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292Y1 - 다중 집적 제트팬 - Google Patents

다중 집적 제트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292Y1
KR200173292Y1 KR2019990020448U KR19990020448U KR200173292Y1 KR 200173292 Y1 KR200173292 Y1 KR 200173292Y1 KR 2019990020448 U KR2019990020448 U KR 2019990020448U KR 19990020448 U KR19990020448 U KR 19990020448U KR 200173292 Y1 KR200173292 Y1 KR 200173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ilencer
nozzle
exterio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명진 에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명진 에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명진 에어테크
Priority to KR2019990020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04F5/22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of multi-st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54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jet pumps, e.g. combinations of two or more jet pumps of differe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다중 집적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층고 대형 건물 등에서 집적된 다수의 노즐(11)로 강력한 제트를 분사하여 실내 공기 전체를 선회류화 또는 전도시켜 환기효율을 높여주는 시스템에 사용하며, 건물 크기와 형상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도달거리 및 풍량이 요구되며, 높은 기류 관통력과 주변공기 유도 성능이 필요한 팬으로서, 팬 케이스(15) 내부에 모터(26)와 임펠러(24)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소음기(16)와 벨 마우스(18) 그리고 안전망(17)이 설치되며, 전면에는 소음기(12)와 노즐(11)이 설치된 단위 팬(10)을 조립 지지대(35) 또는 흡음재(34)가 내장된 외장(32)을 사용하여 동일 방향을 지향하도록 개별 되는 일체화 다중 집적한후, 모터 보호 기기(20) 및 전선 연결용 스위치 케이스(31)가 부착되고, 외장(32)과 부착된 브라켓(29)에 수직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 지지대(28)와 건물 구조물에 연결하여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수평지지대(2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소음이 낮고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풍량과 방향 조절이 간편하고 기류 순환력이 우수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집적 제트팬{Multiply Assembled Jet Flow Fan}
본 고안은 다중 집적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층고가 높은 대형 건물에서 난방을 하여도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여 상층부에 머물게 되므로 실제 활동 공간인 바닥의 난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노즐에서 분사되는 강력한 기류 관통력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 전체의 공기를 선회류화 또는 전도시켜 상하 공간의 온도 편차를 해소하여 좋은 실내 환경을 유지하며 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건물 구조와 크기 및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환기 방향과 풍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환기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9는 종래의 환기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환기팬(42)은 팬 케이스(46) 내부에 모터(45)와 임펠러(48)가 취부되며, 또한 기류 회전 성분을 제거하는 고정익(47)이 장착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지닌다.
팬 케이스(46) 외측은 흡음재(50)로 감싸서 소음을 감쇄시키며, 외장(38)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성형된다. 팬 케이스(46) 전후면에는 소음 흡수와 기류유도를 위하여 비교적 작은 홀이 조밀하게 가공된 금속 판재를 원형으로 성형한 소음 흡수판(53)이 취부되고, 소음 흡수판 외측을 흡음재(50)로 감싼후, 금속판재를 원형으로 성형한 외장(38)으로 마감된 구조를 지닌다. 소음기(44, 49) 양단은 기류 유입과 취출을 부드럽게 유도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성형되며, 후면부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안전망(52)이 부착된다.
종래 환기팬은 축류형 외에 원심형을 사용하기도 하며, 풍량범위는 3,000∼30,000㎥/h 정도가 범용적이며, 회전수가 1,500회전/분 정도의 환기팬은 전후면의 소음기(44, 49)가 제거된 상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10,000m3/h 미만의 환기팬은 출구 풍속 증대를 위하여 전면 소음기(44) 전단에 축소형 노즐 구조로 성형하기도 한다.
종래의 환기팬은 어느 경우에나 하나의 팬 모터(45)를 사용하므로, 건물 구조 및 사용 용도에 따라 제조업체에서 용량과 성능별로 따른 많은 기종을 생산해야 할뿐만 아니라, 실제 설치시 최적의 상황을 구현하기 위한 제품 선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형편이다. 또한 풍량에 대비한 중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며, 60% 이하의 낮은 효율에 기인하여 에너지 소모가 크다. 사용상태에서의 풍량 조절을 위하여서는 인버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어장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취출되는 공기의 완전발달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워 기류 관통력이 비교적 높지 못하며 도달거리가 출구 직경의 최대 150배 정도이다. 그리고 풍량이 증가됨에 따라 소음도 증가되어 조용한 환경이 요구되는 일반적인 건물에서는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며 체적과다로 인하여 재실자에게 중압감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환기팬은 환기효율, 소음, 제품 체적, 운전비용의 고려가 중요하지 않는 터널과 대형 공장 환기에만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저소음 등의 고급 환경이 요구되며 난방효율 증대를 필요로 하는 실내 체육관, 강당, 대형 공장 등의 고층고 건물과 유해가스,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의 사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층고가 높은 건물에서의 동절기 난방 성층화에 따른 많은 에너지 손실과 하절기 냉방시 태양열에 의하여 가열된 고온의 상층부 정체 공기 복사열에 의한 체감온도 상승, 분진이나 악취 또는 유해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의 재실자 건강을 해치는 환경 방치, 공동구, 철재 교량등 결로 발생으로 인한 구조물 부식 심화, 가열기기 사용에 따른 실내 온도 상승 작업장 등의 실내공기질 개선과 에너지 절약 분야에 많은 수요가 필요하나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 공간 환기용 저소음{50∼60dB(A)}, 고효율(전압효율 70%이상), 고성능(최대 도달거리: 노즐직경 200배 이상), 소용량(700∼3,000m3/h) 단위팬을 설치 장소의 크기와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따라 최대 8대 까지 다중 집적 일체화하여, 단일 또는 수종의 단위팬의 집적되는 수량의 변경으로 풍량 대응범위(1,500∼24,000㎥/h)를 광범위하게 하고, 각각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제트 합성효과{(합성 기류 속도)2={(단위팬 기류속도)2×집적된 단위팬 수량}로 기류 관통력 향상과 도달거리 증대를 실현하며, 각각의 단위팬을 사용 조건에 따라 개별 운전(1대∼8대)되도록하여 사용 풍량 조절이 간편하도록 하며, 사용 조건 변화로 인한 각도 변경(수직 각도조절:90°, 수평 각도 조절:180°)이 용이하게 하고, 저소음{62db(A)이하}, 저체적(30% 개선), 경량화(20% 감량), 저전력소모화(40% 절감)하여, 에너지 절약(난방에너지 30% 절감),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 유해 환경 개선이 필요한 실내 공간에 고효율 환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중 집적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중 집적 제트팬에 내장되는 단위팬의 외형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위팬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트랙형 외장일체 1단4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트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제트팬, 6,000m3/h 급의 성능특성 곡선도,
도 6은 도 3의 제트팬, 6,000m3/h 급의 기류분포 수직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제트팬, 6,000m3/h 급의 소음 곡선도,
도 8은 종래의 환기팬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래의 환기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트랙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원형 외장일체 2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각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원형 개별독립 1단3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트랙형 부분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후면통합 원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은 본 고안의 변형에 따른 전면통합 원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트팬이 적용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대형 건물 외부 정면도,
도 18은 도 17 내부 천장에 본 고안의 제트팬이 설치된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제트팬을 가동한 상태의 기류분포 예측 시뮬레이션 동영상도,
도 20은 도 19의 시뮬레이션의 기류분포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지영상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단위팬 15, 46 : 팬 케이스
26, 45 : 모터 24, 48 : 임펠러
25, 47 : 고정익 12, 16, 44, 49, 58, 61 : 소음기
18, 51, 59 : 벨 마우스 17, 52, 60 : 안전망
11, 43, 62 : 노즐 19, 35 : 조립 지지대
14, 28, 37 : 수직 지지대 13, 27, 36 : 수평 지지대
21, 31, 41 : 스위치 케이스 32, 38, 54, 55, 56, 57 : 외장
23, 34, 50 : 흡음재 29, 39 : 브라켓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팬 케이스(15) 내부에 모터(26)와 임펠러(24)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소음기(16)와 벨 마우스(18) 그리고 안전망(17)이 설치되며, 전면에는 소음기(12)와 노즐(11)이 설치된 고성능, 소형, 고효율 단위팬(10) 다수를 조립 지지대(35)를 사용하거나, 또는 흡음재(34)가 내장된 외장(32)과 기류 유입과 유출을 부드럽게 유도하는 끝부분이 원형의 형상으로 성형된 입구 덮개(30), 출구 덮개(33)를 사용하여 동일 방향을 지향하도록, 원형, 트랙형, 각형의 형상으로 개별, 소음기 부분일제 또는 전체 외장일체 방식으로 다중 집적한후, 모터 보호 기기(20) 및 전선 연결용 스위치 케이스(31)가 부착되고, 외장(32)과 부착된 브라켓(29)에 수직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 지지대(28)와 건물 구조물에 연결하여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수평지지대(2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소음기(12, 16)의 길이를 3배까지 연장하여, 정숙 운전이 필요한 장소에 사용하는 용도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고안의 다른 변형예로서, 단위팬의 후면 소음기(16)와 벨 마우스(18), 안전망(17)을 제거한 상태로 다중 집적한후 공통의 후면 소음기(58)와 벨 마우스(59) 및 안전망(60)을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로서, 단위팬의 전면 소음기(12)와 노즐(11)을 제거한 상태로 다중 집적한후 공통의 전면 소음기(61)와 노즐(62)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단위팬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단위팬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단위팬(10)은 팬 케이스(15) 내부에 모터(26)와 임펠러(24)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소음기(16)와 벨 마우스(18) 그리고 안전망(17)이 설치되며, 전면에는 소음기(12)와 노즐(11)이 설치된 고성능, 소형, 고효율 팬으로서 소형 공간 환기장치에 관련된다. 도 2에서 팬 케이스(15)는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로 견고한 원통형으로 주조 또는 사출한후, 임펠러(24)와의 간극을 최초화 할 수 있도록 정밀 가공하여야 효율이 향상된다. 측면부 양측에는 수직 지지대(14)가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전후면에도 소음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홀을 성형한다. 모터(26)는 장시간 운전에 적합한 기능이 내장되도록 하며, B종 이상의 절연으로 130℃ 이상의 내열 성능을 구비하여야 하고. 모터 케이스는 발열성 향상을 위하여 알루미늄 합금으로 주조한후 표면은 부식방지 처리하며, 팬 케이스(15)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볼트가 기류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면부에 구성하여야 한다. 임펠러(24)는 회전성분이 적게 발생하고 기류 분포가 안정된 사각 형태의 8조 이하의 날개로 구성된 축류형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편심을 교정하여야 진동이 방지되며 모터(26)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표면은 부식방지 처리를 하여야 한다. 팬 케이스(15) 전후면 취부되는 소음기(12, 16)는 0.5mm 이하의 내식성 금속판재에 비교적 작은 홀을 조밀하게 가공하여 원형으로 성형한 소음 흡수판(22)이 취부되고, 소음 흡수판(22) 외측을 50mm 두께의 유리섬유 또는 스펀지 재질의 흡음재(23)로 감싼후, 1.2mm 이하의 강판을 원형으로 성형한 외장으로 마감된 구조를 지니며, 소음 흡수판에 가공된 홀의 총면적이 전체면적의 25%를 초과하지 않아야 흡음재(23)의 비산이 방지된다. 후면 소음기(16)에 취부되는 벨 마우스(18)의 유입구 방향의 구조는 기류 유입을 부드럽게 하고 마찰 소음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성형한다. 벨 마우스(18)에 취부되는 안전망은 선경 3mm 이하의 금속선제로서 원형으로 성형하여 도금하며 상호 간격이 15mm를 초과하지 않아야 작은 종이 등의 이물질 유입과 임펠러(24) 촉수가 방지되며, 선경이 크거나 상호 간격이 적으면 공기 유입시 마찰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전면 소음기(12)에 취부되는 노즐(11)은 약 2mm 두께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약 3mm 두께의 합성수지로 제조하며, 소음기(12)와 노즐(11) 길이의 합이 팬 케이스(15) 출구 직경의 3.5배 이상의 길이가 되어야 취출 공기의 완전 발달이 가능하며, 출구 속도 증대를 위하여 축소관 형태로 성형시에는 10°이하의 경사도를 유지하여야 출구기류가 외측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노즐 끝단부의 수평 유지 최소 길이는 노즐 끝단부 직경의 30%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단위팬(10)은 모터(26)의 구동력에 의하여 임펠러(24)가 고속(1,400∼3,450rpm)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양력과 원심력에 의하여 안전망(17)과 후면 소음기(16)로 유입된 공기가 전면으로 강력하게 유도되며, 원심력을 최소화하는 구조의 사각 형상의 임펠러(24)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와류 발생이 억제되며, 난동성이 적어진다. 임펠러(24)에서 유도된 고압의 공기는 팬 케이스(15) 전면부에 임펠러(24)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형태로 취부된 고정익(25)을 통과하면서 회전성분이 소멸되고, 난동이 안정화되어 전면 소음기(12)로 유입된다. 또한 고정익의 매수는 임펠러(24) 날개 매수의 115%이상이어야 발달 효율이 높아지며, 130% 초과시에는 마찰 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효율이 낮아진다. 전면 소음기(12)로 유입된 공기는 저경사 축소 노즐(11)을 통과하면서 완전 발달되며, 강력한 기류 관통력이 생성되어 노즐(11) 직경의 200배 이상의 거리까지 0.25m/s 이상의 유효 풍속이 유지된다. 또한 전후면에 취부된 소음기(12, 16)에서 소음을 흡수하여 63dB(A) 이하의 소음이 발생하여 정숙운전되며, 65∼80%의 전압 효율이 유지되어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경량화, 저체적화 된다. 이와 같은 단위팬(10)은 풍량이 3,000㎥/h 이하의 소형급으로 제작하여야 고효율, 저소음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실제 적용에 있어 단위팬(10)의 성능은 노즐(11) 직경의 300배 정도까지의 적용 구간에서 실내 공기를 강력하게 순환기킨다.
도 3은 고안된 다중 집적 제트팬 중 단위팬(10) 4대를 트랙형 외장(32)의 내부에 상부 방향으로 1단, 수평 방향으로 4열 취부한 구조로 외장을 일체화 구성한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는 도 3의 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트랙형 외장일체 1단4열형 제트팬은 4대의 단위팬(10)을 조립 지지대(35)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일렬 집적한후, 흡음재(34)가 내장되고 1.6mm 두께의 강판으로 성형된 외장(32)과 단위팬(10)의 벨 마우스(18)와 결합되는 후면 입구 덮개(30), 노즐(11)과 결합되는 전면 출구 덮개(33)로 마감하고, 측면에는 개별 모터 보호기기(20) 및 전선 연결용 스위치 케이스(31)가 부착되면서 수직방향 각도 조절이 90°까지 가능하도록 2mm 이상의 강판을 가공 성형한 수직 지지대(28)가 양측에 설치되고, 건물 구조물에 연결되면서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90°까지 가능하도록 강판을 가공 성형한 수평 지지대(27)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이 편리하며, 외장(32)내부에 흡음재(34)가 취부되어 있어 소음 감쇄효과가 상승되어, 4대의 단위팬(10)이 동시에 운전되어도 63dB(A) 이하의 소음이 발생하여 재실자 불쾌감이 유발되지 않으며, 근접된 4조의 노즐(11)에서 취출되는 제트가 상호 중첩되면서 60m 이상의 거리까지 0.25m/s이상의 유효 풍속이 유지된다. 또한 공간 기류 관통력이 높아 적용 공간의 실내 공기를 강력하게 순환시킬 수 있으며, 거주 영역인 바닥 부근에서는 0.5m/s이하의 부드러운 풍속을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이 조성된다. 그리고 사용 조건에 따라 스위치 케이스(15)에 취부되어 있는 모터 보호 스위치(20)를 수동 또는 원격 제어 개폐시켜, 단위팬 풍량의 1배로부터 최대 4배까지 자유로이 사용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3의 제트팬중, 6,000m3/h 급의 풍량대비 전압, 정압, 축동력, 전압효율 성능특성 곡선도가 도시된다.
도 6은 도3의 제트팬중, 6,000m3/h 급의 층고 4m의 공간에서, 기류분포 수직방향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7은 도3의 제트팬중, 6,000m3/h 급의 소음 특성 곡선도가 도시된다.
도 10은 도3의 구조에서 단위팬의 수량이 2대로 구성되고, 외장(32)의 형상이 짧은 트랙형 외장(54)으로의 변형에 따른, 트랙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1은 도3의 구조에서 단위팬의 배열이 2단 2열로 구성되고, 외장(32)의 형상이 원형 외장(55)으로의 변형에 따른, 원형 외장일체 2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2는 도 3의 구조에서 외장(32)의 형상이 각형 구조의 외장(56)의 변형에 따른, 각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3은 도 3의 구조에서 단위팬의 수량이 3대로 구성되고, 외장(32)부를 취부하지 않은 상태로, 양단의 단위팬(10) 팬 케이스(15)에 취부된 단위팬의 조립지지대(35)에 직접 수직 지지대(28)와 수평 지지대(27)를 취부된 형태의 변형에 따른, 원형 개별독립 1단3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4는 도 10의 구조에서 외장(32)부를 취부하지 않은 상태로, 도 1의 팬 케이스(15) 양단에 취부된 소음기(12, 16)의 외장(57)만을 일체화시켜, 단위팬(10)이 팬 케이스(15)에 취부된 단위팬의 조립지지대(35)에 직접 수직 지지대(28)와 수평 지지대(27)를 취부한 형태의 변형에 따른, 트랙형 부분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5는 도 10의 구조에서 도 1의 각각의 단위팬의 후면 소음기(16), 벨 마우스(18), 안전망(17)을 제거한후, 일체화 형상으로 성형한 공통의 소음기(58), 벨마우스(58), 안전망(60)을 취부한 형태의 변형에 따른, 후면통합 원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16은 도 10의 구조에서 도 1의 각각의 단위팬의 전면 소음기(12)와 노즐(11)을 제거한후, 일체화 형상으로 성형한 공통의 소음기(61)와 노즐(62)을 취부한 형태의 변형에 따른, 전면통합 원형 외장일체 1단2열형 제트팬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품을 사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약하고,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목적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고층고 대형 건물인 체육관의 외부 정면도가 도시된다.
도 18은 도 17의 실내 천장부 트러스 구조물에 본 고안의 제품(풍량:6,000m/h, 출구속도:17m/s, 원형 외장일체 2단2열형 다중 집적 제트팬)을 12대 설치한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19는 도 18의 제트팬을 가동한 상태의 기류분포 예측 시뮬레이션 동영상도가 도시된다.
천장부에 설치된 제트팬에서 취출되는 강력한 고속의 공기가 공간 전체의 공기를 선회류화(40rev/h) 시켜, 상층부의 공기가 도넛형태로 하향 순환되며, 상층부에 정체된 따뜻한 공기가 거주영역의 찬공기와 희석되어, 상하 온도편차의 심화가 해소되고, 기류분포 효율이 개선되며, 거주영역인 바닥에는 0.4m/s 정도의 쾌적한 공기가 부드럽게 순환되어 에너지 절약과 환기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시뮬레이션의 기류분포중, 바닥면에서 10m지점의 수평단면의 기류분포 및 속도를 나타내는 정지 영상도가 도시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다중 집적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는 정숙운전과 외관이 미려하고, 제품 중량이 가볍고 부피가 적으며, 전력소모가낮고, 기류 관통력과 순환력이 우수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환기효과를 높이는 신개념의 환기시스템에 적용되는 환기장치로서 사용되며, 고층고 건물 난방보조, 유해환경 작업장의 실내 공기질 개선 등의 환기효율 향상 분야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느며 에너지 절약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탁월하다.

Claims (1)

  1. 고정익(25)이 부착된 팬 케이스(15) 내부에 모터(26)와 임펠러(24)가 결합되며, 후면에는 소음기(16)와 벨 마우스(18), 안전망(17)을 결합하고, 전면에는 소음기(12)와 노즐(11)이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 팬(10)을 조립 지지대(35) 또는 외장(32)으로 상호 집적시키고, 외장(32)과 연결된 브라켓(29)에, 스위치 케이스(31)가 부착되고, 수직방향 각도조절 기능이 있는 수직 지지대(28)와, 수평방향 각도조절 기능이 있는 수평 지지대(27)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2대 이상, 8대 이하의 소형 단위팬(10)을 노즐(11)의 지향 방향이 동일하도록 상하, 좌우방향으로 적층하고, 별도의 조립 지지대(35) 또는 외장(32)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내공기 순환용, 다중 집적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외장(32)을 제거하고 각각의 단위 팬(10)을 조립 지지대(35) 만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외장(32)의 형상이 사용목적과 기능에 따라 원형(55), 트랙형(32, 54), 사각(56)의 영상으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팬(10)의 후면 소음기(16), 벨 마우스(18), 안전망(17)을 제거하고, 공통의 소음기(58), 벨 마우스(59), 안전망(60)으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팬(10)의 전면 소음기(12)와 노즐(11)을 제거하고, 공통의 소음기(61)와 노즐(62)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팬(10)의 전, 후면 소음기(12, 16), 벨 마우스(18), 안전망(17), 노즐(11)을 제거하고, 공통의 후면 소음기(58), 벨 마우스(59), 안전망(60), 전면 소음기(61), 노즐(62)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벨 마우스(18)가 후면 소음기(16)에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노즐(11)이 제거되고, 길이가 증대된 전면 소음기(12)가 기능을 대신하는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원격 집중 개폐를 위하여 스위치 케이스(31)가 제거되거나, 특정 목적을 위하여 외장(32) 상면, 또는 측면에 부착된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팬(10)에 부착되는 축류형 임펠러(24)가 사용 용도의 변경을 위하여 원심형 또는 터보형 임펠러로 변경된 환기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수직 지지대(28)와 수평 지지대(27)가 사용 조건에 따라 외장(32) 전후면에 각각 부착되거나, 외장(32) 상면 중앙의 상단에 위치하는 환기장치.
KR2019990020448U 1999-09-21 1999-09-21 다중 집적 제트팬 KR200173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48U KR200173292Y1 (ko) 1999-09-21 1999-09-21 다중 집적 제트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48U KR200173292Y1 (ko) 1999-09-21 1999-09-21 다중 집적 제트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292Y1 true KR200173292Y1 (ko) 2000-03-15

Family

ID=1958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448U KR200173292Y1 (ko) 1999-09-21 1999-09-21 다중 집적 제트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2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93B1 (ko) 2005-11-23 2006-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거리 기류이송용 축류식 터보 제트팬
KR100699135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향방향 가변형 제트팬을 이용한 초대형 공장의 기류패턴자동제어시스템
KR100699136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트팬을 이용한 출입구 개방형 공장의 유도 급배기 시스템
KR100718747B1 (ko) * 2006-09-11 2007-05-15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주차장 환기장치
KR100893730B1 (ko) * 2008-11-19 2009-04-17 주식회사 하이옥스 제트팬
CN114087237A (zh) * 2021-12-17 2022-02-2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无叶风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93B1 (ko) 2005-11-23 2006-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장거리 기류이송용 축류식 터보 제트팬
KR100699135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향방향 가변형 제트팬을 이용한 초대형 공장의 기류패턴자동제어시스템
KR100699136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트팬을 이용한 출입구 개방형 공장의 유도 급배기 시스템
KR100718747B1 (ko) * 2006-09-11 2007-05-15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주차장 환기장치
KR100893730B1 (ko) * 2008-11-19 2009-04-17 주식회사 하이옥스 제트팬
CN114087237A (zh) * 2021-12-17 2022-02-2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无叶风扇
CN114087237B (zh) * 2021-12-17 2024-03-0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无叶风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3948B2 (en) Temperature destratification systems
US7381129B2 (en)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05050026A1 (en) Heater fan with integrated flow control element
JPH06313603A (ja) 送風機
KR200173292Y1 (ko) 다중 집적 제트팬
EP3704385B1 (en) Fan
CN108917004A (zh) 空调器
CN110043960A (zh) 悬角空调器
CN111389143B (zh) 一种室内装饰用扬尘除尘装置
CN108426301A (zh) 空调柜机及其控制方法
JP3962692B2 (ja) 空気抜き取りファン
CN109405243B (zh) 出风装置及其电器设备
KR100487977B1 (ko) 자연풍 냉온풍시스템
CN209925259U (zh) 一种消音风机
KR19990004018U (ko) 지하 주차장 다단 배기시스템용 제트팬
KR100337233B1 (ko) 다중 집합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
CN217763575U (zh) 一种抽油烟机
CN208765067U (zh) 空调器
CN110118386B (zh) 悬角空调室内机
CN110081732A (zh) 带消声器负压型离心抽风式冷却塔
CN2487898Y (zh) 离心式射流风机
KR20220002284U (ko) 와류 포집 유인팬
RU2231719C1 (ru) Воздух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JP2002243187A (ja) 空気調和機
AU2011253799A1 (en)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