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335Y1 -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 Google Patents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335Y1
KR200173335Y1 KR2019990022242U KR19990022242U KR200173335Y1 KR 200173335 Y1 KR200173335 Y1 KR 200173335Y1 KR 2019990022242 U KR2019990022242 U KR 2019990022242U KR 19990022242 U KR19990022242 U KR 19990022242U KR 200173335 Y1 KR200173335 Y1 KR 200173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e
handle
dead bolt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파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파트
Priority to KR2019990022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실내에서 사용하는 여닫이 문손잡이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의 내외측에 마련되는 손잡이 고정구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플라스틱제로 되는 간격유지구를 마련하여 문짝에 손잡이를 고정시 연결핀의 파손이나 문짝의 파손됨이 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문짝(1)에 소정크기의 설치구멍(2)을 뚫고 문짝 측면에 설치구멍(2)과 관통되는 구멍(21)을 마련하여 데더볼트(6)를 내입시키고 상기 설치구멍(2) 양측으로 손잡이 고정구(4,5)를 결합하여 회동축(8)으로 데더볼트(6)를 조작하는 통상의 문손잡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측 고정구(4,5) 사이에 간격유지구(3)를 위치시키되, 간격유지구(3)는 일측 고정구(4)에 내입될 수 있도록 원판(31)을 마련하고 원판(31) 상하측 전방에 문짝(1)에 형성되는 설치구멍(2)과 동일한 외경으로 문짝(2) 두께만큼 돌출부(32)를 형성하며, 돌출부(32) 내측에 공간부(33)를 형성하여 데더볼트(6)를 내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간부(33) 전방으로는 데더볼트 고정핀(61)이 끼움되는 고정공(34)을 마련하며 공간부(33) 양측의 돌출부(32)상에 고정구(4)에 나사조립되는 연결봉(7)의 내입공(35)을 관통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A maintaining interval device for a door knob}
본 고안은 주로 실내에서 사용하는 여닫이문 손잡이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의 내외측에 마련되는 손잡이 고정구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플라스틱제로 되는 간격유지구를 마련하여 문짝에 손잡이를 고정시 연결핀의 파손이나 문짝의 파손됨이 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에는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문손잡이를 만들어 결합함으로써 문을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실내에 적용되는 여닫이문들은 대부분이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상기한 문의 측벽은 대부분이 합판을 이용하여 만들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재로 된 문에 손잡이를 달기 위해서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00)에 소정의 크기로 구멍(101)을 뚫고 문짝(100)의 측벽에 데더볼트 구멍(102)을 형성하며 구멍(101)을 통하여 양측에 손잡이(110)를 위치시켜 고정구(111)로 고정하고 양측 손잡이(110) 사이에는 측벽에 형성되는 데더볼트 구멍(102)을 통하여 내입되는 데더볼트(1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회동축(130)으로 연결하여 상호 회동으로 데더볼트(120)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양측 고정구(111)는 합판으로 구성되는 문짝(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호 연결봉(140)과 피스(150) 등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데 양측 고정구(111)를 조립시 구멍(101)의 유격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가 피스(150)를 과도하게 조여 연결봉(140)이 파손되거나 문짝(100)에 흠집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안출한 것으로, 양측 고정구를 조립시 양측 고정구 사이의 문짝에 형성되는 구멍에 맞는 플라스틱제 간격유지구을 위치시켜 설치과정에서 간격조절이나 유격조절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간격유지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문손잡이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문손잡이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문손잡이 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문손잡이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 : 문짝 2 : 설치구멍
3 : 간격유지구 31 : 원판
32 : 돌출부 33 : 공간부
34 : 고정공 35 : 내입공
4,5 : 고정구 6 : 데더볼트
7 : 연결봉 8 : 회동축
9 : 피스 10 : 문손잡이
도 1은 본 고안으로 구성되는 문손잡이 조립상태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간격유지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은 문짝(1)에 소정크기의 설치구멍(2)을 뚫고 이에 맞는 외경으로 되는 플라스틱제 간격유지구(3)를 끼움하고 각격유지구(3) 양측으로 손잡이 고정구(4,5)를 조립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구(3)는 고정구(4)에 내입되는 원판(31)을 마련하고 원판(31) 일측으로 문짝(1)에 형성되는 설치구멍(2)과 동일한 외경으로 문짝(1) 두께만큼 돌출부(32)를 형성하고 내측에 공간부(33)를 형성하여 데더볼트(6)를 설치토록 하고 공간부(33) 전방으로 데더볼트(6) 고정핀(61)이 끼움되는 고정공(34)을 마련하고 공간부(33) 양측의 돌출부(32)상에 고정구(4,5)에 나사조립되는 연결봉(7)의 내입공(35)이 관통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은 주로 실내외에 적용되는 여닫이문의 손잡이를 조립시 사용하여 조립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으로,
즉, 본 고안은 문짝(1)에 소정크기의 설치구멍(2)을 형성하고 문짝 측면에 상기 설치구멍(2)과 관통되는 구멍(21)을 마련하여 문손잡이(10)를 설치함에 있어서, 본 고안 간격유지구(3)를 설치구멍(2)에 긴밀하게 끼움하고 다음으로 연결봉(7)이 결합된 일측 고정구(4)를 간격유지구(3)의 내입공(35)으로 내입시키고 문짝(1) 측면에 마련되는 구멍(21)을 통하여 데더볼트(6)를 내입시킨 후 회동축(8)을 데더볼트(6)에 끼움함과 동시에 고정구(4)에 삽입고정하고 데더볼트(6)상에 있는 고정핀(61)을 고정공(34)에 끼움하고 최종적으로 타측 고정구(5)를 위치시켜 연결봉(7)에 피스(9)를 체결함으로써 본 고안을 이용하는 문손잡이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문짝(1)에 긴밀하게 끼움되어 문손잡이(1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각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구(4,5)를 조립시에 내입공(35)이 연결봉(7)을 안내함과 동시에 결합시에 연결봉(7)이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양측 고정구(4,5)가 문짝(1) 외측에 긴밀하게 고정되면서도 문짝(1)에 손상없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양측 고정구를 조립시 양측 고정구 사이의 문짝에 형성되는 결합구멍에 맞는 플라스틱제 간격유지구을 위치시켜 설치과정에서 각 설치부재의 간격조절이나 유격조절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에 이를 보급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할 경우 문짝에 손잡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문짝(1)에 소정크기의 설치구멍(2)을 뚫고 문짝 측면에 설치구멍(2)과 관통되는 구멍(21)을 마련하여 데더볼트(6)를 내입시키고 상기 설치구멍(2) 양측으로 손잡이 고정구(4,5)를 결합하여 회동축(8)으로 데더볼트(6)를 조작하는 통상의 문손잡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측 고정구(4,5) 사이에 간격유지구(3)를 위치시키되, 간격유지구(3)는 일측 고정구(4)에 내입될 수 있도록 원판(31)을 마련하고 원판(31) 상하측 전방에 문짝(1)에 형성되는 설치구멍(2)과 동일한 외경으로 문짝(2) 두께만큼 돌출부(32)를 형성하며, 돌출부(32) 내측에 공간부(33)를 형성하여 데더볼트(6)를 내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간부(33) 전방으로는 데더볼트 고정핀(61)이 끼움되는 고정공(34)을 마련하며 공간부(33) 양측의 돌출부(32)상에 고정구(4)에 나사조립되는 연결봉(7)의 내입공(35)을 관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KR2019990022242U 1999-10-15 1999-10-15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KR200173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242U KR200173335Y1 (ko) 1999-10-15 1999-10-15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242U KR200173335Y1 (ko) 1999-10-15 1999-10-15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335Y1 true KR200173335Y1 (ko) 2000-03-15

Family

ID=1959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242U KR200173335Y1 (ko) 1999-10-15 1999-10-15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3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3458A (en) Shipping door lock
US5468109A (en) Quick removable fasteners in particular for furniture
CA2213947C (en) Two-way dual action clamp
BRPI0609538A2 (pt) prendedor para conectar componentes e conjuntos que concretizam o mesmo
CA2420718A1 (en) Wall mounted toggle hook
SK117296A3 (en) Screw fastener
JP6806303B2 (ja) 特に家具の側壁にシェルフを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
RU2396395C2 (ru) Держатель изоля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4854549A (en) Newel post fastener and rail attachment
US5787639A (en) Door and frame mounting enabling door hanger bolt assembly
KR200173335Y1 (ko) 문손잡이 고정구의 간격유지구
US5725264A (en) Doorknob attachment
FI93047B (fi) Säädettävä kiinnitin
KR20230171517A (ko) 스트랩 분리형 건식 벽체용 앵커
KR200328434Y1 (ko) 문짝개폐용 상측힌지
KR200348996Y1 (ko) 가구 조립용 앵커
US10961757B2 (en) Device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pivot pin support for doors and related methods
KR101184818B1 (ko)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US3049747A (en) Hinge
BG534Y1 (bg) Свързваща част за разполагане в дървени или метални царги за прозорци или врати
KR200151089Y1 (ko) 목재용 창문
CN216811279U (zh) 一种安装于门扇上的锁具
KR930008280Y1 (ko) 냉장고의 중간 힌지 부라켓트 설치구조
KR200205929Y1 (ko) 건구용 경첩
DE202004007226U1 (de) 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Rahm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