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588Y1 -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 Google Patents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588Y1
KR200174588Y1 KR2019990022389U KR19990022389U KR200174588Y1 KR 200174588 Y1 KR200174588 Y1 KR 200174588Y1 KR 2019990022389 U KR2019990022389 U KR 2019990022389U KR 19990022389 U KR19990022389 U KR 19990022389U KR 200174588 Y1 KR200174588 Y1 KR 200174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ot
water
pla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권
Original Assignee
조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권 filed Critical 조용권
Priority to KR2019990022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재배식물의 지하부 근권으로 급수·급기가 용이하도록 고안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비료성분의 유실이 방지되고 근권에 공기공급이 원활하여 일회급수로 장기간 안전한 식물생육을 도모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Hangable flower pot assembled watering vessel}
본 고안은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화분하부로 비료성분의 유실이 방지되고 식물의 지하부 근권으로 급기·급수가 용이하도록 고안되고 1회의 급수로 장기간 식물생육을 안전하게 도모할 수 있는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지 또는 공용되고 있는 식물재배용 화분은 상부 즉 식물의 지상부에서 급수하여 화분의 하부 즉 식물의 근권부에 도달하는 소위 수직 하향식 급수방식을 채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식물재배용기 특히 화분중에는 간혹 이와 반대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근권부 하부에 물받침통의 물을 상향식으로 급수하기 위하여 급수매개체 즉 급수용 심지를 매설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 있었다.
식물재배용 화분중에서 특히 전자 즉 수직하향식 급수방식을 채택한 대부분의 화분에 있어서는 물이 화분 상부의 표층토에 급수되어 토양공극을 통하여 물리적으로 식물의 근권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과잉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홍수현상으로 식물의 뿌리가 급수되는 물에 의하여 스트레스(stress)를 받게되는 결과가 되고 과소하게 공급되는 경우 또는 실수에 의하여 급수를 중단하는 경우에는 한발현상에 의하여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과소 공급되어 식재된 식물은 한해(Drought damage)를 받아 고사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더욱이, 이와 같은 현상은 식재된 식물의 수분요구도에 대한 지식이 결여된 경우에는 물은 과잉 공급되어 수해(水害)를 초래시키거나 뿌리가 짖물러 치사하거나 과소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해를 받아 식물을 고사시키는 결과를 초래시켜왔다. 또, 이 방식들의 강제 급수방식에 의하면 화분 상부에는 물이 공급되어 비료성분이 토양중에서 유실되어 화분내 토양이 산성회되어 쉽게 척박해지는 단점이 있고, 더 나아가 토양중의 양분이 화분 하부로 배출되어 하수 및 하천 등 환경오염을 유발하였다.
한편, 이와 반대로 식물재배용 화분의 하부를 통하여 일방적으로 상향식 급 수를 하기 위하여 화분 중심부를 통과하여 급수통에 연설하여 설치되는 면(cotton) 재질의 심지와 같은 급수매개체(Water tolerating mediator)를 사용할 경우에는 화분 내부에 충진된 토양에 상기 급수매개체와 토양 공극간에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식물의 근권부에 수분이 비교적 잘 공급되는 장점이 있으나 언제든지 식물의 근권부에 과잉의 수분이 공급되어 이 또한 과잉수분에 의하여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고 더 나아가 토양공극이 수분으로 채워져서 결국 식물의 생육이 안전하지 못하고, 화분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심지가 늘어져서 미관상 또 작업상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후자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화분은 실용성이 저하되어 크게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물재배용 플라스틱 화분의 단점과 체결함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의 표토층 또는 식물의 지상부로부터 강제적인 급수방법 또는 화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급수용기에 저수된 물을 급수매개체를 통하여 급수하는 일방적인 급수방법을 지양하고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급수용기에 저수된 물을 화분 중앙하부에 설치된 토양충진공간부에 충진시켜 토양이 직접 급수용기의 물을 흡수하게 하고 흡수된 토양수분은 다시 그 상부에 충진시킨 비료를 통과하여 식물의 근권부에 도달하도록 하므로써 결국 식물의 뿌리가 식재된 식물의 생리적 필요에 따라 물과 수용성 비료를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하는 자연적인 급수방식을 채택하여 비료성분의 유실이 없는 환경친화형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물재배용 화분의 중앙에 비료충진 공간부를 설치하 므로써 식물재배기간중 식물이 비료를 서서히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 환경친화형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재배환경 중 공기공급 방식으로 식물재배용 화분의 하부에는 화분지지각을 하향지게 연설한 다음 그 하단부 저면 및 측면에 소형의 공기공급용 통기공을 다수 천설하고 상기 화분지지각의 사이의 일정 부위에는 화분 외표면에서 내측으로 굴곡을 둔 요홈부를 상향지게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통기공을 1개 이상 천설한 구조를 가진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재배용기를 급수용기와 조립하여 단일체로 하고 이를 건물벽이나 건물내의 필요한 곳에 현수 전시 또는 재배할 수 있는 구조의 걸이용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각각의 화분지지각 하단 외주에 걸쳐 급수용기 체착에 적합한 융기부를 돌설시키고 급수용기의 내면에는 상기 화분지지각 외주에 걸쳐 돌설시킨 융기부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에 적합한 돌기부를 원주에 걸쳐 돌설시킨 급수용기를 결합한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통상의 화분구조에 있어서, 화분중앙에는 깔대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를 연설하고 그 하단저면과 측면에는 수분공급용 통수공을 다수 천설하며, 상기 화분의 가장자리에는 그 하단저면에 다수의 공기공급용 통기공을 천설하고 그 내부는 공기 유통이 원활하도록 좁은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 향지게 연설하되 원주에 따라 3∼6개 연설하고 상기 화분 중앙의 깔대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의 길이는 상기 화분하단의 화분지지각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 연설하며 상기 각 화분지지각 사이의 상단 일정부위의 외표면에는 화분내부로 공기와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향지게 굴곡시킨 요홈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통기공을 1개 이상 천설하므로써 달성한다.
이밖에도,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기 각 화분지지각 하단의 외주에 급수용기 체착에 적합한 융기부를 돌설하고 급수용기 내면에는 상기 화분지지각의 외주에 걸쳐 돌설된 돌기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기에 적합한 돌기부를 원주에 걸쳐 돌설시킴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얼마든지 당업자간에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설계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급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와 도 1b를 조립한 후의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화분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 적합한 원형깔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급수구가 체결되어 식물이 재배되고 있는 본 고안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1∼4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화분과 급수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화분과 급수용기가 결합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원형깔망이며, 도 5는 본 고 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걸이용 화분을 구성하는 재질은 합성수지, 토양광물 중 어느것도 좋으나 토양광물을 사용하면 도자기 제품이나 토분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서 미려한 고급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고안의 급수용기가 체결되기전의 걸이용 화분(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b는 급수용기(2)의 사시도이다. 화분(1)과 급수용기(2)로 구성되는 화분에 있어서, 도 2∼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1)의 중앙에는 깔때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를 하향지게 연설하고 그 하단저면과 측면에는 상기 급수용기(2)로부터 물이 흡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수공(8)을 천설하며 상기 화분(1)의 가장자리에는 그 내부가 좁은공간부(9)를 유지하도록 성형하고 그 하단저면은 공기가 통기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공급용 통기공(6)이 각각 다수 천설된 3∼6개의 화분지지각(4)을 연설하여서된 구조이다. 그리고, 화분지지각(4)의 하부에는 급수용기(2)의 내면 원주에 걸쳐 형성된 돌기부(21)와 제착되도록 융기부(12)를 돌설하고 상기 화분(1)의 화분지지각(4) 사이에는 내부로 절곡하여 급기 및 급수용 요홈부(11)를 내향지게 형성하고 그 상단부에는 통기공(13)을 1개 이상 천설하여서 된 구조이다.
또, 상기 화분(1)의 하부에 연설된 다수의 화분지지각(4)의 하부단면은 반드시 급수용기(2) 바닥면에 접촉하게 하고 따라서, 상기 화분지지각(4)들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하되 상기 깔대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의 길이보다는 다소 길게 연설하여 급수용기(2)에 충진된 물이 상기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에 충진된 토양과 비료에 차례로 흡수되도록 한 구조이다. 또,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의 전체적인 형상은 깔대기 모양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변경 예컨대, 상부를 더 넓게하고 하부는 좁고 길게하되 사각기둥 형태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용기(2) 내면 원주에 걸쳐 형성된 돌기부(21)는 화분지지각(4) 외표면에 형성한 융기부(12)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바닥면에서 상기 돌기부의 폭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 상기 급수용기(2) 내면에 형성된 원형돌기부(21)는 이와 같은 구조가 아니라 이를 받쳐 지지하는 화분지지각(4) 외표면에 형성된 융기부(21)의 수와 서로 같은 수의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 화분을 걸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화분(1) 상단에 걸이구(14)를 체착할 수 있도록 환테(10)를 형성하고 도 4와 같이 걸이구(14)를 체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급수용기(2)가 체결된 걸이용 화분의 구체적인 작용을 사용방법과 함께 도1∼ 도5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분(1)의 중앙에 설치된 깔대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에 식물재배용 상토를 깔대기 형상부 중단(X)에 이르기까지 충진시킨 후 그 상부에는 깔대기 형상부 상단(Y)에 이르기까지 비료를 충진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비료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맞는 복합비료, 완효성비료, 분말퇴비 등 기타 어떠한 비료이든 좋다.
다음에는 상기 화분(1)의 어깨부(Z)에 이르기까지 식물재배용 상토를 충진시키되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을 식재하거나 종자를 파종하여 둔다.
이와 같이 화분의 하부에서부터 토양과 비료 그리고 다시 토양을 충진시킨 구조의 화분(1)을 급수용기(2)와 체결한 후 물을 상기 화분(1)의 요홈부(11)를 통하여 급수하면 급수용기(2)에 채워진 물이 상기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의 하단저면 및 측면에 천공된 통수공(8)을 통하여 우선 토양으로 흡수되고 그 위에 충진된 비료가 습윤화된 다음, 다시 비료위에 채워진 토양으로 흡수되어 식물의 근권부에 도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파종된 종자의 표면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와같은 흡수과정은 급수용기(2)의 물이 순수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이며 식물의 근권부의 수분생리작용에 의하여 수분과 영양성분이 자연적으로 식물에 흡수 이용되는 것이다.
간혹, 급수용기(2)내에 물을 실수에 의하여 과도하게 부은 경우 화분(1) 바닥면의 모든 통기공이 물에 잠기게 되어 토양 근권부에 통기성이 불량하게 되는데 이 경우 화분(1) 내부 근권부에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화분의 요홈부(11) 상단에 1개 이상의 통기공(13)을 천설하여 두었으므로 식물근권부에 통기가 보완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 상기 화분(1)의 가장자리에 다수 연설된 화분지지각(4)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화분지지각(4)은 그 내부가 좁은 공간부(9)로 되어 있고 그 하부단면에는 미세한 공기공급용 통기공(6)이 다수 천설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화분(1)의 크기가 작은 경우 또는 상토의 입경이 큰 경우 등에는 대체로 상토를 충진할 때 상기 화분지지각(4) 내부에 형성된 좁은공간부(9)에는 토양이 충진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화분지지각(4) 내면 좁은공간부(9)로부터 상기 화분(1) 토양내로 공기 공급이 원활하고 상기 급수용기(2)에 물이 없을 때에는 상기 화분지지각(4) 하단저면에 미세하게 다수 천공된 다수의 통기공(6)을 통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충분히 재배중인 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화분(1)에 식물이 식재된 플라스틱 화분 또는 토기화분은 급수용기(2)를 조립하여 화분걸이구(14)를 사용하여 실내 공간에서 걸어수 있으며 이는 도 5에 그 사용예를 나타냈다.
본 고안에서 특히 화분지지각(4) 내부 공간부(9)에 상토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통기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a)를 가지는 상토차단용 원형깔망(A)을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원형깔망의 개구부는 화분지지각(4)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11)에 접촉된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급수용기(2)의 재질은 경량의 고밀도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있고,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화분지지각(4) 하단 원주에 걸쳐 형성된 융기부(12)와 상기 급수용기(2)의 내면원주에 걸쳐 돌설시킨 돌기부(21)와 밀착 체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본 고안을 건물외벽 또는 실내에서 걸이용으로 사용할 때 식물재배기간 중 현수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분리하지 않으며, 현수상태에서도 화분요홈부(11)를 통하여 적절히 급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화분구조에 의하면 재배식물의 지상부 표토층으로부터 급수하던 종래의 화분구조에서 토양중의 비료성분이 하향식 강제급수되는 물에 의하여 화분의 하부로 쉽게 용탈되어 상토가 용이하게 척박해지던 폐단이 방지되고 또, 급수된 물을 오래 보존할 수 없던 결함을 한꺼번에 시정하여 본 고안 급수용기에 1 회의 급수로도 종래의 화분구조에 하향식 강제급수방식에 비하여 식물이 수분을 경제적으로 장기간 이용할 수 있으며 또 급수회수를 현저히 줄일뿐만 아니라 상토중의 비료성분의 유실도 방지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식물 재배중 수분이 과잉공급되지 않으며 식물의 지상부에서 강제 급수하지 않기 때문에 토양중에 비료가 유실되어 상토를 척박화시킬 우려가 전혀 없으며, 식물의 근권부에 통기성이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장거리 수송과 실외건물 외벽 및 실내공간에 현수하여 장기간 식물재배를 실현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훼원예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화분(1)의 중앙에는 깔대기 형상으로된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를 하향지게 연설하고 그 하단저면과 측면에는 체결된 급수용기(2)로부터 물이 흡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수공(8)을 천설하며, 상기 화분(1)의 가장자리에는 그 내부가 좁은공간부(9)를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그 하단저면에는 다수의 공기공급용 통기공(6)이 각각 다수 천설된 3∼6개의 화분지지각(4)을 연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지지각(4)의 하단저면은 상기 급수용기(2) 바닥면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깔대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는 그 길이를 상기 화분지지각(4)보다 다소 짧게 하여, 상기 급수용기(2)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급수용기(2)의 물이 상기 깔대기 형상의 토양 및 비료충진공간부(3)의 하단저면 및 측면의 통수공(8)을 통하여 상기 화분(1)에 충진된 토양층, 비료층 및 토양층을 차례로 통과하여 식물의 근권부에 흡수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걸이용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지지각(4)의 외부표면 일정부위에는 상기 급수용 기(2) 내면의 일정부위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부(12)와 체결할 수 있도록 융기부(21)를 형성한 것이 특징이 걸이용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지지각(4) 사이에는 화분내면으로 절곡한 요홈부(11)를 상향지게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공기공급용 통기공(13)을 1개 이상 천설하여 급수 또는 급기함과 동시에 상기 화분(1)의 가장자리에 연설된 화분지지각(4)의 내부에 형성된 좁은공간부(9)와 그 하단저면에 형성된 통기공(6)을 통하여 근권부로 급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용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 내부의 바닥면에는 상토차단을 위해 일측이 개구부(a)를 가지는 원형깔망(A)를 재치하여 상기 화분지지각(4) 사이에 내향지게 형성된 요홈부(11)와 밀착시켜서 화분지지각(4) 내부의 좁은공간부(9)에 상토가 충진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써 화분내부로의 통기성을 더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용 화분.
KR2019990022389U 1999-10-18 1999-10-18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KR200174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89U KR200174588Y1 (ko) 1999-10-18 1999-10-18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89U KR200174588Y1 (ko) 1999-10-18 1999-10-18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588Y1 true KR200174588Y1 (ko) 2000-03-15

Family

ID=1959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389U KR200174588Y1 (ko) 1999-10-18 1999-10-18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5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7260A1 (en)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US20190177046A1 (en)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CN112352581A (zh) 一种实现无残余底部浇水的花盆结构及具有该结构的花盆
KR200174588Y1 (ko) 급수용기가 체결된 환경친화형 걸이용 화분
KR200174595Y1 (ko) 탈공해형 다용도 화분
KR101014627B1 (ko) 화분
KR100319263B1 (ko) 환경친화형 식물재배용 화분 및 그를 이용한 급수·급기방법
GB2118415A (en) Decorative flower pot
KR200166854Y1 (ko) 장기급수기능을갖는화분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CN209861720U (zh) 高透气性花盆
KR101653557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329598Y1 (ko) 환경미화를 위한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KR910006795Y1 (ko) 화분자동 급수기
CN104604663B (zh) 种植容器
KR910005993Y1 (ko) 화분자동 급수기
KR910008027Y1 (ko) 화분자동급수기
KR200267427Y1 (ko) 분리 이탈가능한 화분
KR200338871Y1 (ko) 베란다용 식물재배 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527

Effective date: 200307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