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281Y1 -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281Y1
KR200175281Y1 KR2019990022082U KR19990022082U KR200175281Y1 KR 200175281 Y1 KR200175281 Y1 KR 200175281Y1 KR 2019990022082 U KR2019990022082 U KR 2019990022082U KR 19990022082 U KR19990022082 U KR 19990022082U KR 200175281 Y1 KR200175281 Y1 KR 200175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gravel
ossuary
muddy water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호
Original Assignee
조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호 filed Critical 조병호
Priority to KR2019990022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봉분(6)이 형성되는 납골묘에 있어서, 봉분(6)이 접경하는 상판(1) 상면에 배수홈(101)을 상판(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판(1)내측면에는 배수호스(10)의 입구가 끼워지는 배수연결공(103)을 형성한 후 이를 배수홈(101)의 일정위치에서 수직 형성되는 배수공(102)으로 배수홈(101)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배수호스(10)출구를 안치실(3)내측부의 자갈더미(5)내에 매설되도록 하며 기초콘크리트(7)저부의 지중에는 배수관(11)을 매설하여 그 끝부의 다공부(112)를 자갈더미(5) 직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은 물론 지면(8)과 납골묘의 하판(2)경계부에 자갈등이 채워지는 경계홈(9)을 형성하여 우천시 봉분에서 발생되는 흙탕물 및 지면에서 튀어오르는 흙탕물에 의해 납골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므로서 장 시간이 지나도 납골묘의 외관이 항상 미려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DRAINAGE STRUCTURE OF CHARNEL GRAVE AND SPLASH PREVENTION STRUCTURE OF MUDDY WATER}
본 고안은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튀김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분에 떨어지는 빗물을 납골묘 내부로 배수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납골묘와 지면 경계부에 자갈등이 깔리는 경계홈을 형성하여 우천시 봉분에서 발생되는 흙탕물 및 지면에서 튀어오르는 흙탕물에 의해 납골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므로서 장 시간이 지나도 납골묘의 외관이 항상 미려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납골묘를 대리석으로 축조하여 수 백년 동안 미려하고 정갈스러운 자태를 변형과 오염없이 유지될수 있도록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나 현재까지의 납골묘에는 우천시에 봉분의 빗물을 배수시킬수 있는 배수구조가 결여있음은 물론 빗물이 지면에 떨어짐으로서 발생되는 흙탕물의 튀김방지 구조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우천시에 봉분에서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빗물의 직접적인 낙하 또는 상판의 빗물이 낙하하므로서 튀는 흙탕물이 그대로 납골묘의 상,하판 표면에 그대로 묻게된다.
이렇게 상판과 하판에 묻어진 흙탕물은 비가 그친 후에는 상,하판 표면에 고착이 되게 되므로 납골묘의 외관 일부가 황토색으로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고이로인하여 납골묘의 외관을 오랫동안 미려한 상태로 보존하기에는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같이 종래의 납골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빗물 또는 그 밖의 이유로 발생되는 봉분의 흙탕물을 봉분 내부를 통해 지중으로 배수되도록 하고 납골묘와 지면의 경계부를 자갈등으로 구분되게 한 납골묘를 개발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납골묘 전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A'원내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101 : 배수홈
102 : 배수공 103 : 배수연결공
2 : 하판 3 : 안치실
301 : 개폐문 4 : 콘크리트부
5 : 자갈더미 6 : 봉분
7 : 기초콘크리트 8 : 지면
9 : 경계홈 10 : 배수호스
11 : 배수관 112 : 다공부
지면(8)의 기초콘크리트(7)상면에 대리석재로 되는 여러개의 상판(1)과 하판(2)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축조하여 그 사이에 수개의 안치실(3)이 등 간격 형성되도록 하되, 안치실(3)을 콘크리트 고정하고 안치실(3)의 콘크리트부(4) 내측과 상부로는 자갈 및 흙을 차례로 채워 봉분(6)이 형성되도록 하는 납골묘에 있어서, 봉분(6)이 접경하는 상판(1) 상면에 배수홈(101)을 상판(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판(1)내측면에는 배수호스(10)의 입구가 끼워지는 배수연결공(103)을 형성한 후 이를 배수홈(101)의 일정위치에서 수직 형성되는 배수공(102)으로 배수홈(101)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배수호스(10)출구를 안치실(3)내측부의 자갈더미(5)내에 매설되도록 하며 기초콘크리트(7)저부의 지중에는 배수관(11)을 매설하여 그 끝부의 다공부(112)를 자갈더미(5) 직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서된 것이며,
그리고 지면(8)과 납골묘의 하판(2)경계부에 자갈등이 채워지는 경계홈(9)을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납골묘를 설치한 후에 비가내려 봉분(6)에 흙탕물이 발생하게 되면 발생되는 흙탕물은 봉분(6)을 타고 흘러내려와 상판(1)의 배수홈(101)에 모임과 동시에 배수홈(101)일정위치의 수직 배수공(102)을 통해 배수연결공(103)으로 낙하하고 이렇게 배수연결공(103)으로 낙하하는 흙탕물은 배수연결공(103)에 입구가 끼워진 배수호스(10)를 따라 안치실(3)내측의 자갈더미(5)내로 배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호스(10)에 의해 자갈더미(5)내로 배수되는 흙탕물은 자갈더미(5) 사이를 서서히 빠져나오면서 기초콘크리트(7) 저면에 매설된 배수관(11)까지 도달하게 될 때 배수관(11)의 끝부 즉,자갈더미(5) 직하부에 위치되는 배수관(11)의 다공부(112)에 의거되어 배수관(11)으로 유입 배수되게 된다.
그리고 지면(8)과 납골묘의 하판(2)의 경계부에 상판(1)에 내린 빗물 또는 빗물이 곧바로 낙하하더라도 그 경계부에 자갈등이 채워지는 경계홈(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흙이 섞인 흙탕물이 하판(2)표면으로 튀어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우천시에 봉분(6)에서 발생되는 흙탕물을 봉분(6)내부에 설치되는 배수호스(10)에 의거시켜 지중의 배수관(11)으로 배수할수 있음은 물론 빗물이 떨어짐으로서 발생되는 흙탕물의 튀임 현상을 방지할수 있기때문에 흙탕물에 의해 납골묘 상판(1)과 하판(2)의 표면이 오염되는것을 막을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한 대리석으로 축조된 납골묘를 오랫동안 그모습 그대로 유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지면(8)의 기초콘크리트(7)상면에 대리석재로 되는 여러개의 상판(1)과 하판(2)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축조하여 그 사이에 수개의 안치실(3)이 등 간격 형성되도록 하되,안치실(3)을 콘크리트 고정하고 안치실(3)의 콘크리트부(4) 내측과 상부로는 자갈 및 흙을 차례로 채워 봉분(6)이 형성되도록 하는 납골묘에 있어서,봉분(6)이 접경하는 상판(1) 상면에 배수홈(101)을 상판(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판(1)내측면에는 배수호스(10)의 입구가 끼워지는 배수연결공(103)을 형성한 후 이를 배수홈(101)의 일정위치에서 수직 형성되는 배수공(102)으로 배수홈(101)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배수호스(10)출구를 안치실(3)내측부의 자갈더미(5)내에 매설되도록 하며 기초콘크리트(7)저부의 지중에는 배수관(11)을 매설하여 그 끝부의 다공부(112)를 자갈더미(5) 직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서된 납골묘의 배수구조.
  2. 납골묘에 있어서, 지면(8)과 납골묘의 하판(2)경계부에 경계홈(9)을 형성하여서된 납골묘의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KR2019990022082U 1999-10-14 1999-10-14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KR200175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82U KR200175281Y1 (ko) 1999-10-14 1999-10-14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82U KR200175281Y1 (ko) 1999-10-14 1999-10-14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281Y1 true KR200175281Y1 (ko) 2000-03-15

Family

ID=1959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82U KR200175281Y1 (ko) 1999-10-14 1999-10-14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2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719B1 (ko) * 2021-02-10 2021-09-02 박동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묘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719B1 (ko) * 2021-02-10 2021-09-02 박동현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묘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729B2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EP3012375A1 (en) A method for installing a manhole
KR100710917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KR200175281Y1 (ko) 납골묘의 배수구조 및 흙탕물 튀김방지구조
CN105178134B (zh) 一种道路绿色改造方法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200411498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JP5992009B2 (ja) コンクリート枡
US20090183461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wimming pools, ponds and other similar areas of water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KR100656410B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CN210421104U (zh) 超深基坑集水装置
CN113718668B (zh) 一种涵洞施工方法
KR200411497Y1 (ko) 수압 조절 배수 구조체
KR200412083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 연직 배수시스템
KR200435312Y1 (ko) 네일건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CN207812626U (zh) 一种屋面落水预制混凝土排水井
JP2003278165A (ja) かま場用排水ボックス
Fabian et al. A Byzantine Farmhouse, Terraces and Agricultural Installations at the Goral Hills near Be'er Sheva'
KR100653866B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