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581Y1 - 콘크리트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581Y1
KR200172581Y1 KR2019990020508U KR19990020508U KR200172581Y1 KR 200172581 Y1 KR200172581 Y1 KR 200172581Y1 KR 2019990020508 U KR2019990020508 U KR 2019990020508U KR 19990020508 U KR19990020508 U KR 19990020508U KR 200172581 Y1 KR200172581 Y1 KR 200172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ate
main body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은경
Original Assignee
염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은경 filed Critical 염은경
Priority to KR2019990020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5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5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유동통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콘크리트 입,출구측에 구비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플랜지부와, 상기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게이트와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상기 본체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고층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작업이 종료된 후에 배관내의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작업을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므로 콘크리트의 잔류량에 관계없이 게이트의 구동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게이트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어 적은 작업 인원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차단장치{APPARATUS FOR INTERCEPTING CONCRETE}
본 고안은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타설작업후 배관내의 잔류하는 콘크리트의 회수작업시 게이트를 개폐하는 작업이 콘크리트 잔류량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빌딩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콘크리트 공급배관 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바, 본 출원인이 제안한 기술중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가 대한민국 특허 99년 24645호이다.
상기 특허의 내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갖는 본체(10a)의 입출구부에 배관이 연결되는 원형 단면의 배관플랜지(30a,30'a)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본체(10a)의 양측부에는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40,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게이트(40,40')를 구동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압 구동수단으로서, 좌,우측 펌핑수단(60,61)과, 좌,우측 릴리이프 밸브(70,71)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를 부연하면, 외통(90)의 내부에 기름통(91)이 구비되어 있고, 기름통(91)의 내부에 실린더(92)가 있으며, 실린더(92)의 내부에 게이트(40,40')와 결합되는 피스톤(93)이 설치되어 있고, 외통(90)의 상부에는 실린더 펌프(60,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통(90)의 측면 중앙에는 포핏 타입의 릴리이프 밸브(70,71)가 구비되어 있다.
펌핑수단(60,61)은 기름통(91)과 실린더(92) 사이에 형성된 유로(94)에 설치되어 있는 바, 첵크 볼(62)과 첵크 볼(62)을 탄지하는 스프링(63)을 구비하고, 릴리이프 밸브(70,71)는 첵크 볼(72)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압 펌핑 수단에 의하여 게이트가 구동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게이트가 콘크리트의 유동통로를 차단하는 동작은 도면에서 좌측밸브(70)를 잠금상태로 하고 우측 밸브(7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좌측 펌프수단(60)을 작동시켜주면, 펌핑수단(60)의 승강운동에 의해 기름통(91) 내부의 오일이 유로(94)를 따라 실린더(92)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피스톤(9 3)의 좌측부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게이트(40,40')는 콘크리트의 유동통로(11)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좌측 밸브(70)는 잠금상태이기 때문에 실린더(92)에서 피스톤(93)의 좌측부 오일이 기름통(91)으로 회수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게이트가 콘크리트의 유동통로를 개방하는 동작은 우측 밸브(71)를 잠금상태로 하고 좌측 밸브(7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우측 펌핑수단(61)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우측 펌핑수단(61)의 승강운동에 의해 오일이 실린더(92)의 우측으로 유입되어 피스톤(93)의 우측부를 밀어주게 되어 게이트(40,40')는 좌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유동통로(11)가 개방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측 밸브(71)는 잠금상태이기 때문에 실린더(92) 내에서 피스톤(93)의 우측부 오일이 기름통(91)으로 회수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반대측 펌핑수단과 릴리이프 밸브도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의해여 잔류 콘크리트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게이트를 최대한 후퇴시킨 후에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로 이송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높이까지 압송시킨 후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하고,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게이트를 최대한 전진시켜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차단시켜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가 역류되지 않도록 한 다음, 배관의 잔류 콘크리트 배출용 배관(31)에 배관(200)을 연결하여 다른 레미콘 차량의 드럼(3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유압 펌핑수단에 의한 게이트(40,40')의 구동동작은 일일이 사람이 수작업으로 펌핑수단(60,61)을 작동시켜야 하므로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의 양이 많은 경우에 펌핑수단의 작동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층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실시되는 경우에 지상에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작업자 이외에 건물 측에서 별도의 작업자가 콘크리트의 차단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바, 작업 위치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호 또는 별도의 통신수단을 이용해서 작업여부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실시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게이트의 개폐구동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작업위치인 지상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콘크리트 유동통로의 차단 작업도 동시에 실시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A 및 9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게이트
2' ; 게이트 통과공 3 ; 실린더
4 ; 피스톤 5 ; 피스톤 구동밸브
6,7 ; 유압라인 8 ; 유압펌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차단장치는 콘크리트의 유동통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콘크리트 입,출구측에 구비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플랜지부와, 상기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게이트와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상기 본체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는 콘크리트 유동통로와 연통되는 게이트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유동통로가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콘크리트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본체(1)의 입출구부에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플랜지(1a,1'a)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본체(1)의 일측부에는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2)가 구비되는 게이트 수납부(2a)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 배관플랜지에는 배출용 배관(1c)이 연결되고, 배출용 배관(1c)의 출구는 캡(1d)으로 밀봉되어 있다.
게이트(2)를 구동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측에는 실린더(3)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3)의 내부에는 일측에 게이트(2)가 결합된 피스톤(4)이 연결설치되어 있고, 피스톤(4)에는 실린더(3)로 공급되는 기름량에 따라 피스톤(4)을 구동시키기 위한 피스톤 구동밸브(5)가 구비되어 있다.
실린더(3)에는 피스톤 구동밸브(5)의 좌우측에 각각 유압라인(6)(7)이 연결되어 있고, 유압라인(6)(7)은 유압펌프(8)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펌프(8)는 작업자가 조정하기에 편리에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콘크리트 펌프카(100)에 구비된 유압펌프(8)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의해 게이트가 차단 및 개방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완료되어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게이트를 닫아주려면 유압 펌프를 작동시켜 유압실린더의 후방측에 유압을 펌핑하게 되고, 따라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구동밸브는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게이트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피스톤도 이동되면서 게이트는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닫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내이 콘크리트가 역류되지 않도록 한 후에 배관의 잔류 콘크리트 배출용 배관(31)에 배관(200)을 연결하고, 유압펌프에서 유압실린더의 전방측에 유압을 펌핑하게 되면 피스톤이 게이트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게이트가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배출용 배관을 통해 다른 레미콘 차량의 드럼(300)으로 배관내의 잔류 콘크리트가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적용되는 게이트의 구조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선된 내용이 제시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게이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는 바, 게이트(2)의 일측에 콘크리트 유동통로와 동일한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의 통과공(2')을 형성하고, 게이트의 길이를 통상의 콘크리트 유동통로의 지름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한다.
또한, 본체의 일측에 게이트 수납부(2a)와 연통되는 게이트 수납부(2b)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2)가 이동되는 경로에는 구리스 박스(9)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의해 게이트가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동작을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밸브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유동통로(11)와 게이트 통과공(2')이 일치된 상태이므로 콘크리트 유동통로(11)가 개방된 상태이고, 유압펌프(8)가 작동되어 피스톤 밸브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게이트(2)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도 9B에서와 같이, 게이트 통과공(2')이 게이트 수납부(2b)측으로 이동됨으로써 게이트(2)가 콘크리트 유동통로(11)가 닫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게이트 수납부(2a,2b)에는 게이트(2)의 이동경로에 구리스 박스(9)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게이트(2)의 표면에 남아있는 콘크리트 가루가 굳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유동통로(11)를 갖는 본체(1)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본체의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게이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토록 하고 있으나, 2개 이상의 게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게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피스톤 및 실린더의 수를 복수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차단장치는 고층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작업이 종료된 후에 배관내의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작업을 유압펌프를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므로 콘크리트의 잔류량에 관계없이 게이트의 구동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게이트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어 적은 작업 인원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작업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의 유동통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콘크리트 입,출구측에 구비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플랜지부와, 상기 콘크리트 유동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게이트와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상기 본체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와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콘크리트 유동통로와 연통되는 게이트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유동통로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KR2019990020508U 1999-09-22 1999-09-22 콘크리트 차단장치 KR200172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508U KR200172581Y1 (ko) 1999-09-22 1999-09-22 콘크리트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508U KR200172581Y1 (ko) 1999-09-22 1999-09-22 콘크리트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581Y1 true KR200172581Y1 (ko) 2000-03-15

Family

ID=1958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508U KR200172581Y1 (ko) 1999-09-22 1999-09-22 콘크리트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5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914A (ko) * 2001-12-13 2003-06-25 고세현 콘크리트펌프카의 잔류 콘크리트 회수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914A (ko) * 2001-12-13 2003-06-25 고세현 콘크리트펌프카의 잔류 콘크리트 회수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6111B (zh) 具有同轴蓄能器和活塞的液压锤
US9701003B2 (en) Hydraulic hammer having delayed automatic shutoff
KR102216007B1 (ko) 물-연삭 현탁물 절단 설비
DE2516810A1 (de) Ein von einer druckfluessigkeit getriebener schlagapparat
AU747264B2 (en) Hammer device
DE2643483A1 (de) Ein von einer druckfluessigkeit getriebener schlagapparat
DE2102591A1 (de) Hydraulik Pumpe
KR200172581Y1 (ko) 콘크리트 차단장치
US4745981A (en) Hydraulic impact tool
EP044620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zweizylinder-dickstoffpumpe.
US10704706B2 (en) Reflexive valve preservation and actuation system and method
DE4114965A1 (de) Von einer treibpumpe betaetigte hydraulikzylinder-vorrichtung
EP0315750B1 (de) Dickstoff-Pumpe
DE2456090A1 (de) Hydraulisch betaetigtes schlaggeraet
EP0227576A2 (en) Hydraulic impact tool
KR100343016B1 (ko) 콘크리트 차단장치
DE4202792A1 (de) Steuerung fuer einen beidseitig beaufschlagbaren in eine endlage verriegelbaren arbeitszylinder
JP4165295B2 (ja) 開閉弁及び開閉弁を有する打込機
DD271063A5 (de) Druckluftpatrone
EP0770185A4 (en) UNIVERSAL HYDRAULIC VALVE
CN216768497U (zh) 一种防止泥沙灌入的阀门
EP3702627A1 (en) Control device
RU26413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утраченных форм кузова полувагона
KR200369298Y1 (ko) 차량 도주 방지장치
KR20230147827A (ko) 공작기계의 절삭유 및 압축공기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