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203Y1 - 클립형 안경 - Google Patents

클립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203Y1
KR200174203Y1 KR2019990019263U KR19990019263U KR200174203Y1 KR 200174203 Y1 KR200174203 Y1 KR 200174203Y1 KR 2019990019263 U KR2019990019263 U KR 2019990019263U KR 19990019263 U KR19990019263 U KR 19990019263U KR 200174203 Y1 KR200174203 Y1 KR 200174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clip
safety
eyeglasses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재
Original Assignee
이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재 filed Critical 이휘재
Priority to KR2019990019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Abstract

본 고안은 선글라스, 도수안경, 보안경(무도수 안경), 산업용 보안경과 같은 일반안경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클립안경에 관한 것으로, 영구자석의 인력에 의한 결합작용과 브리지의 탄성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일반안경에 클립안경을 간편히 분리ㆍ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착용감이 좋고 부피와 무게가 작으면서 범용적으로 쓸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클립안경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안경과 일반안경을 결합하되 도수안경 + 선글라스, 도수안경 + 보안경, 도수안경 + 산업용 보안경, 도수안경 + 돋보기, 보안경 + 선글라스, 보안경 + 산업용 보안경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혼용 사용할 수 있으며, 클립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경혈 부근에 위치하는 영구자석의 자기(磁氣)작용에 의해 인체 혈행촉진과 신진대사 촉진효과가 있어서 건강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립형 안경{Clip type eyeglasses}
본 고안은 선글라스, 도수안경, 보안경(무도수 안경), 산업용 보안경과 같은 일반안경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클립안경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의 인력(引力)과 브리지의 탄지구조에 의해 일반안경과 클립안경을 간편히 분리ㆍ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착용감이 좋으면서 부피와 무게가 작고 적용범위가 넓은 간단한 구성의 클립안경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클립안경(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형 안경알(4)(6)을 연결하는 브리지(8) 부분에 일반안경의 코다리 부분을 압지하는 좌ㆍ우 한 쌍의 집게(10)(12)(14)(16)를 설치하고, 스프링(18)으로 탄지되는 압지편(20)을 도 2와 같이 가압하여 일측 집게(14)(16)를 벌리거나 오무리는 방법으로 클립형 안경(2)의 집게(10)(12)(14)(16) 부분을 일반안경의 코다리 부분에 끼워 고정하고, 압지편(20)의 양측으로 일반안경과 접촉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간 (22)(24)이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브리지(8)와 연결된 사각형의 회동봉(26)이 스프링(18)에 의해 회전하므로 도 2와 같이 안경알(4)(6)을 수직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는 있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무게가 무거운 편이며, 도 3과 같이 스프링 (18)으로 탄지되는 압지편(20)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집게(10)(12)(14)(16)를 벌린다음 일반안경의 코다리 부분에 분리ㆍ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돌출부가 많아 부피가 크고 거추장 스러울 뿐 아니라 선글라스로 그 용도가 제한되어 있어서 도수안경ㆍ무도수 안경ㆍ보안경ㆍ산업용 보안경과 같은 안경에는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클립안경(2)의 경우 탈ㆍ부착만 가능하므로 탈착시에는 항시 휴대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영구자석의 인력(引力)에 의한 결합력과 브리지의 탄지력으로 일반안경(선글라스, 도수안경, 보안경, 산업용 보안경 등)과 클립안경을 간편히 분리ㆍ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착용감이 좋고 부피와 무게가 작으면서 적용범위가 넓은 간단한 구성의 클립안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 또는 보안경(무도수 유리)이 결합된 양측 안경테의 바깥측면에 일반안경의 안경다리 연결편과 같거나 유사한 형상이면서 길이가 짧은 지지간을 각각 고정하고, 일반안경의 다리부분 또는 안경다리 연결편과 상기 지지간의 끝 부분에 영구자석을 고정시켜 영구자석의 자력(磁力)으로 일반안경과 클립압경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테를 연결하는 브리지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구조로 설치하여 클립안경을 들어올리는 경우 일반안경 브리지의 탄지력과 영구자석의 상호 인력(引力)에 의해 걸림되어 안경테의 들림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일반안경과 클립안경을 단순히 클립형으로 결합하는 경우 클립안경의 결합홈이 일반안경의 연결부 양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는 가운데로 향할수록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클립안경의 안경테를 폴더형 으로 들어 올리면 클립안경의 하강부는 일반안경의 만곡부에 접촉되고, 탄성이 유지되는 클립안경의 연결부는 일반안경의 연결부보다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걸림되게 함으로써 클립안경이 폴더형으로 상승해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일반안경과 클립안경은 도수안경 + 선글라스, 도수안경 + 보안경, 도수안경 + 산업용 보안경, 도수안경 + 돋보기, 보안경 + 선글라스, 보안경 + 산업용 보안경으로 각각 혼용 사용할 수 있다.
도 1 - 종래 클립안경의 외관 사시도.
도 2 - 종래 클립안경의 단면 구성도.
도 3 - 종래 클립안경의 압지 단면도.
도 4 - 본 고안 클립안경의 외관 사시도.
도 5 - 본 고안 브리지 부분 정면도.
도 6 - 본 고안 브리지 부분 단면도.
도 7 - 본 고안 클립안경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8 - 본 고안 클립안경을 들어올린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9 - 본 고안 도 8의 브리지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8)--클립안경 (30)--일반안경
(32)(34)--안경테 (36)(38)--안경다리 연결편
(40)(42)--지지간 (44)(46)(52)(54)--영구자석
(56)(58)--브리지 (60)(62)(82)(84)--상승부
(64)(66)(78)(80)(86)(88)--만곡부 (68)(70)--하강부
(72)(90)--연결부 (74)(76)--결합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클립안경(28)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5ㆍ도 6은 클립안경 (28)과 일반안경(3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렌즈 또는 보안경(무도수 유리)이 결합되는 양측 안경테(32)(34)의 바깥측면에 일반안경(30)의 안경다리 연결편 (36)(38)과 같은 형상으로 길이가 짧은 지지간(40)(42)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지지간(40)(42)의 끝 부분에 통공을 형성한 다음 영구자석(44)(46)을 끼워 고정하거나, 지지간(40)(42)의 상ㆍ하부면에 영구자석을 접착제로 접합하도록 한다.
영구자석(44)(46)이 위치하는 일반안경(30)의 안경다리 연결편(36)(38) 또는 안경다리(48)(50) 부분에도 통공을 형성한 다음 영구자석(52)(54)을 끼워 고정하거나 안경다리 연결편(36)(38) 및 안경다리(48)(50) 부분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안경다리(48)(50)부분의 상ㆍ하부면에 영구자석을 각각 고정시켜 자력(磁力)에 의한 인력(引力)으로 일반안경(30)과 클립안경(28)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경우 영구자석(44)(46)(52)(54)의 극성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시켜 척력이 아닌 인력(引力)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일반안경(30)과 클립안경(28)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데, 일반안경(30)에 고정되는 영구자석(52)(54)의 상부면이 N극이면 클립안경(28)에 고정되는 영구자석(44)(46)의 하부면이 S극이 되게 배치하거나 이와 달리 서로 반대 극성이 되게 각각 배치하면 영구자석(44)(46)(52)(54) 서로간에는 인력(引力)이 작용될 것이다.
한편, 클립안경(28)의 안경테(32)(34)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리지(56)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구조로 설치하여 도 8과 같이 클립안경(28)을 들어올리는 경우 클립안경(28)의 브리지(56)와 일반안경(30)의 브리지(58)의 상호간 탄지작용과 영구자석(44)(46)(52)(54)의 상호 인력에 의해 걸림되므로 도 8과 같이 안경테(32)(34)의 들림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클립안경(28)의 브리지(56)는 도 4, 도 5, 도 6과 같이 좌ㆍ우 대칭구조의 상승부(60)(62)와, 만곡부(64)(66)와 하강부(68)(70) 및 상기 하강부(68)(7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72)와 일반안경(30)의 브리지(58)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74)(76)으로 구성되며, 하강부(68)(70)는 도 6과 같이 밑으로 향할 수록 후면으로 돌출되는 경사형이며, 연결부(72)와 하강부(68)(70)가 연결되는 부분은 만곡부 (78)(80)가 형성되고 연결부(72)는 가운데로 이행할 수록 전면으로 다소 돌출되는 형상이다.
또한, 일반안경(30)의 브리지(58)는 좌ㆍ우 대칭형의 상승부(82)(84)와 만곡 부(86)(88)와 연결부(90)로 구성되며, 연결부(90)는 상기 결합홈(74)(76)의 좌ㆍ우 길이보다 보다 다소 길게 형성하여 도 7과 같이 일반안경(30)과 클립안경(28)을 단순히 클립형으로 결합하는 경우 클립안경(28)의 결합홈(74)(76)이 일반안경(30)의 연결부(90) 양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일반안경(30)의 연결부(90)는 도 7과 같이 가운데로 향 할수록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도 5, 도 8과 같이 클립안경(28)의 안경테(32)(34)를 폴더형으로 들어 올리면 클립안경(28)의 하강부(68)(70)는 일반안경(30)의 만곡부(86)(88)에 접촉되고, 탄성이 유지되는 클립안경의 연결부(72)는 일반안경의 연결부(90)보다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다.
따라서 탄성이 유지되는 도 5, 도 9와 같이 클립안경(28)의 연결부(72)가 일반안경(30)의 연결부(90)와 접촉하면서 상승하여 그 위에 위치하면서 걸림되므로 도 8, 도 9와 같이 클립안경(28)이 폴더형으로 상승해 있게 되며, 클립형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 도 8, 도 9와 같이 상승해 있는 클립안경 (28)의 안경테(32)(34)를 손으로 잡아 내리면 연결부(72)(90)의 상호 탄지력이 해제되므로 도 7과 같이 클립안경 (28)과 일반안경(30)이 중첩되는 구조의 클립안경이 된다.
본 고안에서 일반안경(30)과 클립안경(28)은 도수안경 + 선글라스, 도수안경 + 보안경, 도수안경 + 산업용 보안경, 도수안경 + 돋보기, 보안경 + 선글라스, 보안경 + 산업용 보안경으로 각각 또는 혼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일반안경(30)과 클립안경(28)은 연결부(72)(90)의 탄성 걸림구조와 영구자석(44)(46)(52)(54)에 의한 결합작용에 의해 쉽게 분리ㆍ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안경(28)은 영구자석(44)(46)(52)(54)의 인력(引力)과 연결부(72)(90)의 탄지구조에 의해 구성이 간단하고 부피와 무게가 작아 선글라스, 도수안경, 보안경 산업용 보안경과 같은 일반안경(30)에 간편히 탈ㆍ부착할 수 있어서 적용범위가 넓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워 착용감 증진효과가 있고, 돌출부분이 거의 없어서 착용하더라도 거추장스러움이 없으며, 일반안경(30)과 클립안경(28)을 착용하며 인체의 경혈 부근(관자놀이 부근)에 한 쌍의 영구자석(44)(46)(52)(54)이 위치하게 되므로 영구자석(44) (46)(52)(54)의 자기(磁氣)작용에 의해 인체 혈행촉진과 신진대사 촉진효과가 있어서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클립안경은 영구자석의 결합작용과 브리지의 탄성걸림구조에 의해 구성이 간단하며, 부피와 무게가 작아 선글라스, 도수안경, 보안경 산업용 보안경과 같은 일반안경에 간편히 탈ㆍ부착할 수 있어서 적용범위가 넓고 외관이 미려한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안경과 클립안경은 연결부의 탄성 걸림구조와 영구자석에 의한 결합작용에 의해 쉽게 분리ㆍ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안경과 일반안경은 도수안경 + 선글라스, 도수안경 + 보안경, 도수안경 + 산업용 보안경, 도수안경 + 돋보기, 보안경 + 선글라스, 보안경 + 산업용 보안경으로 혼용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워 착용감 증진효과가 있고, 클립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경혈 부근에 위치하는 영구자석의 자기작용에 의해 혈행촉진과 신진대사 촉진효과가 있어서 건강증진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안경테(32)(34)의 바깥측면에 길이가 짧은 지지간(40)(42)을 고정하고, 지지간(40)(42)의 끝 부분에 영구자석(44)(46)을 고정하고, 안경테(32)(34)를 연결시키는 브리지(56)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구조로 설치하여 일반안경(3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립안경(28)의 브리지(56)는 좌ㆍ우 대칭구조의 상승부 (60)(62)와, 만곡부(64)(66)(78)(80)와 하강부(68)(70) 및 상기 하강부(68)(70)를 연결하는 연결부(72)와 일반안경(30)의 브리지(58)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74) (76)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안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강부(68)(70)는 밑으로 향할 수록 후면으로 돌출되고, 연결부(72)는 가운데로 이행할수록 전면으로 다소 돌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안경.
  4. (삭 제)
  5. (삭 제)
  6. (삭 제)
KR2019990019263U 1999-09-10 1999-09-10 클립형 안경 KR200174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63U KR200174203Y1 (ko) 1999-09-10 1999-09-10 클립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63U KR200174203Y1 (ko) 1999-09-10 1999-09-10 클립형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203Y1 true KR200174203Y1 (ko) 2000-03-15

Family

ID=1958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263U KR200174203Y1 (ko) 1999-09-10 1999-09-10 클립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2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2724A1 (en) Eyeglasses having magnetically coupled primary lens frame and auxiliary frame
US6637878B2 (en) Eyewear frame with auxiliary frame having distantly arranged magnets
US6783234B1 (en) Detachable sunglass unit
JP2004512575A5 (ko)
JP3127385U (ja) 三次元立体角度で結合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た眼鏡と追加レンズセット
KR200174203Y1 (ko) 클립형 안경
KR200174204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클립안경
KR20120000956U (ko) 선글라스 내측에 보조안경이 결합되도록 한 이중안경
CN219417920U (zh) 一种眼镜主镜框与副镜框的磁吸连接结构
US20010035934A1 (en) Eyeglass frames with magnetical attachment mechanism at bridges
KR200218866Y1 (ko) 클립-온 안경
CN210323645U (zh) 一种可加装多功能镜片的眼镜
CN218332176U (zh) 一种具有轻便型弹力镜腿的眼镜
CN203287638U (zh) 一种眼镜附镜的固定结构
KR200168085Y1 (ko) 안경
JP3108514U (ja) 前掛け式複式眼鏡アセンブリ
JP3079244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308877Y1 (ko) 안경과 클립안경의 체결구조
JP3052031U (ja) 簡易メガネ
CN2453465Y (zh) 可拆装磁力吸附太阳镜
KR200389261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KR200246709Y1 (ko) 안경과 선그라스의 탈부착구조
CN2465200Y (zh) 可拆装磁力吸附太阳镜
CN2489350Y (zh) 可拆装磁力吸附式组合眼镜
JP3070324U (ja) 眼鏡フレ―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