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912Y1 - 신치-백플라이어 - Google Patents

신치-백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912Y1
KR200172912Y1 KR2019970018283U KR19970018283U KR200172912Y1 KR 200172912 Y1 KR200172912 Y1 KR 200172912Y1 KR 2019970018283 U KR2019970018283 U KR 2019970018283U KR 19970018283 U KR19970018283 U KR 19970018283U KR 200172912 Y1 KR200172912 Y1 KR 200172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piece
cinch
protrusion
arc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008U (ko
Inventor
김중한
Original Assignee
김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055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7291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2019970018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9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4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plier-type, e.g. pin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 우측으로 돌출부를 구비하여 T자로 형성된 하측 집게편과, 상기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와 대응하여 T자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선에 20°-45°연장하여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상측 집게편을 포함하고 있는 집게부와 상기 상측 집게편과 상기 하측 집게편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 및 아치 와이어를 잡고 굽힐 수 있는 굽힘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치-백 플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치-백 플라이어
본 고안은 치과용 신치-백 플라이어(cinch-back pli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과용 아치 와이어(arch wire)의 단부를 쉽고 확실하게 굽힐 수 있게 변형된 집게부를 가지고 있는 신치-백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용 아치 와이어(1)는 교정 브라켓(bracket)(2) 사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삽입되어 결찰 철사에 묶여 교정 브라켓(2)에 고정된다. 이때 아치 와이어(1)의 양단부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입안의 피부 조직을 자극하게 되어 피부조직이 붓거나 상처를 입어 출혈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치-백 플라이어(3)를 이용하여 아치 와이어(1)의 양단부를 굽혀 구강내의 피부조직과 단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아치 와이어(1) ?굽히기 위하여 시술자는 집게부(4)로 아치 와이어(1)의 끝을 잡고 신치-백 플라이어(3)의 손잡이부(5)를 위 쪽으로 회전하여 아치 와이어(1)의 단부를 잇몸 쪽으로 굽힌다.
그러나, 종래의 신치-백 플라이어를 가지고 아치 와이어를 굽힐 때에는 손잡이 부분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불편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환자도 손잡이 부분의 회전으로 신치-백 플라이어와 구강조직의 접촉으로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손잡이 부분을 회전시키지 않고 아치 와이어를 굽힐 수 있도록 집게부를 변형시킨 신치-백 플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 우측으로 돌출부를 구비하여 T자로 형성된 하측 집게편과, 상기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와 대응하여 T자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선에 20°-45°연장하여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상측 집게편을 포함하고 있는 집게부; 상기 상측 집게편과 상기 하측 집게편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 및 아치 와이어를 잡고 굽힐 수 있는 굽힘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신치-백 플라이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아치 와이어의 단부를 굽히기 위한 종래의 신치-백 플라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아치 와이어의 단부를 굽히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신치-백 플라이어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와 상측 집게편의 내면 및 상, 하측 집게편과 아치 와이어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측 집게편의 하면과 후면에 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측 집게편의 하면에 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집게부의 측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치 와이어 2 : 브라켓
4,11,31 : 집게부 5,19,29 : 손집이부
12,32 : 상측 집게편 13,33 : 하측 집게편
14,24,34,15,25,35 : 돌출부 16 : 지지편
17 : 홈 18,38 : 연결부
9,39 : 손잡이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는 신치-백 플라이어의 집게부(11)를 T자 형태로 형성하여 아치 와이어(1)가 치아의 브라켓(2)에 부착되어 있을 때 아치 와이어(1)의 좌,우단부를 모두 굽힐 수 있도록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1)는 T자형으로 상측 집게편(12)과 하측 집게편(1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 집게편(12)과 하측 집게편(13)은 좌,우로 각각 3mm-7mm정도의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아치 와이어(1)를 잡기 위해서는 상측 집게편과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14,15)가 3mm이상이어야 하고 7mm이상이 될 경우에는 시술자가 아치 와이어를 잡고 굽히는 동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자가 시술시 사용되지 않는 돌출부(14,15)와 구강이 접촉하여 고통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측의 집게편(13)은 돌출부(15)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는 그 단면의 직경이 2mm-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가 직경에 비하여 아치 와이어(1)의 단부를 굽히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큰 힘을 받아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의 하면 또는 후면에 지지편(16)을 하측 집게편(13)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집게편(12)은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와 대응되도록 굴곡진 T자형의 돌출부(1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집게편(12)의 돌출부(14)는 하측의 집게편(13)의 돌출부(15)와 동일 길이의 T자로 형성되고,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를 맞물리게 덮을 수 있도록 상측 집게편(12)의 돌출부(14)는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의 상면인 원주면과 대응되게 굽혀져 형성된다. 또한, 하측 집게편(13)과 함께 브라켓(2)을 빠져 나온 아치 와이어(1) ?잘 맞물려 굽힘 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상측 집게편(12)의 돌출부(14)의 내면에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집게편(12)과 하측 집게편(13)을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연결부(18)에 의하여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고 집게부에 굽힘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연결부(18)에서 연장된 손잡이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에서 빠져 나온 아치 와이어(1)를 신치-백 플라이어의 집게부(11)로 잡고 손잡이부(19)로 누르면 아치 와이어(1)는 상측 집게편(11)의 굽힘 모멘트를 받아 잇몸 쪽으로 굽혀지게 된다.
아치 와이어(1)의 타단부를 굽히기 위해서는 상측 집게편(12)과 하측 집게편(13)의 반대쪽 돌출부들을 사용하여 굽힌다. 벌어진 집게부(11)에 위치한 아치 와이어(1)의 단부는 상측 집게편(12)과 하측 집게편(13)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굽힘 모멘트를 받아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의 표면을 따라 굽혀지게 되어 맞물린 상태에서 아치 와이어(1)를 굽히기 위하여 신치-백 플라이어의 손잡이부(19)를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멘트를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상측 집게편과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측 집게편과 하측 집게편은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T자형의 돌출부(24,25)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단면은 수직선과 그 표면의 접선이 20°-45°의 각도를 형성하는 포물선의 반쪽부를 이루도록 한다. 상측 집게편의 돌출부(24)는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25)의 단면의 반쪽을 이루는 표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측 집게부의 돌출부(24)의 내면에도 제1실시예처럼 하측 집게편과 함께 아치 와이어를 잘 맞물리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아치 와이어(1)를 삽입하여 맞물리게 되면 브라켓을 빠져나온 아치 와이어(1)의 단부를 모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굽힘 모멘트를 적절하게 배분하여 아치 와이어(1)의 단부를 굽힐 수 있게 된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집게부를 변형시킨 것으로 아치 와이어의 단부를 절단함과 동시에 굽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집게부(31)가 T자형으로 형성된 것은 상기의 실시예들과 같으나 절단날(36)이 상, 하측 집게편(32,33)의 돌출부들(34,35)과 평행하게 외측에 각각 좌,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집게부(31)가 벌려진 상태에서 아치 와이어(1)를 삽입하고 손잡이부(39)를 눌러 맞물리게 하면 절단날(36)에 의하여 아치 와이어(1)의 단부의 일부는 절단되고 나머 ?부분은 절단날(36) 안쪽에 형성된 상, 하측 집게편(32,33)에 의하여 굽힘 모멘트를 받아 굽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2)에서 빠져나온 아치 와이어(1)의 단부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아치 와이어(1)의 단부를 굽히는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여러 실시예들의 구성에 의하여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을 통하여 교정력을 적정하게 전달하는 아치 와이어의 단부를 잡은 시술자가 신치-백 플라이어 전체에 회전 모멘트를 줄 필요가 없이 단지 손잡이부를 누르기만 하면 아치 와이어의 단부가 쉽게 굽혀지도록 하여 시술자가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고 신치-백 플라이어와 환자의 잇몸 또는 구강과 무리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하여 시술자는 아치 와이어의 단부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함과 동시에 아치 와이어의 단부를 용이하게 굽힐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5)

  1. 신치-백 플라이어에 있어서,
    좌, 우측으로 3-7mm 길이의 돌출부(15)를 구비하여 T자로 형성된 하측 집게편(13)과,
    상기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와 동일한 길이의 T자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를 맞물리게 덮도록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의 상면의 일부와 대응하여 굽혀져 형성된 돌출부(14)를 구비한 집게편(12)을 포함하고 있는 집게부;
    상기 상측 집게편(12)과 상기 하측 집게편(13)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18); 및
    아치 와이어를 잡고 굽힐 수 있는 굽힘모멘트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8)에서 연장된 손잡이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치-백 플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는 그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치-백 플라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는 굽힘 모멘트의 계속적인 작용으로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하면 또는 후면에 지지편(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치-백 플라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집게편(13)의 돌출부(15)의 단면은 수직선과 접선이 20°-45°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변화하는 포물선의 반쪽부(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집게편(12)의 돌출부(14)는 상기 하측 집게편의 돌출부의 포물선 표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치-백 플라이어.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상, 하측 집게편과 평행하게 그 바깥쪽에 각각 좌,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절단날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치-백 플라이어.
KR2019970018283U 1997-07-11 1997-07-11 신치-백플라이어 KR200172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283U KR200172912Y1 (ko) 1997-07-11 1997-07-11 신치-백플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283U KR200172912Y1 (ko) 1997-07-11 1997-07-11 신치-백플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08U KR19990005008U (ko) 1999-02-05
KR200172912Y1 true KR200172912Y1 (ko) 2000-03-02

Family

ID=1950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283U KR200172912Y1 (ko) 1997-07-11 1997-07-11 신치-백플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9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5261A (zh) * 2015-11-24 2016-03-16 宁波爱优恩商贸有限公司 弓丝末端弯制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24Y1 (ko) * 2010-02-26 2012-01-30 조형준 벤드백 플라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5261A (zh) * 2015-11-24 2016-03-16 宁波爱优恩商贸有限公司 弓丝末端弯制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08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9906A (en) Orthodontic appliance (bracket and lock pin)
US4655708A (en) Orthodontic appliance
US3772787A (en) Orthodontic bracket
US3975824A (en) Orthodontic brackets
US4531911A (en) Combination single/twin edgewise orthodontic bracket
US4674978A (en) Orthodontic appliance
JP4594434B2 (ja) 自己解放式ラッチを備えた歯列矯正器具
US4529382A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for edgewise therapy
US5292248A (en) Molar appliance
US4427381A (en) Combination light wire and edgewise appliance
EP0428152A1 (en) Muscular expansion oral shield appliance
JPH0371896B2 (ko)
EP0225794B1 (en) Orthodontic apparatus
US5395236A (en) Orthodontic pliers
JP2005505310A (ja) 舌側ブラケット
US6126441A (en) Buccal tube
CA1195157A (en) Ring for orthodontic bracket
US6293796B1 (en) Dental matrix clamp for tooth restoration procedures
EP0976368B1 (en) Orthodontic device
US4167813A (en) Dental fixing element
JP3096332U (ja) 歯列矯正用ネジ装置
EP0389223A2 (en) Improved dental bracket configuration
JPH10323355A (ja) 歯科矯正用器具
EP1247497B1 (en) Orthodontic treatment pliers
KR200172912Y1 (ko) 신치-백플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227

Effective date: 2007042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228

Effective date: 200707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727

Effective date: 200711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