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803Y1 - 배수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배수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803Y1
KR200172803Y1 KR2019990019784U KR19990019784U KR200172803Y1 KR 200172803 Y1 KR200172803 Y1 KR 200172803Y1 KR 2019990019784 U KR2019990019784 U KR 2019990019784U KR 19990019784 U KR19990019784 U KR 19990019784U KR 200172803 Y1 KR200172803 Y1 KR 200172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pe
water
drainag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권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윤 filed Critical 권태윤
Priority to KR2019990019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등의 건물 상층부의 2방향과 하층부의 일방향 관을 접속하여 물을 배수하는 배수용 연결관으로서, 제1상층부연결관에는 물의 내벽면 회전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를 이루는 제2상층부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상층부연결관의 인입구에는 1차적으로 물의 직하내벽흐름을 유도하는 내벽유도편이 내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1차 내벽 유도된 물을 2차적으로 회전흐름 내벽면 유도하게 되어지는 회전턱을 나선형 접속부위에 구비하여, 물의 원활한 내벽면 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시 물의 관체 내벽면 유도 흐름를 극대화 하므로서, 배수소음을 극소화 하여 정숙한 배수가 이루어 질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 원활을 도모하므로서 악취제거를 수행할수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용 연결관{Y-pipe-joint}
본 고안은 아파트등의 건물 상측 2방향에서 배수관이 연결되어지고 하측 일방향으로 배수관이 연결되는 3방향 배수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면관로를 직선관로에 물의 회전 내벽면 흐름합류가 가능하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로 형성하고, 물의 인입구에는 물의 1차 내벽면 흐름 유도편을 구비하며 나선형상의 관로 접속부에는 2차 내벽면 회전흐름 배수가 이루어지는 회전턱을 구비하여, 물의 원활한 내벽면 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시 물의 관체 내벽면 유도 흐름를 극대화 하여 배수소음을 극소화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 원활을 도모하므로서 악취제거를 수행할수 있도록 한 배수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파트등의 건물 상층에서 내려오는 빗물이나 집안에서 발생된 각종 오,폐수등의 유수가 하층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배수관이 베란다 및 옥상 또는 건물내측부위에 상기 발생된 각종 유수의 인입구 부위가 내설 설치되어지며, 상기 인입구에서 연장되어진 배수관은 중간 중간의 연결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배수관로를 형성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배수관로의 연결관은 PVC재질로서 성형되어지고 형태는 일자형, Y자형등 다양한 형상의 관이음 방법이 있으나, 통상 일자형의 관로를 구성하고 그 일자관로에 목적된 배수 인입구에 일정각도(일반적으로 45도,60도의 기울기로 이루어짐)로 기울어진 형태의 관로를 측면에 관이음 되도록 변형된 Y자형의 형태가 연결관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관이음으로 사용되어지는 연결관은 단순히 연결관으로서의 관이음 기능만을 담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2방향 물의 합류시 일측방향의 유입물이 타측방향의 유입물을 압박함으로서 관로 내측면을 때리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그로 인해 소음발생이 유발되었으며, 또한 낙하시의 물이 관로 내측면을 따라 낙하하지 못하고 내측 공간 부위를 따라 낙하 하므로서 내벽면에 부딪치고 튕겨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낙하하게 되어관로의 수명단축은 물론 소음 발생이 심하고,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악취가 발생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어 하층부의 거주자는 불쾌감을 느끼는등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최상층부에서 최하층부로 거의 직하 함으로서 최하층부의 배수소음의 극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결관의 측면관로를 직선관로에 물의 회전 내벽면 흐름합류가 가능하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로서 일체로 형성하고, 직선관로 상측 인입구에는 물의 1차 내벽면 흐름 유도편을 구비하며, 나선형상의 관로 접속부에는 2차 내벽면 회전흐름 배수가 이루어지는 회전턱을 구비하므로서, 물의 원활한 내벽면 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시 물의 관체 내벽면 유도 흐름를 극대화 하고, 배수소음을 극소화 하여 정숙한 배수가 이루어 질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 원활을 도모하므로서 악취제거를 수행할수 있도록 한 배수관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연결관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연결관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상층부연결관 110 ; 인입구
200 ; 제2상층부연결관 300 ; 하층부연결관
400 ; 내벽유도편 500 ; 회전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층부의 2방향과 하층부의 일방향 관을 접속하여 물을 배수하는 배수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제1상층부연결관에는 물의 내벽면 회전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를 이루는 제2상층부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상층부연결관의 인입구에는 1차적으로 물의 직하내벽흐름을 유도하는 내벽유도편이 내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1차 내벽 유도된 물을 2차적으로 회전흐름 내벽면 유도하게 되어지는 회전턱이 나선형 접속부위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연결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연결관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용 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아파트등의 건물 상층에서 내려오는 빗물이나 집안에서 발생된 각종 오,폐수등의 유수가 하층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배수관을 상호 연결하여 배수관로를 형성하여주는 3방향 배수 연결관으로서, 그 연결관은 일자관로에 목적된 배수 인입구에 일정각도(일반적으로 45도,60도의 기울기로 이루어짐)로 기울어진 형태의 관로를 측면에 관이음 되도록 변형된 Y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방음효과가 떨어진 PVC재질 대신에 방음효과와 소음흡수력이 뛰어난 재질(예:주철관등)로서 형성된 것이며, 변형된 Y자형의 일자관로를 구성하는 제1상층부연결관(100)에는 물의 내벽면 회전흐름을 유도하여 합류가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를 이루는 제2상층부연결관(200)이 일정기울기로 측방향관로를 구성하며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상층부결관(100)의 인입구(110)에는 1차적으로 빗물등 각종 오,폐수 배수시에 내벽면을 타고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일정길이의 내벽유도편(400)이 내주연을 따라 일정각도로 기울어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어지고, 상기 내벽유도편(400)에 의해 1차 내벽면 유도된 물을 2차적으로 내벽면 회전흐름으로 유도하게 됨과 동시에 제2상층부연결관(200)에서 유입된 물을 회전합류 유도하게 되는 회전턱(500)이 제1,2상층부연결관(100,200)의 상호 나선형 접속부위의 내면을 따라 일정길이의 면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내벽유도편(400)은 별도 제작하여 인입구(110)에 내설되어진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관체 내면에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수 있는 것이고, 물의 흐름을 완하 하면서 내벽면 쪽으로의 흐름을 극대화 할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짐과 동시에 일정면적을 가지면서 중심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차적으로 내벽면 흐름을 유도하게 되는 회전턱(500)은 제1상층부연결관(100)과 제2상층부연결관(200)의 물의 나선형 흐름 합류시 내벽유도흐름을 더욱 내벽유도함과 동시에 내벽유도편(400)에 의해 1차 내벽유도된 흐름을 내벽면 회전흐름으로 배수 되어지도록 상호 간섭부위인 나선형 접속부위의 내면을 따라 일정면적의 길이로 돌출되어진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턱(500)은 변형된 Y자형 형태, 즉 3방향 연결관에 구비되어진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배수 흐름을 내벽면 흐름으로 유도할수 있는 구조로서, 일자형인 직선관로 연결관등의 다양한 형상의 연결관에 적용될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관의 3방향 끝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구비된 체결볼트로서 상측 배수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측면 배수관, 하측배수관을 상호 연결관에 체결 이음 하므로서 배수관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후 빗물등의 각종 오,폐수 배수시에 중간 중간에 위치된 연결관의 내벽유도편(400)에 의해 직하 내벽면 유도흐름으로 1차유도 되어지고, 이 유도된 물과 유도되지 못한 물을 내벽유도편(400) 하측에 위치하며 나선형상으로 돌출된 회전턱(500)에 의해 2차적으로 내벽면을 따라 회전흐름 배수을 유도하게 되어 물의 관체 내벽면 흐름을 극대화 하여 유도하게 됨으로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되고, 관체 내벽면 청소 효과를 달성하여 악취제거가 이루어 짐은 물론 소음을 극소화 하여 정숙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관의 측면관로를 직선관로에 물의 회전 내벽면 흐름합류가 가능하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로 형성하고, 직선관로 상측 인입구에는 물의 1차 내벽면 흐름 유도편을 구비하며, 나선형상의 관로 접속부에는 2차 내벽면 회전흐름 배수가 이루어지는 회전턱을 구비하여, 물의 원활한 내벽면 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시 물의 관체 내벽면 유도 흐름를 극대화 하므로서, 배수소음을 극소화 하여 정숙한 배수가 이루어 질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 원활을 도모하므로서 악취제거를 수행할수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구성요건을 구비하여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범위내에서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층부의 2방향과 하층부의 일방향 관을 접속하여 물을 배수하는 배수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제1상층부연결관(100)에는 물의 내벽면 회전흐름 합류가 이루어지도록 나선형상의 관로를 이루는 제2상층부연결관(200)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상층부연결관(100)의 인입구(110)에는 1차적으로 물의 직하내벽흐름을 유도하는 내벽유도편(400)이 내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1차 내벽 유도된 물을 2차적으로 회전흐름 내벽면 유도하게 되어지는 회전턱(500)이 나선형 접속부위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연결관.
KR2019990019784U 1999-09-15 1999-09-15 배수용 연결관 KR200172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784U KR200172803Y1 (ko) 1999-09-15 1999-09-15 배수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784U KR200172803Y1 (ko) 1999-09-15 1999-09-15 배수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803Y1 true KR200172803Y1 (ko) 2000-03-15

Family

ID=1958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784U KR200172803Y1 (ko) 1999-09-15 1999-09-15 배수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8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51B1 (ko) * 2020-11-13 2021-11-17 김종운 건축물 배관 설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51B1 (ko) * 2020-11-13 2021-11-17 김종운 건축물 배관 설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754A (en) Drainpipe joint
KR100701793B1 (ko) 건축구조물 바닥 배수구 방수막 이음판 드레인 제작설치구조
KR200172803Y1 (ko) 배수용 연결관
KR20070035953A (ko) 배수관 이음매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 구조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223279Y1 (ko) 배수관용 낙수소음 방지구조
KR200271176Y1 (ko)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플렌지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JPH0240148Y2 (ko)
KR200426580Y1 (ko) 배수용 장곡관
KR970075138A (ko) 고층건물의 베렌더 하수장치
KR200327206Y1 (ko) 좌변기 배수관 연결구
JPH11269951A (ja) 管継手
KR200305383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JP3394557B2 (ja) エアコン室内機の排水構造
JP4087980B2 (ja) 床化粧材の敷設構造
JPH0426549Y2 (ko)
JPH0721672Y2 (ja) 合成樹脂製u字溝
KR200376696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시스템
JP2002339423A (ja) 排水用集合管
FI85740B (fi) Kombinerat draenerings- och regnvattensroer.
JP4503763B2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KR940000287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관의 배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