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395Y1 -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395Y1
KR200173395Y1 KR2019970027487U KR19970027487U KR200173395Y1 KR 200173395 Y1 KR200173395 Y1 KR 200173395Y1 KR 2019970027487 U KR2019970027487 U KR 2019970027487U KR 19970027487 U KR19970027487 U KR 19970027487U KR 200173395 Y1 KR200173395 Y1 KR 200173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shadow mask
cathode ray
ray tube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379U (ko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70027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3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와 이를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과의 조립체로서, 섀도우 마스크는 마스크 프레임과의 결합시, 그 스컷트부에 있어 그 코너부 부위는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 마스크 프레임의 장단변부에 접촉되도록 하고, 코너부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마스크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이 마스크 프레임의 장단변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섀도우 마스크를 마스크 프레임에 용접시켜 고정할 때에 그 작업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조립 후에 발생되는 분리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섀도우 마스크의 도우밍 억제에도 효과를 가져 음극선관 품위 향상에 이점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랜딩되어 발광하는 것으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 바, 이 때 음극선관은 화상의 칼라화를 위해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그 표면에 수많은 전자빔 통과공(aperture)을 형성하여 음극선관의 패널 내측으로 장착되는 부품으로서, 이는 통상 마스크 프레임과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게 된다.
즉, 음극선관에서 섀도우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과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되며, 마스크 프레임에 부착되는 스프링이 패널 내측 둘레면에 고정된 스터드 핀에 연결됨에 따라 패널 내측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종래에 상기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이 용접 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될 때, 그 결합 형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1)가 프레임(3)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그 스컷트부(1a)를 프레임(3)의 스컷트부(3a) 내측면에 부착시켜 용접되는 이른바, 미파(MIFA; Mask Inside Frame Assembly) 방식을 취하거나, 혹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파(MOFA; Mask Outside Assembly) 방식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모파 형식은,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마스크 프레임(3)이 섀도우 마스크(1)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그 스컷트부(3a)을 상기 섀도우 마스크(1)의 스컷트부(3a) 내측면에 부착시켜 용접되는 형태를 말한다.
한편,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어 음극선관에 적용되고 나면, 음극선관의 작용시, 상기 섀도우 마스크(1)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빔에 의한 열적 변형으로 도우밍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섀도우 마스크(1)의 도우밍 현상을 억제하여 전자빔의 미스 랜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섀도우 마스크(1)의 도우밍시, 상기 프레임(3)도 열팽창되고 여기에, 상기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바이메탈의 작용으로 상기 섀도우 마스크(1)의 도우밍량을 보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도, 상기한 섀도우 마스크의 도우밍을 보상하기 위해, 음극선관의 품종에 따라 상기한 미파 또는 모파 형식으로 고려되어 조립되고 있는데, 이에는 저마다의 장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즉, 모파 형식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섀도우 마스크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이 섀도우 마스크를 프레임에 용접시킬 때에 그 작업성이 유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용접 후에 그 용접점이 분리될 우려가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모파 형식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음극선관의 작용시, 초기 열적 변형에 의한 도우밍 현상이 심한 단점이 있어, 대형 음극선관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불리한 점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미파 형식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한 모파 형식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비해, 도우밍 특성이 좋은 유리한 점은 있으나, 섀도우 마스크가 프레임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관계를 이를 상호 용접시킬 때에, 그 작업성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섀도우 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면서도 도우밍 현상은 억제하도록 하여 음극선관의 품위 향상에 이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장단변부의 소정의 위치에 섀도우 마스크와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마스크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스컷트부가 코너부 부위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이 코너부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단변부에 접촉되어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제안한다.
상기에서 결합부는, 본 고안에 따라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각 장단변부 중심로부터 좌,우 ⅔ 지점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기 장단변부의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을 감소시켜 형성되는 노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종래 방식에 의해 결합된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20)와 마스크 프레임(22)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섀도우 마스크(20)의 스컷트부(20a)와, 마스크 프레임(22)의 장단변부(22a,22b)가 상호 접촉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체를 구성하는 섀도우 마스크(20)와 마스크 프레임(22)의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섀도우 마스크(20)는, 통상의 구조와 같이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는 유공부(20b)의 사방 둘레부로 무공부(20c)를 형성하고, 이 무공부(20c)의 가장자리는 절곡하여 상기한 스컷트부(20a)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은, 개구부(22c)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이트(22d)의 사방 가장자리로부터 상기한 장단변부(22a,22b)를 절곡 형성하여 그 외형을 이루면서, 상기 장단변부(22a,22b)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2e)를 형성해 놓고 있다.
상기 결합부(22e)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20)가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에 결합될 때, 상기 스컷트부(2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로서, 본 실시예에서 이의 형상은 상기 장단변부(22a,22b)의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작아지는 노치로 이루게 된다.
또한, 그 형성 부위는 도 3를 통해 더욱 알 수 있듯이, 상기 장단변부(22a,22b)의 중심부로부터 좌,우 ⅔ 인 지점에 형성되는데, 이는 통상의 섀도우 마스크에서 도우밍이 가장 잘 일어나는 부위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부(22e)가 상기 장단변부(22a,22b)에 형성될 때, 이 장단변부(22a,22b)의 일측변은 결합부(22e)의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코너부측의 일측변을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변이 유지하는 경사 각도(α)는 2°∼3°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20)와 마스크 프레임(22)은, 상기 섀도우 마스크(20)가 그 스컷트부(20a)를 상기 결합부(22e)에 삽입시켜 상호 결합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섀도우 마스크(20)는 상기 스컷트부(22a)에 있어 그 사각 코너부측 부위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코너부측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스컷트부(22a) 부위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장단변부(22a,22b)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하게 된다. (도 2 및 도 3 참조)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섀도우 마스크(20)와 마스크 프레임(22)이 상호 결합되면, 상기 스컷트부(20a)와 장단변부(22a,22b)가 맞닿는 다수의 부위가 용접됨에 따라 이에 이들은 상호 고정된 상태로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20)가 그 스컷트부(20a)의 대부분을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외측으로 배치하고 있어, 종래의 모파 방식의 특징인 용접 작업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지면서도 스컷트부(20a)의 사각 코너부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22)의 내측으로 배치함에 따라 종래의 모파 방식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서 일어나는 분리를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섀도우 마스크의 고도우밍 부위인 즉, 상기 장단변부(22a,22b)의 중심로부터 좌,우 ⅔ 인 지점에서 상기 스컷트부(20a)를 상기 마스크 프레임(22) 내측으로 삽입하고 있어, 상기 섀도우 마스크(20)의 도우밍 억제에도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종래의 모파 방식과 미파 방식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의 조립체 특성을 살려 구성되므로, 조립 작업성의 우수함은 물론, 조립된 이후에 섀도우 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이 쉽게 분리되는 것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섀도우 마스크의 도우밍 억제에도 효과를 가져 음극선관의 적용시, 섀도우 마스크의 도우밍으로 인한 전자빔의 미스랜딩으로 음극선관의 색순도 특성이 저하됨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5)

  1. 장단변부의 소정의 위치에 섀도우 마스크와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마스크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스컷트부가 코너부 부위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이 코너부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단변부에 접촉되어 상기 마스크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각 장단변부 중심로부터 좌,우 ⅔ 지점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장단변부의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을 감소시켜 형성되는 노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형성되는 상기 장단변부 부위는 이 노치를 중심으로 그 한쪽변이 수직 중심선상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2°∼3°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19970027487U 1997-10-01 1997-10-01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73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487U KR200173395Y1 (ko) 1997-10-01 1997-10-01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487U KR200173395Y1 (ko) 1997-10-01 1997-10-01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79U KR19990014379U (ko) 1999-05-06
KR200173395Y1 true KR200173395Y1 (ko) 2000-03-02

Family

ID=1951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487U KR200173395Y1 (ko) 1997-10-01 1997-10-01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3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79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63501B2 (ko)
KR200173395Y1 (ko)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73396Y1 (ko)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EP0187026B1 (en) Color picture tube
JPS5857858B2 (ja) カラ−受像管
EP0736219B1 (en) Shield-anode coating contactor and crt incorporating same
JP2000260343A (ja) カラー陰極線管
US4700104A (en) Color television shadow mask assembly
US6130501A (en) Shadow mask mounting arrangement for color CRT
US6873096B2 (en) Mask support blade structure having an insert
KR100306999B1 (ko) 새도우 마스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KR200164394Y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US20030001483A1 (en) Mask-fram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200171940Y1 (ko) 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
KR200200881Y1 (ko) 칼라음극선관의새도우마스크
KR100291794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0142031Y1 (ko) 음극선관용패널과 프레임 결합구조
KR20000054916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KR200147974Y1 (ko) 마스크 프레임 지지구조
KR0127860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비틀림방지장치
KR200159887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200262389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JPH0935654A (ja) シャドーマスク支持フレーム
KR20000010583U (ko)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
KR20010094307A (ko) 음극선관에 있어서 섀도우 마스크 지지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