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328Y1 -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 - Google Patents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328Y1
KR200173328Y1 KR2019990021930U KR19990021930U KR200173328Y1 KR 200173328 Y1 KR200173328 Y1 KR 200173328Y1 KR 2019990021930 U KR2019990021930 U KR 2019990021930U KR 19990021930 U KR19990021930 U KR 19990021930U KR 200173328 Y1 KR200173328 Y1 KR 200173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curtain
cotton
prosthetic member
pros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순
Original Assignee
임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순 filed Critical 임경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00Pelmets or the like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부드럽고 작업성이 좋으며, 재봉질로 다양한 무늬를 삽입할 수 있는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는 딱딱한 부직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꾸겨지는 경우 구겨진 흔적이 남게 되고, 세탁이 곤란함과 더불어, 무늬를 주기 위해서는 장식용 천에 무늬를 넣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장식용 천, 보형부재 및 상기 보형부재의 이면 상측에 고정되는 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커텐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텐용 테코레이션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형부재는 상하 두장의 직물과, 상기 상하 직물 사이에 소정 두께만큼 충진되는 솜과, 상기 솜이 충진된 상태에서 다양한 모양이 나타나도록, 상기의 상하 직물과 솜을 일체로 재봉하고, 상기 상하 직물 중 하측 직물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였기 때문에, 상기의 재봉선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고, 구겨지더라도 구겨진 흔적이 남지 않으며, 세탁이 가능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를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A back member for curtain}
본 고안은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부드럽고 작업성이 좋으며, 재봉질로 다양한 무늬를 삽입할 수 있는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는 부직포(10)과, 상기 부직포(10)의 이면에 칠해진 접착제(15)와, 상기 접착제(15)에 부착되는 보호시트(2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부직포(10)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고, 장식용 천(도시 생략)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이면에 접착제(15)가 칠해져 있으며, 상기 접착제(15)의 접착기능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보호시트(20)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에서 부직포는 유연성이 부족하여 딱닥하기 때문에, 꾸겨지는 경우 꾸겨진 선들이 남아 장식용 천을 부착한 경우, 그 꾸겨진 선들이 보이게 되고, 세탁이 곤란함과 더불어, 무늬를 주기 위해서는 장식용 천에 무늬를 넣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연성이 좋아 작업성이 좋고, 세탁이 가능하며, 다양한 무늬의 삽입이 자유로운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서, 장식용 천, 보형부재 및 상기 보형부재의 이면 상측에 고정되는 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커텐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텐용 테코레이션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형부재는 상하 두장의 직물과, 상기 상하 직물 사이에 소정 두께만큼 충진되는 솜과, 상기 솜이 충진된 상태에서 다양한 모양이 나타나도록, 상기의 상하 직물과 솜을 일체로 재봉하고, 상기 상하 직물 중 하측 직물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가 제시된다.
도 1은 종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면 천 150 : 솜
200 : 접착용 천 250 : 보호시트
300 : 무늬선 350 : 탈착부재
400 : 장식용 천 450 : 테두리 부재
500 : 커텐 550 : 창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는 이면 천(100)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솜(150)과, 접착제가 일측에 칠해져 있는 접착용 천(200)과, 상기 접착용 천(200)에 부착되는 보호시트(2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솜이 충진된 상태에서 다양한 모양이 나타나도록, 상기의 상하 직물 즉, 이면 천(100) 및 접착용 천(200)과 솜을 일체로 하기 위해 재봉이 이루어진다.
이어, 첨부된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면 천(100)의 상측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솜(150)이 배치되고, 상기 솜(150)의 상측에는 접착제가 칠해져 있는 접착용 천(200)이 배치되며, 상기 접착용 천(200)의 상측에는 보호시트(250)이 부착되어, 상기 접착용 천(200)에 칠해져 있는 접착제의 접착기능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면 천(10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반면, 두께는 상당히 얇고, 유연성이 좋으며, 상기 접착용 천(200)은 이면 천(100)과 동일한 크기를 갖으며, 그 일측에는 접착제가 칠해져 있기 때문에, 타측에 접착제가 스며나와, 상기 이면 천(100) 및 접착용 천(200) 사이에 소정 두께만큼 충진되는 솜(150)과 접착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이면 천(100) 및 접착용 천(200) 사이에 솜(150)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솜이 갖는 탄력성과 유연성을 최대한 살려, 구겨짐에 의한 구김 흔적을 방지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 직물 즉, 상기 이면 천(100) 및 접착용 천(200)과 그 사이에 솜(150)이 소정 두께만큼 충진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재봉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의 무늬가 상하 좌우 연속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점이며, 도면부호(300)은 그 재봉선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상하 좌우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재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상하 직물(100, 200) 사이에는 솜(150)이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선(300)으로 둘러싸인 부분들은 상대적으로 부풀 상태가 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상하 좌우에 연속된 상태로 다수의 굴곡(본 실시예에서는 사각모양)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굴곡이 형성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장식용 천이 상기 접착용 천(200)에 접착되며, 그 조립과정은 첨부된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조립과정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조립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c는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조립상태의 정면도이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상하 직물 즉, 상기 이면 천(100) 과 접착용 천(200)의 사이에 솜(150)이 충진됨과 더불어, 상기 접착용 천(200)에 보호시트(250)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시트(25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다.
그 후, 상기 접착용 천(200)의 상면에 장식용 천(400)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되고, 탈착부재(350)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면 천(100)의 상단 일측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탈착부재(350)이 부착된 후, 상기 이면 천(100)의 네 면에 테부리 부재(450)이 둘러싸지게 되며,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재봉이 이루어진다(재봉선 도시 생략).
마찬가지로, 상기 탈착부재(350)이 상기 이면 천(100)의 상단 일측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일정한 간격을 갖는 상태로 재봉이 이루어진다(재봉선 생략).
이와 같이 하여, 이면천(100), 솜(150), 접착용 천(200), 장식용 천(400) 및 탈착부재(350)의 조립이 완료되며, 도 4b의 배면도 및 도 4c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선(300)에 의해 만들어진 사각형의 무늬들이 상하 좌우방향에 걸쳐 연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어,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부재의 보형부재는 예를들면, 창문 상단의 설치기구(도시 생략)에 커텐(5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텐(500)의 상단 부분에 장식용 천(400)이 정면을 향하도록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커텐(500)에 의한 미각적 효과외에 상기 장식용 천(400)에 나타나는 사각 모양의 무늬로 인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텐용 데코레이션부재의 보형부재는 부드러운 재질의 이면 천(100) 및 솜(150)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좋아 작업성이 향상되고, 세탁이 가능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식용 천(550)까지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접혀지거나 구겨진다고 해도 그 흔적이 남지 않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이면 천(100) 및 접착용 천(200)의 사이에 충진되는 재료로서 솜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력적이고 유연성이 강한 재질, 예를들면 합성섬유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식용 천, 보형부재 및 상기 보형부재의 이면 상측에 고정되는 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커텐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텐용 테코레이션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형부재는 상하 두장의 직물과, 상기 상하 직물 사이에 소정 두께만큼 충진되는 솜과, 상기 솜이 충진된 상태에서 다양한 모양이 나타나도록, 상기의 상하 직물과 솜을 일체로 재봉하고, 상기 상하 직물 중 하측 직물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의 재봉선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고, 부드럽고 유연성이 좋은 상하 직물 및 탄력적인 솜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구겨지더라도 구김 흔적이 남지 않으며, 세탁이 가능하여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장식용 천, 보형부재 및 상기 보형부재의 이면 상측에 고정되는 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커텐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텐용 테코레이션부재에 있어서,
    상기 보형부재는 상하 두장의 직물과,
    상기 상하 직물 사이에 소정 두께만큼 충진되는 솜과,
    상기 솜이 충진된 상태에서 다양한 모양이 나타나도록, 상기의 상하 직물과 솜을 일체로 재봉하고,
    상기 상하 직물 중 하측 직물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용 데코레이션부재의 보형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으로 나타나는 모양은 사각형이고, 상기 사각형이 상하 좌우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용 데코레이션부재의 보형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으로 나타나는 모양은 원이고, 상기 원이 상하 좌우로 연속적으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용 데코레이션부재의 보형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으로 나타나는 모양은 꽃 또는 화초무늬이고, 상기 꽃 또는 화초무늬가 상하 좌우로 다수 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용 데코레이션부재의 보형부재.
KR2019990021930U 1999-01-26 1999-10-12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 KR2001733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76U KR19990014354U (ko) 1999-01-26 1999-01-26 커텐용데코레이션보형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76U Division KR19990014354U (ko) 1999-01-26 1999-01-26 커텐용데코레이션보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328Y1 true KR200173328Y1 (ko) 2000-03-15

Family

ID=195713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76U KR19990014354U (ko) 1999-01-26 1999-01-26 커텐용데코레이션보형부재
KR2019990021930U KR200173328Y1 (ko) 1999-01-26 1999-10-12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76U KR19990014354U (ko) 1999-01-26 1999-01-26 커텐용데코레이션보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14354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54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1012233A (es) Metodo de decoracion y articulo.
KR200429667Y1 (ko) 군복의 부착물 부착장치
US6106022A (en) System for decorating textile or paper material
KR200173328Y1 (ko) 커텐용 데코레이션 보형부재
US3221345A (en) Caps for nurses or the like
KR200389044Y1 (ko) 젤 타입의 점착패드
KR830000912B1 (ko) 망포지에 장식무늬를 현출시키는 방법
KR100292855B1 (ko) 입체자수모양 및 입체자수방법
KR200182367Y1 (ko) 모피형 합성피혁
JP6492378B2 (ja) 着脱式ワイピング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4658373U (zh) 一种防翘边墙布
CN210870249U (zh) 刘海贴
GB2299789A (en) Tape
CN216782897U (zh) 抗污装饰面料
CN217099510U (zh) 一种布艺拼接装饰工艺画
USD422134S (en) Cloth covered shape
JPH0721715U (ja) スラックス
KR200418522Y1 (ko) 광고패드가 부착된 자외선차양모의 헤어밴드
KR20000001044U (ko) 구슬을이용한열전사지및그열전사부착물
JP3068341U (ja) 刺しゅう布用額
KR200224946Y1 (ko) 타월
JPH0232435Y2 (ko)
JPH0743650U (ja) ボタン、ホック等留め具付き製品
KR19980058723U (ko) 학습판
US2239351A (en) Fabric decorative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0

Year of fee payment: 3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