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141Y1 -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 Google Patents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141Y1
KR200172141Y1 KR2019990020402U KR19990020402U KR200172141Y1 KR 200172141 Y1 KR200172141 Y1 KR 200172141Y1 KR 2019990020402 U KR2019990020402 U KR 2019990020402U KR 19990020402 U KR19990020402 U KR 19990020402U KR 200172141 Y1 KR200172141 Y1 KR 200172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alarm
detection line
bar
alarm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187U (ko
Inventor
한기업
Original Assignee
한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업 filed Critical 한기업
Publication of KR20000002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일반주택, 아파트 등의 창문이나 외부계단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집안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퇴치하여 도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상,하막이대(10)(20)들과,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사이의 중간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중간막이대(30)들과,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며 그 각각의 내부가 비어있는 단면형상으로서 상하가 트여진 수개의 간살(4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착설된 일측의 간살(40)로부터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면서 타측의 간살(40)에 이르기까지 그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연이어지게 경보감지선(50)을 배선하고, 상기 상,하막이대(10)(20) 상에 노출되는 경보감지선(50)이 그 상,하막이대(10)(20) 외측에 각기 덮여지는 보호덮개판(60)들을 통하여 별도의 경보기(70)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A Window Against Burglary Having the Sensing Cable}
본고안은 일반주택, 아파트 등의 창문이나 외부계단에 설치되는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집안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퇴치하여 도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일반주택, 아파트 등의 창문이나 외부계단에는 각종 방범설비를 시설하여서 집안에 무단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방범설비로는 방범창 또는 무선경보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방범창은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상,하막이대들과, 상기 상,하막이대들 사이의 중간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중간막이대들과, 상기 상,하막이대들 및 중간막이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서 등간격으로 배설되며 그 각각이 내부가 비어있는 단면형상으로서 상하가 트여진 수개의 간살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방범창은 일반주택, 아파트 등의 창문이나 외부계단에 설치하여서 외부로부터 무단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도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집안에 침입하려는 수법이 대담해지면서 도둑이 아에 방범창의 간살들을 절단기로서 절단하여서 제거한 후에, 창문을 통하여 집안으로 침입하여서 물적피해는 물론이고 심한 경우에 인적피해를 당하게 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 상기한 무선경보장치의 경우에는 동작되는 감지센서와 연결된 경보기로서 구성되어서, 집안에 침입하려는 도둑을 감지센서로서 식별하면 경보기가 곧바로 경보음을 발생하여서 도둑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경보장치는 전자감응식 감지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쉽게 파손될 염려가 있어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요구되는 동시에, 감지센서가 빈번하게 오작동되어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고안은 방범창을 이루는 간살 내부에 경보기와 연결되는 경보감지선이 배선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통상적인 방범창에 감지기능을 부여하여서 보다 완벽한 방범설비를 이루도록 개선시켜주며, 둘째, 집안내에 침입하려는 도둑을 사전에 퇴치하여서 방범설비로서의 신뢰성을 제고하여주는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고안 방범창의 사시도
도2는 본고안 방범창의 배면도
도3는 본고안 방범창이 적용 설치된 상태의 예시 단면도
도4는 본고안 다른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을 나타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상,하막이대 11,21: 끼움공
30: 중간막이대 31: 끼움공
40: 간살 50: 경보감지선
50a: 제1 경보감지선 50b: 제2 경보감지선
60: 보호덮개판 61: 배선안내관
70: 경보기 70a: 제1 경보기
70b: 제2 경보기
본고안도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상,하막이대(10)(20)들과,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사이의 중간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중간막이대(30)들과,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며 그 각각의 내부가 비어있는 단면형상으로서 상하가 트여진 수개의 간살(40)들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고안의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1)은 도1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착설된 일측의 간살(40)로부터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면서 타측의 간살(40)에 이르기까지 그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연이어지게 경보감지선(50)을 배선하고, 상기 상,하막이대(10)(20) 상에 노출되는 경보감지선(50)이 그 상,하막이대(10)(20) 외측에 각기 덮여지는 보호덮개판(60)들을 통하여 별도의 경보기(70)와 연결되도록 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서 설치되어지는 개개의 간살(40) 내부에 별도의 경보기(70)와 연결되도록 배선된 경보감지선(50)으로 감지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집안에 무단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퇴치하여서 귀중한 재산과 인명 피해를 사전에 완벽하게 방지하여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둑이 간살(40)을 절단하여서 창문을 통하여 집안으로 침입하고자 할때에, 간살(40)이 절단됨과 동시에 내부에 배선된 경보감지선(50)이 절단되면서 경보기(70)가 곧바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 혹시 간살(40) 절단시에 경보감지선(50)이 절단되지 않더라도 절단된 간살(40) 내부에 배선되어 있는 경보감지선(50)을 확인한 도둑이 집안 침입을 포기할 수 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집안에 무단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퇴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은 각기 사각형의 금속파이프로서 길게성형하여서 되며, 그 길이방향 일정간격마다 상하로 트여지게 형성되는 끼움공(11)(21)들을 통하여 간살(40)들이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간막이대(30)는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과 상응하는 형상과 길이를 가지는 금속파이프로서 성형되며, 그 길이방향 일정간격마다 상하로 트여지게 형성되는 끼움공(31)들을 형성하여서,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여 관통되게 끼워지는 간살(40)들의 중간부를 지지하여주도록 한다.
상기 간살(40)들은 각기 그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상하가 트여지는 금속파이프로서 성형하여서 되며,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의 끼움공(11)(21)(31)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끼워져서 외부로부터 집안에 침입하려는 도둑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주면서도, 그 간살(40)들의 내부에 경보감지선(50)이 배선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경보감지선(50)은 일측의 간살(40)로부터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면서 타측의 간살(40)에 이르기까지 그 간살(40)들의 내부에 끼워져서 연이어지도록 배선하여서 되며, 배선된 경보감지선(50) 양측의 말단부는 상기 상,하막이대(10)(20) 외측에 덮여지는 보호덮개판(60)들 중의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서 집안에 설치되어지는 경보기(70)에 접속되도록 하여, 그 경보감지선(50)이 단락됨과 동시에 경보기(70)에 의하여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경보감지선(50)은 도전성이 양호한 비닐코오드선을 소재로 만들어서, 금속재질의 상,하막이대(10)(20)들과, 간살(40)들과 접촉되더라도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덮개판(60)들은 각각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의 외측에 끼워져서 덮여질 수 있도록 일측면이 길게 트여지게 형성하여서 되며,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고정나사로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덮개판(60)들은 내측면 양측의 일정위치에 각기 배선안내관(61)들을 형성하여서, 그 배선안내관(61)들을 통하여 경보감지선(50)이 인출, 인입되어 상기 간살(40)들 내부에 배선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도4는 본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간살(40)들 중 일측의 간살(40)로부터 2배수마다 위치된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여 배선된 제1 경보감지선(50a)이 상측에 위치한 보호덮개판(60)의 배선안내관(61)들을 통하여 제1 경보기(70a)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간살(40)들 중 타측의 간살(40)로부터 2배수마다 위치된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여 배선된 제2 경보감지선(50b)이 하측에 위치한 보호덮개판(60)의 배선안내관(61)들을 통하여 제2 경보기(70b)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창문(2)에 적용 설치된 방범창(1)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계단이나 기타 방범설비를 필요로하는 곳에 적용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방범창을 이루는 간살 내부에 경보기와 연결되는 경보감지선을 배선하여서, 외부로부터 집안으로 침입하려는 도둑을 퇴치하여 도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상,하막이대(10)(20)들과,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사이의 중간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지는 중간막이대(30)들과,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지며 그 각각의 내부가 비어있는 단면형상으로서 상하가 트여진 수개의 간살(4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막이대(10)(20)들 및 중간막이대(30)에 착설된 일측의 간살(40)로부터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면서 타측의 간살(40)에 이르기까지 그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연이어지게 경보감지선(50)을 배선하고, 상기 상,하막이대(10)(20) 상에 노출되는 경보감지선(50)이 그 상,하막이대(10)(20) 외측에 각기 덮여지는 보호덮개판(60)들을 통하여 별도의 경보기(70)와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판(60)들은 내측면 양측의 일정위치에 각기 배선안내관(61)들을 형성하여서, 그 배선안내관(61)들을 통하여 경보감지선(50)이 인출, 인입되어 상기 간살(40)들 내부에 배선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살(40)들 중 일측의 간살(40)로부터 2배수마다 위치된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여 배선된 제1 경보감지선(50a)이 상측에 위치한 보호덮개판(60)의 배선안내관(61)들을 통하여 제1 경보기(70a)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간살(40)들 중 타측의 간살(40)로부터 2배수마다 위치된 간살(40)들의 내부를 따라 상,하막이대(10)(20)들을 교대로 경유하여 배선된 제2 경보감지선(50b)이 하측에 위치한 보호덮개판(60)의 배선안내관(61)들을 통하여 제2 경보기(70b)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KR2019990020402U 1997-12-23 1999-09-21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KR20017214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060U KR980003398U (ko) 1997-12-23 1997-12-23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060U Division KR980003398U (ko) 1997-12-23 1997-12-23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87U KR20000002187U (ko) 2000-01-25
KR200172141Y1 true KR200172141Y1 (ko) 2000-03-15

Family

ID=195181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060U KR980003398U (ko) 1997-12-23 1997-12-23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KR2019990020402U KR200172141Y1 (ko) 1997-12-23 1999-09-21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060U KR980003398U (ko) 1997-12-23 1997-12-23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8000339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10A (ko) * 2001-03-06 2001-07-25 조민제 도난방지용 방범 창과 문
KR101495718B1 (ko) * 2012-09-10 2015-02-25 안기풍 수지재 창살이 결합된 방범창
KR101574120B1 (ko) 2015-08-18 2015-12-03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범기능을 갖춘 창 구조물
KR20160002496U (ko) 2015-01-07 2016-07-15 김융 경보 장치를 구비한 디자인 방범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10A (ko) * 2001-03-06 2001-07-25 조민제 도난방지용 방범 창과 문
KR101495718B1 (ko) * 2012-09-10 2015-02-25 안기풍 수지재 창살이 결합된 방범창
KR20160002496U (ko) 2015-01-07 2016-07-15 김융 경보 장치를 구비한 디자인 방범창
KR101574120B1 (ko) 2015-08-18 2015-12-03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방범기능을 갖춘 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87U (ko) 2000-01-25
KR980003398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508A (en) Safety barrier
EP0196510A1 (en) Intrusion warning wire fence
US20150284975A1 (en) Alarm incorporated cylinder lock
KR200172141Y1 (ko) 경보감지선이 내설된 방범창
US9035770B2 (en) Alarmed intruder barrier
CN104832072B (zh) 一种无线防盗护栏连接件
US3725891A (en) Protective building structure
JP4766670B2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US10535238B2 (en) Barbed tape and security sensor assembly
KR101574120B1 (ko) 건축물의 방범기능을 갖춘 창 구조물
US3863242A (en) Electric screen protection
KR100770218B1 (ko)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보음발생 방범커버
GB2128649A (en) Barriers with alarm device
KR200358397Y1 (ko) 방범기능이 구비된 방범틀 구조
KR200361526Y1 (ko) 경보 구조를 갖는 방범창
KR20050093621A (ko) 루버를 이용한 방범창
WO2009093090A1 (en) Signaling device for burglary prevention system
KR100644199B1 (ko) 건축단지용 방범 울타리구조
KR100674591B1 (ko) 야외시설물 도난 방지 장치
JP3104469U (ja) 防犯面格子
JP2006048416A (ja) 監視装置
JP2006048416A5 (ko)
KR200208373Y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JP2007255051A (ja) 防犯機能付きブラインド
KR200362420Y1 (ko) 방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