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18Y1 - 유성 부유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유성 부유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18Y1
KR200175118Y1 KR2019990022969U KR19990022969U KR200175118Y1 KR 200175118 Y1 KR200175118 Y1 KR 200175118Y1 KR 2019990022969 U KR2019990022969 U KR 2019990022969U KR 19990022969 U KR19990022969 U KR 19990022969U KR 200175118 Y1 KR200175118 Y1 KR 200175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float
main body
vertical du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2019990022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고안은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수면위에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부유물 수거시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성능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성부유물 제거기는, 본체프레임(101); 본체프레임(101) 상에 장착되어 본체프레임(101)을 수면 위에 뜨도록 하는 다수의 부유체(102); 본체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03); 구동모터(1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05); 본체프레임(101)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수면과 근접하는 하단부 지점에 흡입구(114)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토출구(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직덕트(104); 수직덕트(104) 내에 장착되고 웜기어(105)와 치합하여 회전함으로써 수면 위에 떠 있는 유성 부유물을 수직덕트(104) 내부로 흡입하여 수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107); 본체프레임(101)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펌프용 기어체(107)와 전동스트랩(108)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유성부유물을 수직덕트(104)의 흡입구 측으로 유동함과 동시에 본체프레임(101)을 이동시킬 수 있는 흡입유도용 추진팬(109); 본체프레임(101)의 전방부분을 둘러싸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이 수직덕트(10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거물망(111); 및 본체프레임(101)의 후방부분을 둘러싸서 본체프레임(101)의 후방으로 빠지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을 수거하는 후방거물망(112)을 포함하여, 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수면 위에 떠있는 유성부유물을 제거하고, 이물질 부유물이 상기 수직덕트(104)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성 부유물 제거기{apparatus for removing oil float}
본 고안은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위에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부유물 수거시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성능이 우수한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해상운송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형선박의 증가와 더불어 선발의 충돌이나 기타 선박좌초 등으로 인한 해상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이러한 해상사고의 발생시 수반되는 해상오염의 실태는 상상을 초월한 정도로 심각한 실정이다.
즉, 대량의 기름유출은 매우 확산속도가 빠르며, 이로 인한 오염은 해양의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는 수위에 있으며, 이러한 해상사고시애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름수거가 급선무이다.
또한 이와 같은 해상사고 뿐만아니라 공장 등에서 배출되어 해상으로 배출되는 폐수, 폐유는 자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인접국가에도 심대한 영향으 주므로 해양오염의 해양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가 심각하여 세계 각국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해양오염의 주원인은 유류유출, 각종 생활 폐기물, 폐유, 공장폐수, 양식어장 폐기물 등이 있으나 단기적인 오염원으로서는 선박의 해난사고로 인한 유류유출이 가장 심각한 오염원이 되고 있다.
국제해사기술(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은 선박에 대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MARPOL7/78을 제정하였으며, 유류 오염사고에 대한 국제협력에 의한 대응방법으로 OPRC(Oil Pollu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Co-operation)을 제정하여 국제적으로 적용해 오고 있다.
근래에는 국내 연안에서도 선박의 해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주변 어장의 황폐화와 해양환경의 파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유류유출에 의한 해양 환경파괴를 능동적으로 방지하고, 국제간의 해양오염방지에 공동대응할 수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체계적인 오염방제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면 해양에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직접방제에도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해양오염으로 인하여 파괴된 환경의 원상회복에 더욱 더 많은 시간과 간접비용이 들게 된다.
이러한 해양오염사고에 의한 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따라서 해양오염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최우선이라 할 수 있지만, 일단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면 조류와 파도 및 해수확산에 의하여 해양오염 해역이 급속히 확대되므로 오염사고에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히 대처하여 해양오염해역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해양오며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바다에는 유출된 기름을 적극적으로 신속히 회수 제거하는 방제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기름유출에 의한 해양오염시 오일펜스를 설치하고서 많은 인력에 의존하거나 소형 어선 등을 이용하는 재래식의 방법들에 의한 회수방법이 대부분이다.
방제선의 경우, 방제선의 크기 및 선박의 안정성을 높여 높은 파도에도 출항이 가능하며, 적극적으로 해상 유출유류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방제선에 사용되는 누유수거 및 처리장비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며, 이러한 장비들은 선가의 반을 차지할 정도로 매우 고가이나, 국제 특허권과 수 용의 한정성으로 자체 제작은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도 해양오염의 심각성에 대비하여, 효율 좋은 오일펜스의 개발, 스킴머의 개발, 해양오염확산모델에 관한 연구 등에 관하여 상당한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있다.
한편, 해난사고에 의한 기름유출 뿐만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연근해어업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연근해 어업으로 인해 많은 부유물이 연근해에 떠다니기 때문에, 이들 부유물 또한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러한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 플로트식(float-typed) 부유물 제거기를 사용하고 있다. 플로트식 부유물 제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통(2)을 가지고 있어, 지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움직임없이 고정되는 구조로 된다. 종래의 부유물 제거기는 수원지 혹은 바다 등지에 고정되는 고정대에 다시 고정되어 있다. 부유물 제거기에는 유입깔때기(1)가 수면과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유입깔대기(1)를 통해 유입되는 부유물은 유입깔대기(1)와 연통되어 있는 연결덕트(3)를 통해 수용탱크(미도시) 내에 수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플로트식 부유물 제거기는 수면 위의 일정한 지점에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기 측으로 유동되어 오는 부유물 만을 제거하기 때문에, 부유물 제거성능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유입깔대기를 통해 부유물이 유입될 때, 많은 양의 물이 함께 유입되기 때문에, 부유물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위에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부유물 수거시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성능이 우수한 부유물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 종래의 부유물 제거기의 측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유성 부유물 제거기의 측면도
도 3 - 도 2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부유성 프레임 103 : 구동모터
105 : 웜기어 107 : 흡입펌프용 기어체
109 : 흡입유도용 추진팬 111 : 전방거물망
112 : 후방거물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유성부유물 제거기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본체프레임을 수면 위에 뜨도록 하는 다수의 부유체;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 본체프레임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수면과 근접하는 하단부 지점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직덕트; 수직덕트 내에 장착되고 웜기어와 치합하여 회전함으로써 수면 위에 떠 있는 유성 부유물을 수직덕트 내부로 흡입하여 수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펌프용 기어체와 전동스트랩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유성부유물을 수직덕트의 흡입구 측으로 유동함과 동시에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는 흡입유도용 추진팬; 본체프레임의 전방부분을 둘러싸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이 수직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거물망; 및 본체프레임의 후방부분을 둘러싸서 본체프레임의 후방으로 빠지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을 수거하는 후방거물망을 포함하여, 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수면 위에 떠있는 유성부유물을 제거하고, 이물질 부유물이 수직덕트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성 부유물 제거기는 웜기어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웜기어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덕트가 본체프레임 상에 다수개 설치되고,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비교적 많은 양의 유성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면위에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유성 부유물 수거시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성능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성 부유물 제거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부유물 제거기는, 본체프레임(101); 본체프레임(101) 상에 장착되어 본체프레임(101)을 수면 위에 뜨도록 하는 다수의 부유체(102); 본체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03); 구동모터(1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05); 본체프레임(101)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수면과 근접하는 하단부 지점에 흡입구(114)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토출구(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직덕트(104); 수직덕트(104) 내에 장착되고 웜기어(105)와 치합하여 회전함으로써 수면 위에 떠 있는 유성 부유물을 수직덕트(104) 내부로 흡입하여 수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107); 본체프레임(101)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펌프용 기어체(107)와 전동스트랩(108)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유성부유물을 수직덕트(104)의 흡입구(114) 측으로 유동함과 동시에 본체프레임(101)을 이동시킬 수 있는 흡입유도용 추진팬(109); 본체프레임(101)의 전방부분을 둘러싸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이 수직덕트(10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거 물망(111); 및 본체프레임(101)의 후방부분을 둘러싸서 본체프레임(101)의 후방으로 빠지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을 수거하는 후방거물망(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수면 위에 떠있는 유성부유물을 제거하고, 이물질 부유물이 수직덕트(104)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웜기어(105)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웜기어감속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구동모터(103)의 회전력이 적절하게 감속되어 흡입펌프용 기어체(107)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직덕트(104)는 본체프레임(101) 상에 2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107)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비교적 많은 양의 유성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107)는 수직덕트(104) 상에서 소정부피를 가지고 형성되는 수용부(120) 내부에서 본체프레임(101)의 전후방향으로 안착되어 있고, 구동모터(103)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05)가 후방측 기어체(107)에 치합되어 있다. 그래서, 웜기어(105)의 회전력은 후방측 기어체(107)에 전달되어 후방측 기어체(107)가 회전하게 되고, 후방측 기어체(107)에 치합된 전방측 기어체(107)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측 기어체(107)의 회전축심 상에는 전동풀리(1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동풀리(121)와 흡입유도용 추진팬(109)에 전동스트랩(108), 예를 들어 전동벨트가 감겨지게 됨으로써, 구동모터(104)의 회전력은 추진팬(109)으로도 전달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흡입유도용 추진팬(109)이 회전하여 본체프레임(101)을 수면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동풀리(121) 대신에 스프라켓(sprocket)을 장착하여, 전동벨트 대신에 체인을 채용함으로써, 회전전달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성 부유물 제거기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유성 부유물 제거기가 부유체(102)의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103)가 작동하게 되면, 흡입유동용 추진팬(109)이 회전함으로써, 본체프레임(101)이 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수면 위에 떠 있는 각종 쓰레기 부유물 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03)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펌프용 기어체(107)도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수직덕트(104) 하부의 흡입구(114)에 접근하는 유성부유물은 수직덕트(104) 내부로 흡입되어 상부로 이송되고, 수직더트(104) 상부의 토출구(113)를 통해 배출된다. 그래서, 수면 위에 떠 있는 유성부유물이 수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웜기어(105)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흡입유도용 추진팬(109)은, 본체프레임(101)을 움직이는 역할 외에, 물위에 떠있는 유성 부유물을 수직덕트(104)의 흡입구(114) 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전방거물망(111)은 유성 부유물 외의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이 수직덕트(104)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거물망(112)은 펌프로 유입되지 못하는 유성부유물 이외의 이물질 부유물을 모아서 수거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면위에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유성 부유물 수거시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성능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성 부유물 제거기에 의하면, 수면위에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부유물 수거시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성능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유성부유물 제거기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01);
    상기 본체프레임(101) 상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1)을 수면 위에 뜨도록 하는 다수의 부유체(102);
    상기 본체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03);
    상기 구동모터(1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05);
    상기 본체프레임(101)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수면과 근접하는 하단부 지점에 흡입구(114)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토출구(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직덕트(104);
    상기 수직덕트(104) 내에 장착되고 상기 웜기어(105)와 치합하여 회전함으로써 수면 위에 떠 있는 유성 부유물을 상기 수직덕트(104) 내부로 흡입하여 수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107);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펌프용 기어체(107)와 전동스트랩(108)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성부유물을 상기 수직덕트(104)의 흡입구(114) 측으로 유동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프레임(101)을 이동시킬 수 있는 흡입유도용 추진팬(109);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전방부분을 둘러싸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이 상기 수직덕트(10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거물망(111); 및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후방부분을 둘러싸서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후방으로 빠지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 부유물을 수거하는 후방거물망(112)을 포함하여, 수면 위를 이동하면서 수면 위에 떠있는 유성부유물을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 부유물이 상기 수직덕트(104)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부유물 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부유물 제거기는 상기 웜기어(105)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웜기어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부유물 제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덕트(104)는 상기 본체프레임(101) 상에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흡입펌프용 기어체(107)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비교적 많은 양의 유성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부유물 제거기.
KR2019990022969U 1999-10-25 1999-10-25 유성 부유물 제거기 KR200175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969U KR200175118Y1 (ko) 1999-10-25 1999-10-25 유성 부유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969U KR200175118Y1 (ko) 1999-10-25 1999-10-25 유성 부유물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18Y1 true KR200175118Y1 (ko) 2000-03-15

Family

ID=1959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969U KR200175118Y1 (ko) 1999-10-25 1999-10-25 유성 부유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1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897B1 (ko) 2005-11-14 2006-05-10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의 부유물질 제거장치
KR101032657B1 (ko) 2009-03-25 2011-05-1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부유선회식 조류 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897B1 (ko) 2005-11-14 2006-05-10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의 부유물질 제거장치
KR101032657B1 (ko) 2009-03-25 2011-05-1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부유선회식 조류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813A (en) Floating debris recovery apparatus
CN107719593A (zh) 一种具备浮动式打捞运输结构的水面垃圾清扫船
KR101732896B1 (ko)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CN1163861A (zh) 用于湖泊和沼泽的净化方法及净化系统
KR20000031847A (ko) 부유물 수거 선박
US20160265179A1 (en)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KR20080029978A (ko) 해양 오염 방지용 오일 방제선
KR100488391B1 (ko)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EP0134226B1 (en) Collector apparatus
KR100239829B1 (ko) 해상 유출기름 수거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205975543U (zh) 水上轻质漂浮物收集装置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KR100406506B1 (ko)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CN114455012A (zh) 一种可全方位收集污染物的水面清洁船
KR200175118Y1 (ko) 유성 부유물 제거기
KR200493504Y1 (ko) 해양 부유물 포집기
KR100451031B1 (ko) 수중의 오니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202147827U (zh) 一种用于安置水面收污泵的抗风浪船体
CN114954814B (zh) 一种水体污染物收集装置
KR100285772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선
CN212797239U (zh) 一种新型液面浮油收集装置
CN211032939U (zh) 一种漂浮式海洋污水处理装置
CN208932184U (zh) 海漂垃圾收集系统
CN212581666U (zh) 一种船舶防污染治理用废水过滤装置
KR0178109B1 (ko) 하천 및 해양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