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791Y1 -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791Y1
KR200173791Y1 KR2019990022341U KR19990022341U KR200173791Y1 KR 200173791 Y1 KR200173791 Y1 KR 200173791Y1 KR 2019990022341 U KR2019990022341 U KR 2019990022341U KR 19990022341 U KR19990022341 U KR 19990022341U KR 200173791 Y1 KR200173791 Y1 KR 200173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ook
door
furnitur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마그마
Priority to KR201999002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1/00Other locks with provision for latching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잠금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시 잠금장치 및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키이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축(11)을 구비하는 통상의 자물쇠(12),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잠금위치 및 잠금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이체(13)로 이루어지는 자물쇠본체부(10)와, 상기 걸이체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걸이체를 걸림유지하고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걸림해제하는 자물쇠고정부(20)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체(13)는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회전아암부(13a)와, 이 회전아암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에 후크(13c)가 형성된 걸이부(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물쇠고정부(20)는 가구본체의 내측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부의 후크와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되는 원형핀(2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형핀(21)은, 후크와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항상 후크와 걸림유지되는 위치에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설치되며, 상기 자물쇠본체부(10)의 도어측 표면에는 자물쇠케이스(14)를 더 구비하고, 이 자물쇠케이스에 손잡이홈(14c)을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DOOR LOCK APPARATUS FOR A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잠금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시 잠금장치 및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육관이나 목욕탕등에 마련된 라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옷장, 책장, 책상등의 가구에는 키이의 조작으로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잠금장치의 대표적인 종래예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장치는 자물쇠본체부(1)와 자물쇠고정부(2)로 이루어지고, 자물쇠본체부(1)는 키이(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축(3)이 구비된 통상의 자물쇠(4)와, 상기 자물쇠(4)의 회전축(3)에 설치되어 키이 조작에 따라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이체(5)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물쇠고정부(2)는 상기 자물쇠(4)의 걸이체(5)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걸이체(5)와 걸림유지되고, 걸이체(5)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걸이체(5)와 걸림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자물쇠본체부(1)를 도어(A)에 설치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가구본체(B)에 설치되며, 통상 가구본체(B)의 내측벽면에 단턱을 형성하거나, 도 2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구성의 잠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4)의 걸이체(5)가 잠금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이체(5)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되어 도어(A)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A)를 잠그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A)를 닫은 상태에서 키이를 조작하여 자물쇠(4)의 걸이체(5)를 잠금위 치로 전환하게 되면,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체(5)의 끝단이 가구본체의 자물쇠고정부(걸림홈)(2)에 걸림유지됨으로써 도어(A)가 잠기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잠금장치는, 자물쇠(4)의 걸이체(5)가 가구본체(B)의 내측벽면에 형성한 걸림홈(2)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걸이체(5)의 길이가 길어지고, 회전축(3)으로부터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까지의 길이도 길어 잠금구조가 견고하지 못하다. 따라서 걸이체(5)가 걸림홈(2)에 걸림유지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도어(A)를 잡아당기면, 걸이체(5)가 휘어지거나 걸림홈(2)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다 보면 걸이체(5)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A)를 닫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로인해서는 걸이체(5)가 가구본체(B)의 도어틀에 충돌하게 되므로 역시 걸이체(5)의 휨변형등 손상을 초래하고, 가구본체(B)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예는 자물쇠(4)의 걸이체(5)가 소정각도 회전운동하여 잠금위치와 잠금해제위치로 전환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축(3)의 회전운동을 걸이체(5)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걸이체(5)가 출몰되도록 한 방식의 경우에도 걸이체(5)의 길이가 걸림홈(2)에 삽입되어 걸림유지되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므로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예로서 자물쇠본체부(1)를 도어(A)에 설치하고, 자물쇠고정부(2)를 가구본체(B)에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구에 따라 반대로 자물쇠본체부(1)를 가구본체(B)에 설치하고, 자물쇠고정부(2)를 도어(A)에 설치한 타입이 있으며, 이러한 타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잠금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걸이체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닫아도 걸이체가 가구본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잠금장치의 부품 및 가구의 해당 설치부분이 손상될 염려가 없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를 열고 잠그는 조작이 더욱 편리한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키이조작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통상의 자물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잠금위치 및 잠금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이체로 이루어지는 자물쇠본체부와, 상기 걸이체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걸이체를 걸림유지하고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걸림해제하는 자물쇠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자물쇠본체부를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 자물쇠고정부는 가구본체에 설치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체는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회전아암부와, 이 회전아암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에 후크가 형성된 걸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물쇠고정부는 가구본체의 내측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부의 후크와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되는 원형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핀은 하방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원형핀이 항상 걸이부의 후크와 걸림유지되는 위치에 있도록 탄성부재로 탄력설치하며, 자물쇠본체부의 도어측 표면에는 자물쇠케이스를 더 구비함과 동시에, 이 자물쇠케이스에는 손 잡이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종래의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서 자물쇠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구용 잠금장치에서 자물쇠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서 자물쇠고정부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서 자물쇠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도어를 잠그기 전상태이고, (나)는 도어를 잠근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9 (가)의 B-B선 단면도.
도 11 및 도 12(가) 내지 (다)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자물쇠본체부의 걸이체가 잠김위치에 있을 때의 도어 록킹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물쇠본체부 11 : 회전축
12 : 자물쇠 13 : 걸이체
13a : 회전아암부 13b : 걸이부
13c : 후크 14 : 자물쇠케이스
15 : 고정브라켓 16 : 가이드홀더부
17 : 고정편 20 : 자물쇠고정부
21 : 원형핀 21a : 원통부
22 : 케이스 22a : 가이드구멍
23 : 회전판 24 : 고정핀
25 : 토션스프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가구의 도어 및 가구본체에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어(A)에는 자물쇠본체부(10)가 설치되고, 가구본체(B)에는 자물쇠고정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자물쇠본체부(10)는 키이(도시하지 않음) 조작에 따라 소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축(11)을 가지는 통상의 자물쇠(12)와, 상기 회전축(11)에 고정되어 키이 조작에 따라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이체(13)를 구비하며, 또한 자물쇠(12)를 도어(A)의 바깥쪽 및 안쪽에서 지지하기 위한 자물쇠케이스(14) 및 고정브라켓(15)을 구비한다.
자물쇠케이스(14)는 도어(A)와 맞닿는 면을 편평하게하여 대략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형상으로 하되, 아래방향 및 중앙으로 갈수록 폭 및 두께가 커지도록 한 형상이고, 대략 중앙에 자물쇠머리부(12a)가 위치하는 자리홈(14a) 및 이 자리홈(14a)에 연이어 자물쇠몸통부(12b)가 관통하는 조립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물쇠케이스(14)의 하부에는 손잡이홈(14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홈(14c)은 도어(A)를 열 때, 손가락을 넣어 도어(A)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아래끝단부에는 도어(A)측으로 향하는 원형돌출부(14d)를 형성하여 손가락으 로 걸어 당기는 것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피부접촉감각을 좋게 하도록 되어 있다.
자물쇠(12)는 상기 자물쇠케이스(14)의 조립구멍(14b) 및 도어(A)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자물쇠머리부(12a)가 자물쇠케이스(14)의 자리홈(14a)에 위치하고, 자물쇠몸통부(12b) 및 회전축(11)이 도어(A)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자물쇠몸통부(12b)는 도어(A)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5)에 의해 고정지지되어 있다.
고정브라켓(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A)의 내측면에 나사로 고정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을 개방시킨 대략 U자형상의 지지면(15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면(15a)은 자물쇠몸통부(12b)의 바깥면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면(15a)의 일측 직선부에는 자물쇠(12)를 도어(A)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고정수단은 고정브라켓(15)에 형성된 가이드홀더부(16)와, 이 가이드홀더부(16)내에서 자물쇠몸통부(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편(17)과, 상기 가이드홀더부(16)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편(17)에 나사맞춤된 고정나사(18)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물쇠몸통부(12b)의 끝단에는 자물쇠몸통부(12b)의 일측면을 깍아 형성한 걸림턱(12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12c)에 상기 고정편(17)의 일끝단이 걸림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나사(18)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편(17)이 자물쇠몸통부(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18)를 회전시켜 고정편(17)을 도어(A)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자물쇠(12)가 도어(A)내측으로 당겨져 고정되고, 고정나사(18)를 반대로 회전시켜 고정편(17)을 도어(A)의 바깥측으로 이동시키면, 자물쇠(12)의 당김력이 제거되어 자물쇠(12)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걸이체(13)는 자물쇠(12)의 회전축(11)에 나사(19)로 고정되어 키이 조작에 따라 회전축(11)과 함께 소정각도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회전축(11)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회전아암부(13a)와, 이 회전아암부(13a)에 연이어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부 (13b)로 이루어지고, 걸이부(13b)의 끝단에는 후크(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아암부(13a)의 길이는 걸이체(13)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A)를 닫았을 때 적어도 걸이부(13b)가 가구본체(B)의 내측벽면에 닿지 않도록 짧게 형성한다.
자물쇠고정부(20)는 가구본체(B)의 내측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9의 (가)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체(13)의 걸이부(13b)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걸이부(13b)의 후크(13c)와 걸림유지되는 원형핀(21)과, 이 원형핀(21)을 하방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22) 및 이 케이스(22) 내에 설치된 회전판(23)으로 구성된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핀(21)은 걸이부(13b)의 후크(13c)가 걸림유지되는 원통부(21a), 이 원통부(21a)보다 큰직경의 반구형머리부(21b), 원통부(21a)보다 작은 직경의 가이드부(2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22)는 소정높이를 가지는 속이빈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22) 내부 일측에는 고정핀(2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24)의 타단에는 회전판(23)의 일측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23)의 타측에는 원형핀(21)의 가이드부(21c) 끝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케이스(22)에는 고정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구멍(22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구멍(22a)은 원형핀(21)의 원통부(21a) 직경보다 작고 가이드부(21c)의 직경보다는 큰 폭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21c)가 가이드구멍(22a)을 관통하여 회전판(23)에 고정된 구성이다.
또한, 케이스(22)내의 고정핀(24)에는 원형핀(21)이 항상 걸림위치에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5)의 일단은 가이드부(21c)에 걸림유지되고, 다른 일단은 케이스(22)의 단턱(22b)에 걸림유지 된다. 따라서 원형핀(21)에 힘을 가하여 원형핀(21)을 걸림위치로부터 하강시키면 토션스프링(25)이 압축되고, 원형핀(21)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토션스프링(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핀(21)이 자동적으로 걸림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구용 도어(A)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12)의 걸이체(13)가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어(A)를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A)를 잠그고자하는 경우는, 키이의 조작으로 자물쇠(12)의 회전축(11)을 회전시켜 걸이체(13)의 걸이부(13b)를 잠금해제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도 9의 (나)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3b)의 후크(13c)가 원형핀(21)의 원통부(21a)에 걸림유지되므로 도어(A)가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잠금구조는, 원형핀(21)의 원통부(21a)에 걸이체(13)의 후크(13c)가 걸리도록 함과 동시에, 걸이체(13)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힘이 작용하는 걸이부(13b)까지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잠김구조가 매우 견고하다. 따라서 도어(A)가 잠긴상태에서 무리하게 열려고 도어(A)를 잡아 당겨도 걸이체(13)가 쉽게 변형되거나 가구의 설치부분이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체(13)의 걸이부(13b)가 잠금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가구본체(B)의 내측면에 닿지 않는 것이므로, 이 상태에서 도어(A)를 닫아도 걸이부(13b)가 가구본체(B)의 도어틀에 충돌하는 일이 없으며, 이로써 가구본체(B)의 손상 및 걸이체(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 (나) 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체(13)의 걸이부 (13b)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A)를 닫게 되면, 후크(13c)는 화살표 a방향으로 진행하므로, 후크(13c)의 곡면에 의해 원형핀(21)은 가이드구멍(22a)을 따라 화살표 b방향으로 밀려 하강하게 되고, 이때 토션스프링(25)은 압축되어진다.
따라서 후크(13b)가 원형핀(21)을 지나게 됨과 동시에, 원형핀(21)은 압축되어 있던 토션스프링(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걸림위치로 원위치되는 것이므로 후크(13b)는 원형핀(21)에 걸림유지되어 도어(A)가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도어(A)를 닫은 상태에서 키이를 조작하여 도어(A)를 잠그는 것 뿐만아니라, 도어(A)를 닫기 전에 키이를 조작하여 걸이체 (13)를 잠금위치로 전환한 후에 도어(A)를 닫아도 도어(A)가 잠기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자물쇠본체부가 도어에 설치되고, 자물쇠고정부가 가구본체에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자물쇠본체부를 가구본체측에 설치하고, 자물쇠고정부를 도어측에 설치하는 타입의 가구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잠금구조가 걸이체의 후크와 원형핀의 걸림유지로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잠금구조에 의해 힘을 가장 크게 받는 걸이체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어 잠금구조가 더욱 견고해지며, 이로써 걸이체의 변형, 가구의 설치부분 파손등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걸이체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걸이체가 가구의 도어틀에 닿지 않게 되므로 걸이체가 도어틀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먼저 키이를 조작하여 걸이체를 잠금위치에 위치시킨 후 도어를 닫아도 도어가 잠기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키이 조작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통상의 자물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잠금위치 및 잠금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걸이체로 이루어지는 자물쇠본체부와, 상기 걸이체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걸이체를 걸림유지하고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걸림해제하는 자물쇠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자물쇠본체부를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 자물쇠고정부는 가구본체에 설치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체(13)는 회전축(11)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회전아암부(13a)와, 이 회전아암부(13a)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에 후크(13c)가 형성된 걸이부(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물쇠고정부(20)는 가구본체의 내측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체(13)의 후크(13c)와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되는 원형핀(2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핀(21)은, 후크(13c)와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항상 후크(13c)와 걸림유지되는 위치에 있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본체부(10)의 도어측 표면에는 자물쇠케이스 (14)를 더 구비하고, 이 자물쇠케이스(14)의 하부에 손잡이홈(14c)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KR2019990022341U 1999-10-18 1999-10-18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KR200173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41U KR200173791Y1 (ko) 1999-10-18 1999-10-18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41U KR200173791Y1 (ko) 1999-10-18 1999-10-18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791Y1 true KR200173791Y1 (ko) 2000-03-15

Family

ID=1959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341U KR200173791Y1 (ko) 1999-10-18 1999-10-18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7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43B1 (ko) 2020-05-27 2020-08-24 주식회사 윈텍 서랍장용 지문인식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43B1 (ko) 2020-05-27 2020-08-24 주식회사 윈텍 서랍장용 지문인식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1313B1 (en) Slam latch with opposing slides
US6427501B2 (en) Swivelling lever control that can be locked after being swivelled inwards and for closing switchboard cabinet doors or the like
US6135512A (en) Automatic door latch
JP2002507680A (ja) 薄板食器棚の摺動ドア用のばね負荷留め金
JP2010174622A (ja) ロック
US7249475B2 (en) Padlock
US5157953A (en) Push and pull type cylinder lock
EP3707327B1 (en) Lever compression latch
CA2354822C (en)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
US6244636B1 (en) Door latch
US5004278A (en) Door lock having security device
KR200173791Y1 (ko) 가구용 도어 잠금장치
WO2009054882A1 (en) Magnetic latch assembly
KR101691323B1 (ko) 매립형 도어록
CN216866294U (zh) 一种自动门锁
KR100407480B1 (ko) 금고문 개폐장치
KR102147347B1 (ko) 수납장용 지문인식 도어락
JP3753705B2 (ja) フランス落とし
WO2022195359A1 (en) A lock assembly for a sliding door
KR950001052Y1 (ko) 전자식 자물쇠의 개폐장치
KR200375876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0113139Y1 (ko) 자동판매기의 도어잠금장치
JP3035007U (ja) 家具の扉ラッチ具
JP3131400B2 (ja) 引戸扉等の錠
JP3264476B2 (ja) 扉の自然開放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