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685Y1 -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685Y1
KR200175685Y1 KR2019970040873U KR19970040873U KR200175685Y1 KR 200175685 Y1 KR200175685 Y1 KR 200175685Y1 KR 2019970040873 U KR2019970040873 U KR 2019970040873U KR 19970040873 U KR19970040873 U KR 19970040873U KR 200175685 Y1 KR200175685 Y1 KR 200175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adjuster
flat panel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248U (ko
Inventor
황진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0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68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도중 디스플레이부의 전후 움직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를 3점으로 연결시켜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 간에 기울기조절부를 설치하고, 기울기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장착되는 제 3 힌지부와 체결되는 조절기와 스탠드부의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며, 조절기의 상하측면은 걸림턱으로 형성되고, 지지편중 왼쪽의 지지편은 케이스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턱과 접촉되는 부위에 걸림수단이 장착되며, 오른쪽의 지지편은 걸림수단과 장착된 상태에서 그 일측은 탄성수단으로 탄지되고, 조절기의 하측 끝단부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가 왼쪽으로 무제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및 상황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디스플레이부는 조절된 화면 각도대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본 고안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도중 디스플레이부의 전후 움직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를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이 표시되는 음극선관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음극선관이 상당한 무게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것과 더불어 메인회로부 및 비디오회로부와 기타 여러 가지 부품이 내장됨에 따라 모니터 본체 무게는 상당한 하중이 나간다.
이러한 모니터 본체를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니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탠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스탠드부는 모니터 하중에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칠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모니터 화면을 조정하여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화면 회전각도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제어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액정에 가하는 전압이나 자계, 온도 등에 따라서 빛의 투명도나 색이 변화하는 성질을 응용하여 디지털 시계나 계산기, 최근에는 포켓 TV의 표시용으로서 널리 실용화되고 있고, 소비 전력도 적다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자체 무게가 많이 나가 조금만 건드려 접촉되거나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본체가 올려진 책상이 약간 흔들려도 디스플레이부가 조금씩 회전되어 움직여서 사용자의 시선을 산만하게 하고, 이로 인해 일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도중 디스플레이부의 전후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를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부의 뒷면과 스탠드부 간에 기울기조절부가 체결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는 그의 화면 각도를 조정한 상태대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장착되는 제 3 힌지부와, 제 3 힌지부와 체결되는 조절기와, 조절기의 움직임을 조절 및 고정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또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절기의 상하 양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조절기의 하측 끝단부에는 이탈방지편이 설치되며, 조절기가 삽입되는 스탠드부의 케이스 상측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걸림턱과 마주 대하는 지지편에는 걸림수단이 장착되며, 왼쪽 지지편은 탄성수단으로 탄지되는 또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3 A부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디스플레이부 20 ; 스탠드부
40 ; 기울기조절부 41 ; 제 3 힌지부
42 ; 조절기 43 ; 걸림턱
44 ; 이탈방지편 45 ; 지지편
46 ; 걸림수단 47 ; 탄성수단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측면을 보인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0)는 스탠드부(20)와 기울기조절부(40)로 체결되고, 기울기조절부(40)의 조절기(4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 각도가 바꿔져 조정된다.
더욱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절기(42)의 상,하 양면에 걸림턱(43)이 형성되어 걸림턱(43)의 오목한 부위에 걸림수단이 걸리면서 디스플레이부(10)의 각도를 바꿀 수 있고, 이것으로 디스플레이부(10)의 변경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2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의 좌, 우측면중 일측면에서 본 것을 보인 것으로, 조절기(42)의 상측단은 제 3 힌지부(41)에 체결되고, 스탠드부(20)의 케이스상측면(21)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기(42)가 삽입되고 디스플레이부(10)가 시계 방향(도면상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할 때 조절기(42)는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고,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이때 조절기(42)는 디스플레이부(10)를 회전시켜 조정할 때 디스플레이부(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지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 (나), (다) 등의 상태로 움직일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0)가 수직 상태로 놓인 (가) 상태에서 (나), (다)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0)를 회전시키면 조절기(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걸림수단(46)이 걸림턱(43)의 오목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벗어나 다음 오목한 부위에 맞물려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수단(47)과 탄지된 지지편(45)은 조절기(42)의 힘에 의해 오른쪽으로 압박되고, 걸림수단(46)이 다음 오목부에 접촉될 때는 탄성수단(47)의 탄성력에 의해 긴밀히 밀착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가) 상태에서 (나), (다)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0)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이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는 (가), (나), (다) 상태로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조절기(42)에 형성된 걸림턱(43)의 오목한 부위의 칸 수만큼 기울어서 다양한 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와 업무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경사각도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조절기(40)를 도 4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부(10)에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0)와 체결된 조절기(42)는 그 걸림턱(43)에 탄성수단(47)의 탄성력이 작용해서 디스플레이부(10)의 움직임이 방지되고, 디스플레이부(10)에 사용자의 외력을 작용하여 기울기를 시도할 때는 사용자의 힘이 탄성수단(47)의 탄성력 보다 크므로 기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편중 왼쪽의 지지편(45')은 스탠드부(20)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오른쪽의 지지편(45)은 탄성수단(47)과 체결되어 있어서, 조절기(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양쪽의 걸림수단(46)과 맞물린 걸림턱(43)의 경사진 부위가 걸림수단(46)의 외주면과 마찰되면서 하강되고, 이때 오른쪽 걸림수단(46)은 오른쪽으로 밀려나면서 탄성수단(47)을 압박하게되고, 왼쪽 걸림수단(46)은 걸림턱(43)의 경사진 부위와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조절기(42)의 하측 끝단부는 이탈방지편(44)이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가 왼쪽으로 무제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이탈방지편(44)의 크기는 케이스내측부(23)에 형성된 홀 보다 크게 형성된다.)
더욱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탈방지편(44)이 케이스내측부(23)에 걸리면 디스플레이부(10)는 더 이상 왼쪽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하여 왼쪽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여 디스플레이부(10)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조절기(42)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바꿀수 있어서 사용자 자신의 신체 및 업무 상황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디스플레이부는 조절된 각도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가 제 1, 2 힌지부로 체결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뒷면과 스탠드부 간에 기울기조절부가 체결되어 디스플레이부를 각회전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는 그의 화면 각도를 조정한 상태대로 유지되는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의 뒷면에 장착되는 제 3 힌지부와, 제 3 힌지부와 체결되는 조절기와, 조절기의 움직임을 조절 및 고정하는 지지편으로 걸림수단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의 상하 양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조절기의 하측 끝단부에는 이탈방지편이 설치되며, 조절기가 삽입되는 스탠드부의 케이스상측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걸림턱과 마주 대하는 지지편에는 걸림수단이 장착되며, 왼쪽 지지편은 탄성수단으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19970040873U 1997-12-26 1997-12-26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175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73U KR200175685Y1 (ko) 1997-12-26 1997-12-26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73U KR200175685Y1 (ko) 1997-12-26 1997-12-26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48U KR19990028248U (ko) 1999-07-15
KR200175685Y1 true KR200175685Y1 (ko) 2000-04-15

Family

ID=1951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873U KR200175685Y1 (ko) 1997-12-26 1997-12-26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6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7729B2 (en) 2003-07-23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21A (ko) * 2001-09-03 2003-03-08 김순동 힌지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7729B2 (en) 2003-07-23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48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677B1 (ko)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4669694A (en) Tilt adjusting mechanism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090101777A1 (en) Wall mount supporting apparatu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4533105A (en) Tiltable display monitor assembly
KR19990024492U (ko) 틸트(tilt)동작을 위한 힌지장치가 보강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200175685Y1 (ko) 3점으로 연결되어 기울기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870011526A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용 경사장치
JP2004258934A (ja) 平面型ディスプレイモニタ用トレイ
JP2006064786A (ja) 液晶表示装置
KR100251127B1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00722U (ko) 엘시디 모니터
KR1003702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조정장치
KR1005682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25108A (ko) 피봇 힌지
JP2002229464A (ja) パネル型装置の支持機構
KR0135884Y1 (ko) 노트북 컴퓨터용 키보드 경사각 조절장치
KR20000000827U (ko) 액정 모니터
KR20000073609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엘씨디 모니터
KR100884410B1 (ko) 빔 프로젝터 자세제어장치
KR20000074848A (ko)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KR19990028259U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4160Y1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부 틸트각도 제어구조
JP2003087685A (ja) チルト装置
KR20000074849A (ko)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