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608Y1 -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608Y1
KR200175608Y1 KR2019980001469U KR19980001469U KR200175608Y1 KR 200175608 Y1 KR200175608 Y1 KR 200175608Y1 KR 2019980001469 U KR2019980001469 U KR 2019980001469U KR 19980001469 U KR19980001469 U KR 19980001469U KR 200175608 Y1 KR200175608 Y1 KR 200175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riving belt
knitting machine
groove
circular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803U (ko
Inventor
장병호
Original Assignee
장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호 filed Critical 장병호
Priority to KR2019980001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6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풀리와 연결되어 실공급기를 구동시켜주는 동력전달용 구동벨트의 장력을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슬라이드홈(22)이 형성된 하부회전판(20); 저면으로 다수개의 인벌류트홈(33)이 형성된 상부회전판(30); 슬라이드홈(22)과 인벌류트홈(3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1)(42)를 구비하여 상부회전판(30)의 회전운동에 의해 동심원상으로 그 직경이 조정되는 블록(40)들과; 상,하부회전판(20)(30)의 중앙에 천공된 축공(21)(31)을 관통하여 너트(50),스냅링(51)으로 체결되며 그 내경으로는 모터축(17)이 축설되는 축연결볼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본 고안은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동풀리와 연결되어 실공급기를 구동시켜주는 동력전달용 구동벨트의 장력을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편기용 실공급기(A)는 하우징(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의 상,하부에 회전풀리(3)와 실공급릴(4)이 각각 장착되고, 이 실공급릴(4)의 전,후방쪽에 링가이드(5)를 가진 브래킷(6), 판상가이드(7) 및 사절감지봉(8)과 링가이드(9) 그리고 사절감지봉(10), 와이어가이드(11) 및 사절검출램프(12)가 각각 장착되며, 하우징(1)의 일측에는 환편기의 원형지지링(13)에 하우징(1)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세트스크류(14)가 설치되고, 판상가이드(7)와 사절감지봉(8) 사이에는 주행하는 실(Y)에 의해서 공회전되는 디스크가이드(15)가 설치된다.
이러한 환편기용 실공급기(A)는 환편기의 원형지지링(13)에 여러개가 설치되어 니들(바늘)로 실(Y)을 공급하여주는 것으로, 이때 여러개의 실공급기(A)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하는 구동풀리(B)가 설치되고, 이 구동풀리(B)와 상기 여러개의 실공급기(A)의 각 회전풀리(3)에는 구동벨트(16)가 연결된다. 이때, 장시간 사용시 구동벨트(16)가 느슨해지므로 구동풀리(B)에는 구동벨트(16)의 적절한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종래 구동벨트(16)의 장력조절장치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중앙으로 축공(21)이 천공되어 상면으로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슬라이드홈(22)이 형성된 하부회전판(20)과; 그 중앙으로 축공(31)이 천공되어 저면으로는 나선홈(32)이 형성된 상부회전판(30)과; 그 상,하부로 슬라이드홈(22)과 나선홈(32)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1)(42)가 각각 돌출되어 상,하부회전판(30)(20)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부회전판(30)의 회전운동에 의해 슬라이드홈(22)으로 수평왕복운동하면서 동심원상으로 그 직경이 조정되는 블록(40)들과; 상기 축공(21)(31)을 관통하여 너트(50),스냅링(51)으로 체결되며 그 내경으로는 모터축(17)이 축설되는 축연결볼트(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공(21)에는 키홈(23)이 형성되고, 축연결볼트(60)의 하부에는 상기 키홈(23)에 끼워지는 키(61)가 설치되며, 슬라이드홈(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12조각의 블록(40)들의 외주연에는 구동벨트(16)가 감긴다.
상기 블록(40)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블록(40)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2)는 장형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70은 블록(40)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미끄럼판(70)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는 너트(50)를 풀고 상부회전판(30)을 회전시키면 나선홈(32) 및 슬라이드홈(22)에 각각 끼워진 가이드돌기(41)(42)에 의해 12조각의 블록(40)들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동심원상으로 그 직경이 변경되므로 이러한 작용을 통해 구동벨트(1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부회전판(3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블록(40)들의 직경이 작아지고, 반대로 상부회전판(3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블록(40)들의 직경이 커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는 상부조절판(30)의 회전운동을 통해 블록(40)들을 수평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조절판(30)의 저면으로 나선홈(32)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장력조절시 블록(40)들의 수평이동거리가 작아 큰직경으로 블록(40)의 장력을 조정할 경우 상부조절판(30)을 여러번에 걸쳐서 돌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장력조절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구동풀리와 연결되어 실공급기를 구동시켜주는 동력전달용 구동벨트의 장력을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력조절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회전판의 저면에 나선홈 대신 다수개의 인벌류트홈을 형성한 것이다.
도 1은 실공급기와 구동풀리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력조절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의 (가)는 하부회전판의 구조를 보인 평면예시도.
(나)는 상부회전판의 구조를 보인 저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하부회전판 21 : 축공
22 : 슬라이드홈 30 : 상부회전판
31 : 축공 33 : 인벌류트홈
40 : 블록 41,42 : 가이드돌기
50 : 너트 51 : 스냅링
60 : 축연결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슬라이드홈(22)이 형성된 하부회전판(20); 저면으로 다수개의 인벌류트홈(33)이 형성된 상부회전판(30); 슬라이드홈(22)과 인벌류트홈(3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1)(42)를 구비하여 상부회전판(30)의 회전운동에 의해 동심원상으로 그 직경이 조정되는 블록(40)들과; 상,하부회전판(20)(30)의 중앙에 천공된 축공(21)(31)을 관통하여 너트(50),스냅링(51)으로 체결되며 그 내경으로는 모터축(17)이 축설되는 축연결볼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축공(21)에는 키홈(23)이 형성되고, 축연결볼트(60)의 하부에는 상기 키홈(23)에 끼워지는 키(61)가 설치되며, 슬라이드홈(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12조각의 블록(40)들의 외주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구동벨트(16)가 감긴다. 이때, 블록(40)들의 외주연에 구동벨트(16)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무링이 설치된다.
상기 블록(40)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블록(40)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2)는 장형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70은 블록(40)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미끄럼판(70)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력조절장치도 너트(50)를 풀고 상부회전판(30)을 회전시키면 인벌류트홈(33) 및 슬라이드홈(22)에 각각 끼워진 가이드돌기(41)(42)에 의해 12조각의 블록(40)들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미끄러지면서 동심원상으로 그 직경이 변경되므로 이러한 작용을 통해 구동벨트(1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종래와 같다. 즉, 상부회전판(30)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블록(40)들의 직경이 작아지고, 반대로 상부회전판(3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블록(40)들의 직경이 커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력조절장치는 상부조절판(30)의 회전운동을 통해 블록(40)들을 수평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조절판(30)의 저면에 다수개의 인벌류트홈(33)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장력조절시 블록(40)들의 수평이동거리가 커 큰직경으로 블록(40)의 장력을 조정할 경우 상부조절판(30)을 한 번만 돌려도 되므로 종래와 같이 여러번에 걸쳐서 상부회전판(30)을 돌려야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장력조절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인벌류트홈(33)은 종래 나선홈(32)에 비해 그 최선단에서 최끝단까지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블록(40)들의 수평이동거리가 큰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는 구동풀리와 연결되어 실공급기를 구동시켜주는 동력전달용 구동벨트의 장력을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력조절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슬라이드홈(22)이 형성된 하부회전판(20); 저면으로 다수개의 인벌류트홈(33)이 형성된 상부회전판(30); 슬라이드홈(22)과 인벌류트홈(3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1)(42)를 구비하여 상부회전판(30)의 회전운동에 의해 동심원상으로 그 직경이 조정되는 블록(40)들과; 상,하부회전판(20)(30)의 중앙에 천공된 축공(21)(31)을 관통하여 너트(50),스냅링(51)으로 체결되며 그 내경으로는 모터축(17)이 축설되는 축연결볼트(60)를 포함하는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19980001469U 1998-02-09 1998-02-09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0175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69U KR200175608Y1 (ko) 1998-02-09 1998-02-09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69U KR200175608Y1 (ko) 1998-02-09 1998-02-09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03U KR19990035803U (ko) 1999-09-15
KR200175608Y1 true KR200175608Y1 (ko) 2000-04-15

Family

ID=195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469U KR200175608Y1 (ko) 1998-02-09 1998-02-09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6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73B1 (ko) 2013-02-05 2014-01-22 권영관 무단 변속기용 반경 변화 풀리와 무단 변속기
KR20190128272A (ko) * 2018-05-08 2019-11-18 이종훈 축지름이 가변되는 나선형 변속기 및 회전속도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73B1 (ko) 2013-02-05 2014-01-22 권영관 무단 변속기용 반경 변화 풀리와 무단 변속기
KR20190128272A (ko) * 2018-05-08 2019-11-18 이종훈 축지름이 가변되는 나선형 변속기 및 회전속도 제어방법
KR102049174B1 (ko) 2018-05-08 2020-01-22 이종훈 축지름이 가변되는 나선형 변속기 및 회전속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03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182Y1 (ko) 유아용 자동침대의 구동장치
US5310313A (en) Swinging type of electric fan
KR200175608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0192298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GB2032475A (en) Thread storage feeder
KR20020025625A (ko) 얀 공급장치
KR200206308Y1 (ko) 환편기의 서브롤러 어셈블리
KR200254539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구동풀리 변속장치
KR200396422Y1 (ko) 드릴머신의 변속장치
KR200378733Y1 (ko) 편직기용 실공급장치의 실공급릴
EP0662364A2 (en)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200222014Y1 (ko) 세탁기의 클러치
KR200145732Y1 (ko) 골프연습용 골프공 자동공급기
CN220744658U (zh) 一种钉卷机导针自动加料设备
KR200216328Y1 (ko) 얀 공급장치
CN215471425U (zh) 导线装置、切割系统及线切割机
CN214115913U (zh) 一种针杆导向装置及缝纫机
KR970045666A (ko) 프로젝터의 받침다리 승강조절구조
KR200254542Y1 (ko) 환편기용 편직물인출롤러 구동장치
KR200254543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구동풀리 구동장치
CN212270366U (zh) 一种导纱器限位装置
JP2536243Y2 (ja) 丸編機におけるステッチ量の中央制御装置
CN112436671A (zh) 无级变速箱
RU1781044C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KR0138037Y1 (ko) 유아용 자동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