작용을 하는 부구에 의해서, 링거액이 거의 주입되는 시점에서 링거액을 혈관으로 주입되지 않게 하므로써, 링거주사시에 공기유입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링거주사에 필요한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21 : 부구 13 : 튜브
16, 16 : 링거병 18, 20 : 마개
17, 17' : 병목 19 : 관찰용 투명튜브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링거병의 링거액에서 부력작용을 하되, 상기 링거병의 병목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를 갖고, 무균처리된 실리콘 재질로 타원구형상을 갖는 중앙부의 테두리에 비행접시 형상과 같이 차양부를 형성한 제1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부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거주사부의 관찰용 투명튜브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2부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링거병의 병목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상기 병목의 높이보다 약간 길게 연장하고, 연장된 상기 삽입부의 끝단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가 부력작용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끝단에 원형구 형상의 제3부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링거병용 제2마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멸균처리된 반투명 또는 유색의 실리콘과 같은 재료를 금형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포도당액과 같은 링거주사용 링거액에서 뜨는 제1부구(10)이다.
이런 제1부구(10)는 먼 거리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될 수 있도록, 내부에 형광물질을 갖는다.
도 3a 및 도 3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부구(10)는 타원구형상의 중앙부(11)의 테두리에 비행접시 형상과 같이 차양부(12)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한 제1부구(10)의 중앙부(11)는 일반적인 링거병의 병목의 내경에 대응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부구(10)의 차양부(12)는 링거액을 거의 소진한 링거병의 병목의 내경에 제1부구(10)가 안착될 경우, 링거병의 병목의 내표면에 밀착할 수 있게,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는 막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1부구(10)는 링거병(16)의 내부에 링거액을 충진할 때, 링거병(16)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1부구(10)는 링거액과의 화학적 반응이 없도록 무균처리 된다. 이렇게 제1부구(10)가 삽입된 링거병(16)의 병목(17)에는 링거병용 제1마개(18)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제1부구(10)를 갖는 링거병(16)은 주사바늘부의 관찰용 투명튜브(19)와 함께 거꾸로 매달린 채로 사용된다. 이때, 제1부구(10)는 링거병(16)의 링거액의 액면 위에 떠올라 있다. 그리고, 링거병(16)의 링거액이 소정시간동안 환자의 혈관으로 들어가면서, 링거액의 액면과 제1부구(10)는 점차적으로 하향으로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구(10)의 중앙부(11)는 링거병(16)의 병목(17) 근처에 링거액이 도달할 무렵, 병목(17)쪽으로 유동하는 링거액의 흐름에 따라서, 병목(17)의 안쪽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1부구(10)의 차양부(12)는 병목(17) 부위의 내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접촉하는 제1부구(10)에 의해서, 링거액은 주사바늘부의 관찰용 투명튜브(19)쪽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부구(10)는 링거병(16) 내부의 공기가 튜브(13)를 통해 환자의 혈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주사바늘부의 관찰용 투명튜브의 내부에 들어가 부력작용을 할 수 있는 소형으로 제작된 제2부구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6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주사바늘부의 관찰용 투명튜브(19)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제2부구(10')이다. 이런 제2부구(10')는 튜브(13)의 내경에 대응한 직경을 갖게 무균처리된 중앙부(14)와 차양부(15)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2부구(10')는 관찰용 투명튜브(19)로 링거액이 공급되는 동안 관찰용 투명튜브(19)의 액면 위에 떠올라 있다. 또한, 링거병(16)의 링거액이 소진되어서, 관찰용 투명튜브(19)로 더 이상 링거액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링거액의 액면과 제2부구(10')는 점차적으로 하향으로 이동한다.
그러한 제2부구(10')의 중앙부(14)는 관찰용 투명튜브(19)와 튜브(13)의 삽입부위에 도달할 무렵, 튜브(13)쪽으로 유동하는 링거액의 흐름에 따라, 튜브(13)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튜브(13)의 내경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2부구(10')의 차양부(15)는 튜브(13)의 끝단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접촉하는 제2부구(10')에 의해서, 링거액은 튜브(13)쪽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부구(10')는 링거병(16)과 관찰용 투명튜브(19) 내부의 공기가 튜브(13)를 통해 환자의 혈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3실시예>
도면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링거병용 제2마개(20)의 삽입부(22)의 높이를 링거병(16')의 병목(17')의 높이보다 약간 길게 축방향으로 연장시키고, 끝단면에 일체형으로 힌지결합된 커버(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커버(23)의 힌지결합된 반대쪽 단부에는 제3부구(2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제3부구(21)는 무균처리된 실리콘 재질의 원형구로서, 커버(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제3부구(21)는 링거액의 내부에서 제3부구(21) 자신과 커버(23)를 띄워 커버(23)가 개폐(a)될 수 있는 정도의 부력을 갖는다. 따라서, 링거액에 담겨져 있지 않을 경우, 커버(23)는 제2마개(20)의 삽입부(22)의 끝단면을 밀폐하고 있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마개(20)의 삽입부(22)는 링거병(16')의 병목(17')보다 약간 높게 삽입되어 있다. 그러한 삽입부(22)의 끝단에 형성된 커버(23)는 링거액의 내부에서 제3부구(21)의 부력작용으로 삽입부(22)의 끝단면을 개방시키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병(16')의 링거액이 거의 소진되어갈 무렵, 제3부구(21)가 부력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커버(23)는 삽입부(22)의 끝단면을 밀폐시키므로써, 링거액이 링거주사부의 관찰용 투명튜브(19)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3부구(21)와 커버(23)를 구비한 제2마개(20)는 링거병(16') 내부의 공기가 환자의 혈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부구들을 링거병 또는 관찰용 투명튜브에 삽입하여서, 링거액이 소진될 무렵 링거액이 유동하는 링거병의 병목과 튜브를 밀폐하므로써, 공기가 환자의 혈관에 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간호원 또는 보호자의 부재중에도, 링거액의 주입을 정지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유색 또는 형광색을 띄고 있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도, 링거액의 액면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원 또는 보호자가 환자에게 주사되는 링거액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링거주사를 맞는 환자에게 안정감을 심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는 무균처리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링거주사용 안전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링거병(16)의 링거액에서 부력작용을 하되,
    상기 링거병(16)의 병목(17)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를 갖고, 무균처리된 실리콘 재질로 타원구형상을 갖는 중앙부(11)의 테두리에 비행접시 형상과 같이 차양부(12)를 형성한 제1부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거주사부의 관찰용 투명튜브(19)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2부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병(16')의 병목(17')에 삽입되는 삽입부(22)를 상기 병목(17')의 높이보다 약간 길게 연장하고, 연장된 상기 삽입부(22)의 끝단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23)가 부력작용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3)의 끝단에 원형구 형상의 제3부구(21)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제2마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KR2019990024177U 1999-11-05 1999-11-05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KR200176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77U KR200176559Y1 (ko) 1999-11-05 1999-11-05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77U KR200176559Y1 (ko) 1999-11-05 1999-11-05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559Y1 true KR200176559Y1 (ko) 2000-04-15

Family

ID=1959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177U KR200176559Y1 (ko) 1999-11-05 1999-11-05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50A (ko) * 2001-04-28 2001-07-13 김경진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장치
WO2011093539A1 (ko) * 2010-01-28 2011-08-04 Shin Jeong-Hyun 링거액 안전 주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50A (ko) * 2001-04-28 2001-07-13 김경진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장치
WO2011093539A1 (ko) * 2010-01-28 2011-08-04 Shin Jeong-Hyun 링거액 안전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2258A (en) Ported closure and connector therefor
US3227173A (en) Valve for parenteral liquid feed apparatus
US4059124A (en) Valved stopper for a urine bottle
GB2272042A (en) Dripping set with float valve
CN105727393B (zh) 一种止液器
KR200176559Y1 (ko)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CN205626634U (zh) 一种止液器
US5372591A (en) Solution dispensing device for intravenous drip
KR200188631Y1 (ko) 정맥주사용 점적통
KR100432865B1 (ko) 안전 수액세트
KR200390185Y1 (ko) 링거주사용 안전장치
CN201286915Y (zh) 设有开阀囊的一次性使用自闭保液输液器
CN202086868U (zh) 带球形内塞的输液瓶
KR960000475Y1 (ko) 자동폐쇄형 드리핑 세트
CN211584587U (zh) 一种茂菲氏滴管输液器
JPH077968Y2 (ja) 自動開閉式輸液セット
KR200257313Y1 (ko) 안전 수액세트
CN2584199Y (zh) 带截止球的一次性输液器
CN2666460Y (zh) 自动停滴输液器
CN216536410U (zh) 一种自动关闭输液装置
JP2009254407A (ja) 点滴筒
CN2302021Y (zh) 输液自动开关
CN2287968Y (zh) 浮阀式输液器
CN201248914Y (zh) 拉带式自停输液器
CN2391620Y (zh) 抗返流输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