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66Y1 - 종이관 - Google Patents

종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66Y1
KR200173866Y1 KR2019990021105U KR19990021105U KR200173866Y1 KR 200173866 Y1 KR200173866 Y1 KR 200173866Y1 KR 2019990021105 U KR2019990021105 U KR 2019990021105U KR 19990021105 U KR19990021105 U KR 19990021105U KR 200173866 Y1 KR200173866 Y1 KR 200173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aper tube
lid
lay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효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효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효신
Priority to KR2019990021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00Making tubes or pipes by feeding at right angles to the winding mandrel centre line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종이관을 제조할 때 골판지를 바닥판과 각 측판 및 뚜껑등을 각 독립된 각각의 몸체로 절단한 후 나무상자를 제조하듯이 각 모서리를 대고 나사못이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관을 조립하였기 때문에 하중이 걸리게되면 연결부가 하중을 이기지 못하여 나사못이 빠지거나 접착제가 떨어져 분리되므로 종이관이 해체되는 폐단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겹층으로 이루어진 골판지(11)에 바닥판(13)의 둘레로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이 위치하는 구조로 전개도를 그려 이를 절단하되, 상기 바닥판과 각 측면판과의 사이에는 절첩선(16)을 형성하여 이 절첩선(16)을 따라 외피층(12)을 제외한 각 층을 90°각의 'V'자형으로 홈을 파 절첩홈(17)을 형성하고, 인접 측면판들은 면접부를 직각을 이루도록 45°로 절단하고, 상기 각 절첩홈면과 절단면(18a)(18b)에 접착제를 바르고 이를 접어 부착하고, 각 모서리의 내외부로 접착테이프(31)를 부착하고, 상기 관뚜껑(20)의 저면에 관의 각 구석과 대응되는 위치로 걸림편(21)을 부착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종이관은 바닥판과 측면판들이 외피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큰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종이관{A paper-coffin}
본 고안은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관을 제조할 때 각 면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므로써 큰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갖는 종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고급관은 오동나무 향나무, 소나무 등의 목제로 제조하고 외부에 각종 조각을 새겨 장식하는 반면, 저가의 관은 무모양으로 단순한 직사각체의 상자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요즘은 관을 구입할 때 실속을 따져 구입하는 경우가 많아 저가의 관도 많이 선호한다. 하지만 이 저가의 관 또한 수입목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상 고가일 수 밖에 없으며, 무게가 많이 나가는 원인 때문에 이제는 종이관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지역적 풍습에 따라 시신을 매장할 때 관체로 매장하는 곳도 있지만, 관으로부터 시신을 분리하여 매장하는 곳도 있다. 이때에는 시신을 운반한 후 관은 태워버리기 때문에 고가의 관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더 종이관을 선호하게 된다.
이러한 종이관을 제조할 때에는 종래에는 골판지를 바닥판과 각 측판 및 뚜껑등 부분에 따라 절단한 후 나무상자를 제조하듯이 각 모서리를 대고 나사못이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관을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관은 하중이 걸리게되면 연결부가 하중을 이기지 못하여 나사못이 빠지거나 접착제가 떨어져 분리되므로 종이관이 해체되는 폐단이 있게 된다. 특히 습기가 많으면 더욱더 이러한 현상은 심화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종이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종이관의 각면이 연결되도록 하므로써 하중이 걸리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종이관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에 관의 전개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전개도,
도 4a,4b는 도 1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의 조립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관뚜껑의 구조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관에 관뚜껑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 구조의 관 전개도,
도 9는 도 8의 관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종이관 11 - 골판지 12 - 외피층
13 - 바닥판 14a,14b,14c,14d - 측판면 16 - 절첩선
17 - 절첩홈 18a,18b - 절단홈면,절단면 19 - 절취선
20 - 관뚜껑 21 - 걸림편 30 - 필름
31 - 접착테이프 42 - 못구멍 44 - 못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종이로 종이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겹층으로 이루어진 골판지에 바닥판의 둘레로 각 측면판들이 위치하는 구조로 전개도를 그려 이를 절단하되, 상기 바닥판과 각 측면판과의 사이에는 절첩선을 형성하여 이 절첩선을 따라 외피층을 제외한 각 층을 90°각의 'V'자형으로 홈을 파 절첩홈을 형성하고, 인접 측면판들은 면접부를 직각을 이루도록 45°로 절단하고, 상기 각 절첩홈면과 절단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이를 접어 부착하고, 각 모서리의 내외부로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고, 상기 관뚜껑의 저면에 관의 각 구석과 대응되는 위치로 걸림편을 부착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판지에 관의 전개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전개도이고, 도 4a,4b는 도 1의 B-B선 및 C-C선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의 조립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관(10)은 다겹층(3∼4겹층 이상)의 골판지(11)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판지(11)의 외피층(12)은 도 2와 같이 타층보다 두께가 얇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골판지(11)로 관을 제조할 때에는 도 1과 같이 바닥판(13)을 중심으로 각 측면판(14a)(14b)(14c)(14d)을 형성하는 구조로 넓은 골판지(11)에 전개도를 그린다. 관뚜껑(20)은 별도로 형성한다. 이때 바닥판(13)의 길이방향이 골판지의 다공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양측 측면판(14b)(14d)의 다공체가 수직방향을 이루기 때문에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는 바닥판(13)과 측면판(14a)(14b)(14c)(14d)과의 경계부에는 절첩선(16)을 그리고, 각 측면판(14a)(14b)(14c)(14d)의 양측단과 상단은 절취선(19)을 형성한다.
절첩선(16)에는 'V'자 형상으로 상광하협된 절첩홈(17)을 형성한다. 그 각은 90°로서 절첩선(16)을 기준으로 양측이 45°각을 이룬다. 이때 골판지(11)의 외피층(12)은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 이는 바닥판(13)과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이 외피층(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의 양단은 접면시 직각을 이루도록 45°로 절단하고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의 상단은 직각을 이루도록 절단한 다. 관뚜껑(20)은 바닥판(13)의 크기로 절취선(19)을 따라 절단한다.
절단면(18b)과 절첩홈(17)에 접착제를 바른 후 절첩홈(17)을 따라 각 측면판(14a)(14b)(14c)(14d)을 접으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측면판(14a)(14b)(14c)(14d)이 접혀지면서 바닥판(13)의 절단홈면(18a)에 면접되게 되고 바닥판(13)과 직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인접 측면판(14a)(14b)(14c)(14d)들도 양단 절단면(18b)들이 아귀가 직각으로 들어맞는 상개형 직사각 통을 이루게 된다. 바닥판(13)으로부터 각 측면판(14a)(14b)(14c)(14d)이 절첩될 때 외피층(12)의 두께가 얇아 용이하게 절첩되고 또 반듯하게 세워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이 만나는 내외 모서리부에는 도 6과 같이 접착테이프(31)를 부착하여 접착제와 함께 결속력을 증가시킨다. 또 관의 상단부와 관뚜껑(20)의 둘레는 골판지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종이띠를 부착하여 마무리한다.
한편, 도 6과 같이 관의 각 모서리와 대응되는 관뚜껑(20)의 저면부에 걸림편(21)을 부착한다. 걸림편(21)은 관뚜껑(20)을 관에 닫을 때 도 7과 같이 관의 각 구석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관뚜껑(20)은 흔들리지 않게 된다.
관뚜껑(20)을 닫은 후에는 네 모서리부와 양측 중앙부 등 몇몇 개소에 나무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못(44)을 박아 관뚜껑(20)이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못(44)을 박을 부위에는 미리 못구멍(42)을 각각 형성하여 이에 못(44)을 박는다.
이와 같이 관의 형상이 완료되면 내부에는 도 7과 같이 나무무늬 형상의 필름(30)(벽지)을 부착한 다음 내외부에 옻칠을 하고(도색)을 하고 내부에는 방수처 리를 하여 완료한다.
이러한 관은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이 바닥판(13)과 외피층(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판(13)에 하중이 가하여지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각 측면판(14a)(14b)(14c)(14d)들 또한 접착제와 접착테이프(31)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내,외부에 습기가 차거나 물이 침입하더라도 방수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내습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한편, 관뚜껑이 관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연결된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 관에 관뚜껑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 구조의 관 전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관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관 사시도 이며, 도 10은 도 8의 관 단면도이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관을 제조할 때 바닥판(13)과 각 측판들 사이에 90°각의 절첩홈(17)을 형성하듯이 일측 측면판(14b)에 연결되도록 관뚜껑(40)을 형성한 후 그 사이에 90°각의 절첩홈(17)을 형성하여 사용시 직각으로 접어 관뚜껑(40)을 닫도록 한 것이다.
또한 관의 상단 둘레와 이와 면접되는 뚜껑의 둘레에 나무 또는 합성수지재 못(44)이 박히는 못구멍(4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뚜껑(40)을 형성하므로써 도 9에서와 같이 관 전체가 외피층(12)으로 연결된 일체형 관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관은 관뚜껑(40)을 개방하더라도 항상 일측 측면판(14b)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 이러한 관뚜껑(40)의 저면 네 모서리부에는 걸림편(21)을 설치할 필요는 없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관의 상단 둘레와 이와 면접되는 관뚜껑(40)의 둘레에 못구멍(42)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에 나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못을 박아 관뚜껑(40)을 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측면판들과 바닥판들이 외부층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큰 하중이 바닥판에 가하여지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내외부에 방수처리가 되어있어 습기에 강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종이로 종이관(10)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겹층으로 이루어진 골판지(11)에 바닥판(13)의 둘레로 각 측면판(14a)(14b)(14c)(14d)들이 위치하는 구조로 전개도를 그려 이를 절단하되, 상기 바닥판(13)과 각 측면판(14a)(14b)(14c)(14d)과의 사이에는 절첩선(16)을 형성하여 이 절첩선(16)을 따라 외피층(12)을 제외한 각 층을 90°각의 'V'자형으로 홈을 파 절첩홈(17)을 형성하고, 인접 측면판(14a)(14b)(14c)(14d)들은 면접부를 직각을 이루도록 45°로 절단하고, 상기 각 절첩홈면과 절단면(18a)(18b)에 접착제를 바르고 이를 접어 부착하고, 각 모서리의 내외부로 접착테이프(31)를 부착하고, 상기 관뚜껑(20)의 저면에 관의 각 구석과 대응되는 위치로 걸림편(21)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관(10)의 내부에 나무무늬를 갖는 필름(30)을 부착하고 내외부에 옻칠을 한 후 내부에는 방수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11)의 외피층(12)은 두께가 얇은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측면판(14b)의 상단에 관뚜껑(40)을 연결 형성하되, 그 사이에 외피층(12)을 제회한 나머지층에 90°각의 절첩홈(17)을 형성하여 사용시 직각으로 접어 관뚜껑(40)을 닫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5. 제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상단 둘레와 이와 면접되는 관뚜껑(40)의 둘레에 못구멍(42)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에 못(44)을 박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KR2019990021105U 1999-10-01 1999-10-01 종이관 KR200173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105U KR200173866Y1 (ko) 1999-10-01 1999-10-01 종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105U KR200173866Y1 (ko) 1999-10-01 1999-10-01 종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866Y1 true KR200173866Y1 (ko) 2000-03-15

Family

ID=1959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105U KR200173866Y1 (ko) 1999-10-01 1999-10-01 종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6509A (en) Gift wrapping
US6309039B1 (en) Container with bottom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136473A (en) Box construction
KR20010035710A (ko) 종이관 제조방법
KR200173866Y1 (ko) 종이관
FI61994B (fi) Halvfabrikat foer likkista samt daerav gjord kista
KR101297612B1 (ko) 관용 블랭크 및 조립체
JP3434454B2 (ja) 紙製容器
US5891535A (en) Base covering for christmas tree stand, or other domestic objects
JPH0433856Y2 (ko)
KR200200434Y1 (ko) 종이관
JPS6344345Y2 (ko)
AU2005313865B2 (en) A blank and an assembly for a coffin
KR820000876B1 (ko) 관(棺)
JPS6134263Y2 (ko)
JPH0339370Y2 (ko)
JP3061109U (ja) 化粧箱
KR101390477B1 (ko) 종이관 제조방법
JPH0539056Y2 (ko)
JPS6313156Y2 (ko)
KR20090002458U (ko) 종이관
JPH028713U (ko)
JPS61178314U (ko)
JPS5836665Y2 (ja) フラップ部に裏ライナ−を配する段ボ−ル箱
JPS61183636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