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443Y1 -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443Y1
KR200173443Y1 KR2019970014715U KR19970014715U KR200173443Y1 KR 200173443 Y1 KR200173443 Y1 KR 200173443Y1 KR 2019970014715 U KR2019970014715 U KR 2019970014715U KR 19970014715 U KR19970014715 U KR 19970014715U KR 200173443 Y1 KR200173443 Y1 KR 200173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denser
high pressure
microwave oven
cover
coo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277U (ko
Inventor
임규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4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4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2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443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 콘덴서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전자 렌지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커버(56)로 감싸여짐과 아울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함으로써 커버(56) 저면에 설치된 고압 콘덴서(53)등을 냉각하도록 설치된 냉각팬(55)을 포함하는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56)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본 고안은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렌지는 극초단파(2450㎒)를 음식물(유전체)에 투사하여 음식물의 분자가 진동하도록 하여 음식물 자체에서 발열함과 아울러 조리되도록 유전가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 렌지는 내부에 가열실을 이룰 뿐만 아니라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캐비티와, 상기한 캐비티의 외부를 감싸는 아우터 패널로 외관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아우터 패널과 캐비티에 의해 기계실이 형성되는 바, 이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50)에 부착된 마그네트론(51)과, 상기한 마그네트론(5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고압 트랜스(52) 및 고압 콘덴서(53)와, 상기한 마그네트론(51)을 냉각시키도록 백 플레이트(54)에 설치된 냉각팬(55)으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냉각팬(55)은 박스 형상의 커버(56)에 내재되어 있고, 상기한 고압 콘덴서(53)는 냉각팬(55)의 커버(56) 저부에 나사(57)로 고정되는 바, 상기한 고압 콘덴서(53)는 매우 높은 온도로 발열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냉각팬(55)에 의해 냉각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56)의 저부에 고압 콘덴서(53)를 위치시켜 냉각하게 되면, 상기한 냉각팬(55)으로부터의 바람이 고압 콘덴서(53)로 직접 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고압 콘덴서(53)의 발열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고압 콘덴서(53)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압 콘덴서 주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압 콘덴서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전자 렌지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커버로 감싸여짐과 아울러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함으로써 커버 저면에 설치된 고압 콘덴서등을 냉각하도록 설치된 냉각팬을 포함하는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제2도는 일반적인 전자 렌지에서 아우터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기공 53 : 고압 콘덴서
55 : 냉각팬 56 : 커버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냉각팬(55)의 커버(56) 저면에,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냉각팬(55)의 동작 시 발생되는 바람이 종래에는 커버(56)의 전면으로 방출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통기공(1)을 통해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면서 냉각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전자 렌지의 조립 시, 고압 콘덴서(53)를 통기공(1)이 형성된 커버(56)의 저부에 부착시키게 된다.
냉각팬(55)의 저면에 고압 콘덴서(53)가 부착된 전자 렌지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한 냉각팬(55)이 회전하게 된다.
냉각팬(55)이 회전하게 되면, 외부에서 흡입된 바람이 커버(56)의 전면으로 방출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56) 내부로 통기공(1)을 통해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고압 콘덴서(53)의 주변의 공기가 통기공(1)을 통해 흡입되면, 상기한 고압 콘덴서(53)의 주변의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상기한 고압 콘데서(53)가 원활하게 냉각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상기한 냉각팬(55)에서 방출된 바람이 고압 트랜스(54)와 마그네트론(51)을 냉각시킨 후 순환되어 고압 콘덴서(53)에 도달되었지만,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기계실 내부로 송풍됨과 동시에,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고압 콘덴서(53)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통기공(1)의 직경 및 수는 커버(56)의 저면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과 통기공(1)을 통해 흡입되는 고압 콘덴서(53)의 주변 공기의 양이 적절하게 분배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냉각팬의 외부를 차폐하고 있는 커버의 저면에 고압콘덴서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 콘덴서 주변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압 콘덴서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커버(56)로 감싸여짐과 아울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함으로써 커버(56) 저면에 설치된 고압 콘덴서(53)등을 냉각하도록 설치된 냉각팬(55)을 포함하는 전자 렌지의 고아 콘덴서 냉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56)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KR2019970014715U 1997-06-18 1997-06-18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KR200173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715U KR200173443Y1 (ko) 1997-06-18 1997-06-18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715U KR200173443Y1 (ko) 1997-06-18 1997-06-18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77U KR19990001277U (ko) 1999-01-15
KR200173443Y1 true KR200173443Y1 (ko) 2000-03-02

Family

ID=1950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715U KR200173443Y1 (ko) 1997-06-18 1997-06-18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4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277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058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with air curtain guide
JP3750060B2 (ja)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KR100301904B1 (ko) 할로겐램프를구비한전자레인지의냉각장치
KR200173443Y1 (ko) 전자 렌지의 고압 콘덴서 냉각 구조
KR20010064859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180079870A (ko) 조리기기
KR200175396Y1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공기흐름 개선구조
KR100402496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의 흡기 구조
JP2001208356A (ja) 電子レンジ
KR100402584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30073481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냉각장치
KR20020041252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복사히터 냉각구조
KR200189009Y1 (ko)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기장치
KR100402609B1 (ko) 전자레인지의 토스터부 방열장치
KR0130653Y1 (ko) 열풍순환식 전기오븐
JPS623557B2 (ko)
KR100399319B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전자레인지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62041Y1 (ko) 전자렌지의 전장품실의 흡입공 구조
KR100399320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KR1016273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10057082A (ko)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모터 냉각장치
KR20050009547A (ko) 대류형 전자오븐레인지의 히터 구조
KR19990023521U (ko) 전자렌지의 흡기장치
KR20030089348A (ko) 빌트인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