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41Y1 - 교량의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41Y1
KR200175141Y1 KR2019990023826U KR19990023826U KR200175141Y1 KR 200175141 Y1 KR200175141 Y1 KR 200175141Y1 KR 2019990023826 U KR2019990023826 U KR 2019990023826U KR 19990023826 U KR19990023826 U KR 19990023826U KR 200175141 Y1 KR200175141 Y1 KR 200175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rotrusion
screw hole
fixe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대창중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중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중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3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7Pot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진동의 흡수완화효율 및 지진에 대한 내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의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18390호인 교량의 교좌장치를 더욱 개량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실용신안고안의 특징은, 돌편(1A)과 나사구멍(1B)및 돌부 (101)를 형성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에 구면요부를 형성한 피스톤을 내입하여 구명요부에는 습동판의 돌부를 접촉시키고 나사구멍(2B)이 형성된 상부몸체(2)에 고정한 스테인레스강판(3)을 습동판에 접촉시키는 한편,
상부몸체(2)에 형성한 한쌍의 제어턱(2A)사이의 안내부(201)는 하부몸체(1)의 돌부(101)에 끼워 돌부(101)의 측면에는 사이드블럭(4)을 볼트(5)로 고정하고, 나사구멍(1B)에는 고정봉(6)을 너트(7)로, 나사구멍(2B)에는 고정볼트(8)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의 원형홈을 형성한 고무판을 삽입하여 교량의 충격진동의 흡수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기온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수축에 양호하게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고무판과 스테인레스강판(3)의 사이에는 구면요부를 형성한 피스톤과 구면돌부를 형성한 습동판을 적층하여서 된 것이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를 많이 소요하게 되면서 지진발생시 교량의 진동에 의한 완충폭이 좁고 원활하지 못하여 내진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편(1A)과 요입부(1')가 형성되고 나사구멍(1B)에 고정봉(6)을 너트(7)로 고정한 하부몸체(1)의 돌부(101)에는 나사구멍(2B)에 고정볼트(8)가 고정되고 제어턱(2A)을 형성한 상부몸체(2)의 안내부(201)를 끼워 볼트(101)의 측면에는 사이드블럭(SIDE BLOCK)(4)을 볼트(5)로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와 상부몸체(2)에 고정된 스테인레스강판(3)의 사이에는 수개의 크로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S)판(10)과 보강철판(11)이 교호로 접착되고 상면에는 PTFE판(12)을 접착하여서 된 고무패드(9)를 끼운 구조로 구성함으로 교량의 하중작용에 따른 고무의 큰변위는 보강철판에 의하여 억제되고 교량에서 발생하는 신축,회전등의 교축방향변형은 고무탄성에 의하여 흡수되도록하여 외력에 의한 교량의 이동은 원활히 이동되게하여 지진발생시에도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서 교량의 사용수명을 오래 유지시킬 수 있도록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교량의 교좌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의 교좌장치{SHOE DEVICE OF BRIDGE}
본 고안은 충격진동의 흡수완화효율 및 지진에 대한 내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량의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18390호인 교량의 교좌장치를 더욱 개량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실용신안고안의 특징은, 돌편(1A)과 나사구멍(1B)및 돌부 (101)를 형성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에 구면요부를 형성한 피스톤을 내입하여 구명요부에는 습동판의 돌부를 접촉시키고 나사구멍(2B)이 형성된 상부몸체(2)에 고정한 스테인레스강판(3)을 습동판에 접촉시키는 한편,
상부몸체(2)에 형성한 한쌍의 제어턱(2A)사이의 안내부(201)는 하부몸체(1)의 돌부(101)에 끼워 돌부(101)의 측면에는 사이드블럭(4)을 볼트(5)로 고정하고, 나사구멍(1B)에는 고정봉(6)을 너트(7)로, 나사구멍(2B)에는 고정볼트(8)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개의 원형홈을 형성한 고무판을 삽입하여 교량의 충격진동의 흡수완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기온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수축에 양호하게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고무판과 스테인레스강판(3)의 사이에는 구면요부를 형성한 피스톤과 구면돌부를 형성한 습동판을 적층하여서 된 것이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를 많이 소요하게 되면서 지진발생시 교량의 진동에 의한 진동폭이 좁고 원활하지 못하 여 내진구조상 문제를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돌편(1A)과 요입부(1')가 형성되고 나사구멍(1B)에 고정봉(6)을 너트(7)로 고정한 하부몸체(1)의 돌부(101)에는 나사구멍(2B)에 고정볼트(8)가 고정되고 제어턱(2A)을 형성한 상부몸체(2)의 안내부(201)를 끼워 볼트(101)의 측면에는 사이드블럭(4)을 볼트(5)로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와 상부몸체(2)에 고정된 스테인레스강판(3)의 사이에는 수개의 크로로프렌고무(CHLOROPRENE RUBBERS) 고무판(10)과 보강철판(11)이 교호로 접착되고 상면에는 PTFE판(12)을 접착하여서 된 고무패드(9)를 끼운 구조로 구성함으로 교량의 하중작용에 따른 고무의 큰변위는 보강철판에 의하여 억제되고 교량에서 발생하는 신축,회전등의 교축방향변형은 고무탄성에 의하여 흡수되도록하여 외력에 의한 교량의 이동은 원활히 이동되게하여 지진발생시에도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서 교량의 사용수명을 오래 유지시킬 수 있도록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교량의 교좌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작동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몸체
1' : 요입부
1A : 돌편
1B : 나사구멍
101 : 돌부
2 : 상부몸체
2A : 제어턱
2B : 나사구멍
201 : 안내부
3 : 스테인레스강판
4 : 사이드블럭
5 : 볼트
6 : 고정봉
7 : 너트
8 : 고정볼트
9 : 고무패드
10 : 고무판
11 : 보강철판
12 : PTFE판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편(1A)과 요입부(1')가 형성되고 나사구멍(1B)에 고정봉(6)을 너트(7)로 고정한 하부몸체(1)의 돌부(101)에는 나사구멍(2B)에 고정볼트(8)가 고정되고 제어턱(2A)을 형성한 상부몸체(2)의 안내부(201)를 끼워 돌부(101)의 측면에는 가이드앵글(4)을 볼트(5)로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와 상부몸체(2)에 고정된 스테인레스강판(3)의 사이에는 수개의 크로로프렌고무판(10)과 보강철판(11)이 교호로 접착되고 상면에는 PTFE판(12)을 접착하여서 된 고무패드(9)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은 먼지,모래등의 이물질유입방지용
고무실이고
14는 교량이며
15는 교각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교각(15)에는 도3과 같이 하부몸체(1)에 고정한 고정봉(6)과 돌편(1A)을 매입 고정하고 하부몸체(1)에 슬라이더 가능하게 결합한 상부몸체(2)의 고정볼트(8)는 교량에 고정하여 사용하게되는 것으로서,
하절기의 높은 기온에 의해 교량이 늘어날 시에는 하부몸체(1)에 이동 가능하게 접촉된 상부몸체(2)는 교량(14)이 늘어나는 방향인 도4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슬라이더되어 적응하게되고,
반대로 동절기의 낮은기온에 의해 교량(14)이 수축될 시에는 교량에 고정된 상부몸체(2)는 교량이 수축하는 방향인 도4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슬라이더되어 적응하게됨과 아울러 기타 약한 충격진동이 흡수완화케되는 것은 주지인 바,
상기에 있어 본 고안의 고무패드(9)는 내후성,내구성이 우수한 수개의 크로로프렌(CHLOROPRENE) 고무판(10)과 보강철판(11)을 접착하여서 된 것이므로 교량의 하중에 의하여 고무판(10)이 너무 납짝하게 압착 변위되는 것을 보강철판(11)이 억제하게됨과 동시에 교량에서 발생하는 신축,회전등의 교축방향변형은 고무판에 흡수 완화된다.
또한 고무판(10)의 제일 상면에는 PTFE판(12)이 접착되고 상기의 PTFE판(12)은 스테인레스강판(3)과 접촉되었으므로 스테인레스강판(3)의 미끄럼작용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게됨과 아울러 미끄럼폭이 크서 지진이 발생시에도 교량(14)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서 교량(14)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무게가 가벼워 운반 취급이 간편하고 설치시공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개의 고무판(10)과 보강철판(11)을 교호로 접착하여 고무패드(9)를 형성하였으므로 교량(14)의 하중에 의한 심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충격진동의 흡수력이 양호하고,
또한 상부몸체(2)에 고정된 스테인레스강판(3)은 PTFE판(12)과 접촉되어 미끄럼작용이 큰폭으로 매우 원활히 이동하게됨으로 인한 윤활작용의 향상으로 지진발생시에도 교량(14)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돌편(1A)과 요입부(1')가 형성되고 나사구멍(1B)에 고정봉(6)을 너트(7)로 고정한 하부몸체(1)의 돌부(101)에는 나사구멍(2B)에 고정볼트(8)가 고정되고 제어턱(2A)을 형성한 상부몸체(2)의 안내부(201)를 끼워 돌부(101)의 측면에는 사이드블럭(4)을 볼트(5)로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하부몸체(1)의 요입부(1')와 상부몸체(2)에 고정된 스테인레스강판(3)의 사이에는 수개의 크로로프렌고무판(10)과 보강철판(11)이 교호로 접착되고 상면에는 PTFE판(12)을 접착하여서 된 고무패드(9)를 고정하여서 된 교량의 교좌장치.
KR2019990023826U 1999-11-02 1999-11-02 교량의 교좌장치 KR200175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26U KR200175141Y1 (ko) 1999-11-02 1999-11-02 교량의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826U KR200175141Y1 (ko) 1999-11-02 1999-11-02 교량의 교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41Y1 true KR200175141Y1 (ko) 2000-03-15

Family

ID=1959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826U KR200175141Y1 (ko) 1999-11-02 1999-11-02 교량의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1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34B1 (ko) * 2001-11-16 2003-10-17 유니슨 주식회사 접착강도가 향상된 일체형 지진격리장치
KR101201957B1 (ko) 2012-05-29 2012-11-19 김도균 슬라이딩 탄성 받침
KR101796207B1 (ko) * 2015-08-24 2017-11-10 엄흥섭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34B1 (ko) * 2001-11-16 2003-10-17 유니슨 주식회사 접착강도가 향상된 일체형 지진격리장치
KR101201957B1 (ko) 2012-05-29 2012-11-19 김도균 슬라이딩 탄성 받침
KR101796207B1 (ko) * 2015-08-24 2017-11-10 엄흥섭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641B2 (en) High-performance shear friction damper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WO2019024552A1 (zh) 一种自复位摩擦摆三维减隔震支座
KR200398506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CN107747255B (zh) 一种横向刚度和竖向刚度分开控制的钢轨减振扣件
CN111188415A (zh) 一种抗拔双向摩擦摆减隔震支座
KR200175141Y1 (ko) 교량의 교좌장치
KR101173684B1 (ko)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KR100283782B1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마찰감쇠형 고무받침
CN116770978B (zh) 一种抗震钢结构
CN209493838U (zh) 一种新型复合阻尼减隔震支座
CN115538835B (zh) 一种自复位旋转放大摩擦耗能阻尼器
KR200398507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CN213358998U (zh) 菱形转动摩擦阻尼器
KR200170128Y1 (ko) 교량의 교좌장치
KR101409400B1 (ko) 모자형 강재댐퍼를 구비한 고무탄성받침
CN209873557U (zh) 自调坡减震球型铰支座
KR101200692B1 (ko) 마찰 댐퍼
CN207647104U (zh) 一种缓冲运动木地板
KR200254739Y1 (ko) 납보호관이 삽입된 납면진받침
CN219221121U (zh) 一种弹簧减震器用安装机构
JP3469200B2 (ja) 高地圧弾性支え
KR100501429B1 (ko) 포트베어링
CN111878542A (zh) 一种应用于桥梁与结构工程的宫格式箱型软钢阻尼器
KR0124135Y1 (ko) 점탄성 교량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