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894Y1 -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894Y1
KR200171894Y1 KR2019970004649U KR19970004649U KR200171894Y1 KR 200171894 Y1 KR200171894 Y1 KR 200171894Y1 KR 2019970004649 U KR2019970004649 U KR 2019970004649U KR 19970004649 U KR19970004649 U KR 19970004649U KR 200171894 Y1 KR200171894 Y1 KR 200171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rier
carrier package
base film
leads
gat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564U (ko
Inventor
김희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4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8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894Y1/ko

Links

Abstract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개시된다. LCD 패널과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도전로를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실장한 절연성 베이스필름과, 베이스필름의 일측면에 형성된 금속패턴의 리드들 및 리드들이 노출되는 양측 단부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사이에 열이나 운동에 의한 베이스필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스 흡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레스 흡수부가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된 리드들이나 LCD 패널과 접속된 리드들의 변형에 의한 스트레스를 흡수함으로서 각각 대향하는 리드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of liquid crystal display}
본 고안은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에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과 LCD 패널 사이에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한 족 단부에서 다른 쪽 단부로 전달되는 스트레스를 베이스필름이 흡수하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 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나, CRT 자체의 큰 무게나 크기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없다.
이러한 CRT를 대체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갖고 있는 LCD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고, 최근에는 평판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발되어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LCD용 패널의 평면적인 유효 표시면적을 가능한 한 확대하거나 박형의 모듈(module)을 형성시키기 위해 LCD 패널의 구동용 반도체 칩의 실장에 새로운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왔다.
TFT-LCD 모듈실장방식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실장과 COG(Chip On Glass) 실장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식들은 LCD 패널의 용도 확대에 따라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기존의 9할 이상을 차지하는 TAB방식에서 실장 면적의 축소와 저 비용화의 추세에 따라 COG방식이 활성화되고 있는 중이다.
TAB실장은 LCD 패널에 구동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접속시키는 공정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자의 공정은 글래스와 금속재질의 접합이라는 특수성과 약 0.2mm 이하 피치의 고정세에따라 납 대신에 이방성 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며, 후자는 납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 대해서도 향후 미세 피치의 추세에 따라 이방성 도전필름의 사용이 예상되고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각각의 용도와 기호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실장되는데, 평면(flat)으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실장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실장이 용이하나 실장면적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사이즈에 비례함에 따라 면적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90도 굴곡시켜 형성시킨 방식은 네비게이터(navigator)에 채용중이며 180도 굴곡시켜 형성시킨 방식과, Z자와 같이 굴곡시켜 형성시킨 방식은 효율적인 면적 활용이 가능한 반면에 공정의 생산성의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에 따르면, 절연성 베이스필름(11)의 이면에 금속패턴 리드들(13)이 형성되는데, 베이스필름(11)의 양단으로 연장되되 중앙슬롯(14)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부분에서 리드들(13)의 단부는 중앙슬롯(14) 내부로 돌출되어 리드들(13)의 단부에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IC(15)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필름(11)의 일측단부 근처에 외측슬롯(16)이 형성되어 리드들(13)이 표면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도 2를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과 LCD 패널에 실장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의 베이스필름(1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외측슬롯(16) 내부에서 표면에 노출된 리드들(13)을 납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20)의 도전패턴들(도시안됨)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의 타측단부의 리드들(13)을 LCD 패널(30)의 하부기판(31)의 도전패턴들(도시안됨)에 이방성 도전필름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로써 입력신호가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인쇄회로기판(20)으로부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의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IC(15)로 입력되면, 입력신호는 LCD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변환되어 LCD 패널(30)로 전달된다.
이후,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된 LCD 패널(30)을 탑샤시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의 기구물에 고정하여 LCD 모듈을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LCD 모듈을 장착한 컴퓨터가 실제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의 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높은 열로 인해 LCD 모듈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컴퓨터가 이동될 때 LCD 모듈이 흔들리거나 인위적인 힘에 의해 LCD 모듈이 휘게 됨으로서 LCD 모듈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때,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과 LCD 패널(30)의 사이에서 S1 방향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인쇄회로기판(20)에서 S2 방향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0)과 접속된 리드들이나 LCD 패널(30)과 접속된 리드들 중 어느 한 쪽이 변형되며, 이에 영향을 받아 다른 쪽 리드들이 변형된다.
특히, 외측슬롯(16)에 노출된 리드들의 강도가 가장 취약하여 스트레스값이 한계치 이상으로 되는 경우, 리드들이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한 접속불량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LCD 모듈의 신뢰성을 저하시켜 왔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LCD 모듈의 설계하여야 하므로 구조적 제약을 많이 받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열이나 운동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LCD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캐리어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실장에 따른 문제점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1: 베이스필름
13: 리드 14: 중앙슬롯
15: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IC 16: 외측슬롯
20: 인쇄회로기판 30: LCD 패널
31: 하부기판 41: 스트레스 흡수부
본 고안에 따르면, LCD 패널과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도전로를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실장한 절연성 베이스필름과, 베이스필름의 일측면에 형성된 금속패턴의 리드들 및 리드들이 노출되는 양측 단부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사이에 형성된 스트레스 흡수부를 포함하며, 스트레스 흡수부는 베이스필름의 폭 전체에 걸쳐 리드들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필름이 굴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필름은 베이스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굴곡된다.
스트레스 흡수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되거나 각형상으로 굴곡되며, 굴곡되는 각형상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트레스 흡수부가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된 리드들이나 LCD 패널과 접속된 리드들의 변형에 의한 스트레스를 흡수함으로서 각각 대향하는 리드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첨부된 도면을 잠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0)를 살펴보면,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IC(15)가 실장된 중앙슬롯(14)과 베이스필름(11)의 일측당부에 형성된 외측슬롯(16) 사이에 스트레스 흡수부(41)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레스 흡수부(41)는 베이스필름(11)의 폭 전체에 걸쳐 리드들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필름(11)이 굴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필름(11)은 베이스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표면쪽 방향으로 굴곡된다.
또한, 스트레스 흡수부(41)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되거나 각형상으로 굴곡되며, 굴곡되는 각형상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스 흡수부(41)가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IC(15)가 실장된 중앙슬롯(14)과 일측단부에 형성된 외측슬롯(16) 사이에 형성되지만, 중앙슬롯(14)과 타측단부 사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구성들은 도 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작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0)가 상기한 방법으로 도 2의 인쇄회로기판(20)과 LCD 패널(30)에 각각 접속된 LCD 모듈을 장착한 컴퓨터에서 사용환경에 의해 높은 열이 발생하거나 흔들림 또는 휨이 발생하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20)과 접속된 리드들(13)이 스트레스를 받아 변형되더라도 스트레스 흡수부(41)가 이 스트레스를 흡수하므로 LCD 패널과 접속된 리드들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다. 또한, LCD 패널(30)과 접속된 리드들(13)이 스트레스를 받아 변형되더라도 스트레스 흡수부(41)가 이 스트레스를 흡수하므로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된 리드들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서는 베이스필름에 스트레스 흡수부를 형성함으로서 인쇄회로기판(또는 LCD 패널)에 접속한 리드들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LCD 패널(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한 리드들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취약부인 인쇄회로기판 또는 LCD 패널과 접속하는 영역에서의 파손을 방지하여 LCD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고안은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특정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의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은 본 고안의 사상과 관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이해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LCD 패널과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용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도전로를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있어서,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실장한 절연성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이면에 형성된 금속패턴의 리드들 및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 단부중 어느 하나의 단부와 상기 소오스/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사이에 형성된 스트레스 흡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스 흡수부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폭 전체에 걸쳐 상기 리드들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필름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흡수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흡수부는 각형상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흡수부의 굴곡되는 각형상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KR2019970004649U 1997-03-13 1997-03-13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KR200171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649U KR200171894Y1 (ko) 1997-03-13 1997-03-13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649U KR200171894Y1 (ko) 1997-03-13 1997-03-13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564U KR19980060564U (ko) 1998-11-05
KR200171894Y1 true KR200171894Y1 (ko) 2000-03-02

Family

ID=1949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649U KR200171894Y1 (ko) 1997-03-13 1997-03-13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8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24B1 (ko) * 1997-12-31 2005-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모듈용테이프캐리어패키지
KR100615214B1 (ko) * 2004-03-29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1043B1 (ko) * 2006-09-22 2008-04-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564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250B2 (en) Pressure-welded structure of flexible circuit boards
US20060268213A1 (en) Low-cost flexible film packag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949512A (en) Mounted substrate
KR200171894Y1 (ko)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KR19980067764A (ko) 액정표시장치용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구조
KR101313649B1 (ko) 액정표시소자
KR19980058484A (ko) 액정표시모듈
KR100194690B1 (ko) 액정 표시 모듈
KR200171895Y1 (ko) 탭(tab) ic의 충격방지를 위한 lcd모듈의 조립구조
KR100500637B1 (ko) 인쇄회로기판
KR100825311B1 (ko) 액정 표시 소자 모듈 구조
US20040174488A1 (en) Symmetric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524484B1 (ko) 엘시디 모듈
KR100539974B1 (ko) 엘씨디모듈
KR100493776B1 (ko) 엘씨디 모듈의 연결구조
KR100628435B1 (ko)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및 타일드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방법
KR19980060566U (ko) 액정표시장치용 tab 패키지의 구조
JP3253488B2 (ja) 表示モジュール
KR20040062197A (ko) 테이프캐리어패키지 커버구조
KR19990012579A (ko) 탭 실장 방식의 인쇄회로기판 구조
KR100529490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247998B1 (ko) 가요성 인쇄회로를 구비한 표시장치
KR0157541B1 (ko) 절곡용 탭 테이프
KR101311595B1 (ko) 플랙서블 프린티드 서킷
KR19990069806A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