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241Y1 -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 Google Patents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241Y1
KR200171241Y1 KR2019990015948U KR19990015948U KR200171241Y1 KR 200171241 Y1 KR200171241 Y1 KR 200171241Y1 KR 2019990015948 U KR2019990015948 U KR 2019990015948U KR 19990015948 U KR19990015948 U KR 19990015948U KR 200171241 Y1 KR200171241 Y1 KR 200171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orceps
elastic
ben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웅
Original Assignee
윤종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웅 filed Critical 윤종웅
Priority to KR2019990015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241Y1/ko
Priority to KR2019990024874U priority patent/KR200179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6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82Emblems, e.g. fixed by pins or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에 허가가 필요한 장소에서 출입자의 신분확인을 위한 표찰을 휴대 혹은 겉옷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신분증을 몸에 휴대하기 위한 표찰걸이수단과 이를 몸에 부착하기 위한 집게수단이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패용상태가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고정집게편의 양측에 선회홈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고정집게편의 후단 절곡편의 홈에 탄성편의 후단 돌기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고정집게편의 선회홈편에 형성된 선회홈에는 절곡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이 선회결합되며, 고정집게편과 탄성집게편 사이에는 줄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중 후단 돌기의 반대측 선단 즉 집게부측 선단이 'U'형으로 내향절곡되어 걸이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피복고정수단과 표찰케이스고정수단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양호한 상태로 표찰을 패용할 수 있도록 된 고안임.

Description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Device for clipping a identification card}
본 고안은 출입에 허가가 필요한 기업이나 어떤 행사장 등에서 출입자의 신분확인을 위해 출입자의 사진이나 성명 그리고 사번과 같은 등록번호가 기입된 표찰을 휴대 혹은 겉옷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저가로 제조할 수 있고 양호한 상태로 표찰을 패용할 수 있도록 된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로 발달하고 기업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기업들은 자사의 기업비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서 출입자 개인별로 신분증을 발급하고 또한 방문자에게도 별도 허가증을 발급하여 출입구에서 신분증의 확인을 통해 허가자 이외의 사람이 임의로 허가된 곳 이외의 장소를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분증은 각종 연구소, 세미나장 올림픽경기장과 같은 행사장에서도 출입자마다 패용케 하여 허가자 이외의 무단 출입을 방지하는 등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분증 또는 표찰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견고하게 제작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또한 외부충격이나 마찰등에 의해 신분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투명케이스에 넣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표찰 또는 표찰이 넣어진 표찰케이스(이하 표찰케이스라 함)를 휴대할 때에는 몸에서 타인이 잘 보이는 곳에 패용토록 하고 있는데, 통상 줄에 끼워 목에 걸거나 집게를 통해 겉옷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으며, 패용자의 근무환경이 목에 건 줄로 인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패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패용형태를 달리하게 하기 위하여 목에 건 것을 빼내 집게를 통해 겉옷의 옷깃이나 호주머니에 찝어 사용하는 것을 병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도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표찰고정용 클립의 일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목걸이용 줄(10)에는 표찰케이스(12)를 걸기 위한 집게(20)와 상기 집게(20)에 걸려 있는 표찰케이스(12)를 옷에 부착하기 위한 집게(30)가 걸려 있다. 집게(20)는 고정집게편(21)의 양측에 선회홈편(24)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고정집게편(21)의 후단 절곡편의 홈(27)에 탄성집게편(22)의 후단 돌기(28)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고정집게편(21)의 선회홈편(24)에 형성된 선회홈에는 절곡편(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23)이 선회결합되며, 고정집게편(21)과 탄성집게편(22) 사이에는 줄(10)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26)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고정집게편(21)과 탄성집게편(22)의 선단은 서로를 향하여 대략 90˚절곡되어 그 절곡부에 표찰케이스(12)의 걸이홈(14)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집게(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어서 손잡이부를 가압함에 따라 집게부가 벌어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치합되어 찝을 수 있는 구조의 것이다. 이러한 집게(30)는 통상 수지재로 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절곡된후 대향되는 양단에 단추(32)가 설치되어 그 단추(32)의 분리결합에 의해 줄(10)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찰케이스 걸이구는 2개로 이루어진 별개의 집게(20)(30)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이를 통한 표찰케이스의 패용시 집게(30)는 옷에 고정되어 있으나 집게(20)는 줄(10)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므로 표찰케이스(12)가 뒤집힌다거나 흔들거려 패용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였으며 2개의 집게(20)(30)를 사용함에 따라 패용상태가 깔끔하지 못하고 어수선한 느낌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 표찰케이스의 일체형 걸이구를 도시한 예이다.
이는 집게(40)와 표찰케이스 걸이구(50)를 2단으로 일체화 시켜 형성한 것으로, 집게(40)는 철편을 'U'형으로 절곡형성시켜 서로 대향되는 탄성편(41)(42)을 형성하고, 탄성편(41)의 일측을 연장절곡시켜 선회홈편(43)을 형성하며, 상기 선회홈편(43)에 절곡편(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45)을 선회결합하는 한편, 탄성편(41)과 탄성편(42)의 양단부에는 상호 치합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치합구(46)(47)를 고정시키고, 탄성편(42)의 끝단에 고정된 치합구(47)에는 끼움구(51)에 의해 홈(52)과 홈(53)간을 분리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걸이구(50)를 그와 일체로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탄성편(41)(42)간의 절곡부는 원형으로 절곡시켜 줄(10) 걸이홈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표찰케이스 걸이구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집게(40)와 걸이구(50)가 2단으로 일체화 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공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복잡하여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끼움구(51)에 의한 결합력이 미약하여 표찰케이스가 빠져 나간다거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걸이구(50)자체의 내구성이 취약하여 반복사용에 따라 수명이 길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표찰케이스 걸이구와 집게를 간단한 구조로 일체화 시켜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패용상태도 양호하여 간결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된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표찰케이스 걸이구의 일예시도,
도 2는 종래 일체형 표찰케이스 걸이구의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풀림상태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잠금상태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풀림상태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의 일실시예는 고정집게편의 양측에 선회홈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고정집게편의 후단 절곡편의 홈에 탄성집게편의 후단 돌기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고정집게편의 선회홈편에 형성된 선회홈에는 절곡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이 선회결합되며, 고정집게편과 탄성집게편 사이에는 줄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탄성집게편중 후단 돌기의 반대측 선단 즉 집게부측 선단이 'U'형으로 내향절곡되어 걸이구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풀림상태사시도, 도 5는 집게의 잠금상태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는 크게 고정집게편(21)과 탄성집게편(22) 및 조작편(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집게편(21)의 후단 절곡편의 홈(27)에는 탄성집게편(22)의 후단 돌기(28)가 끼움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홈(27)은 탄성집게편(22)의 두께에 비해 다소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집게편(22)이 돌기(28)를 축으로 선회될 때 홈(27)내에서 다소 유동되면서 선회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탄성집게편(22)에서 후단 돌기(28)반대측의 선단부는 고정집게편(21)방향으로 내향 절곡되어 'U'형의 걸이구(6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표찰케이스를 걸기 위한 것이며, 또한 고정집게편(21)을 압압하여 그 사이에 옷깃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집게편(21)의 선회홈편(24)에 형성된 선회홈에는 절곡편(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23)이 선회결합된다. 절곡편(25)은 선회홈에 끼워진 돌기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조작편(23)을 도 5와 같이 잠금상태로 조작하였을 때 탄성집게편(28)을 고정집게편(21)방향으로 눌러 밀착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집게편(21)과 탄성집게편(22)의 후단 사이에는 줄(10)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26)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집게편(22)은 고리(26)의 선단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조작편(23)의 작동에 따라 고정집게편(22)에 밀착 혹은 느슨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풀림상태사시도로서, 조작편(23)을 화살표방향으로 열어젖히면 조작편(23)의 절곡편(25)에 의해 탄성집게편(22)이 압압되지 않고 고정집게편(21)과 조작편(23)의 절곡편(25) 사이에서 탄성집게편(25)이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집게편(21)과 걸이구(60) 사이로 표찰케이스(12)의 걸이홈(14)을 끼워넣어 'U'형의 걸이구(60)안쪽에 안착시키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편(23)을 탄성집게편(22)에 닿을 때까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작편(23)의 회전시 절곡편(25)이 회전되면서 절곡편(25)의 선단이 탄성집게편(22)의 윗면을 점차 누르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편(23)이 완전히 회전되었을 때 최저점을 누르면서 고정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걸이구(60)에 표찰케이스(12)를 건 상태에서 고정집게편(21)과 탄성집게편(22)사이에 옷깃을 끼운상태에서 조작편(23)을 도 5와 같이 회전시키면 표찰케이스(12)가 걸려 있는 상태로 옷에 패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집게편(91)을 'U'형으로 절곡시켜 탄성집게편(92)을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고정집게편(91)의 중앙부 좌우양측에 선회홈편(94)을 형성하고 고정집게편(91)과 탄성집게편(92)간의 절곡부에 줄(10)을 끼웠을 때 잘 이탈되지 않도록 아크형의 걸이홈(96)을 형성하며, 탄성집게편(92)의 선단을 'U'형으로 내향절곡시켜 표찰케이스 걸이구(97)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선회홈편(94)의 선회홈에는 절곡편(9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93)을 결합한 것이다.
그리하여 조작편(93)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되어 있을 때에는 고정집게편(91)과 탄성집게편(92)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서 그 사이로 표찰케이스(12)의 걸이홈(14)을 삽입시켜 끼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나서, 조작편(93)을 걸이구(97)를 향하는 화살표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절곡편(95)의 선단이 탄성집게편(92)을 고정집게편(91)측으로 누르게 되어 걸이구(97)가 고정집게편(91)에 밀착접촉되므로써 걸이구(97)와 고정집게편(91) 사이에 옷깃을 끼우게 되면 표찰케이스(12)를 옷에 패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목에 걸어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줄(10)을 목에 걸어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집게를 사용하여 표찰케이스를 옷깃에 부착하거나 줄을 이용하여 목에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찰케이스를 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또는 걸이수단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고 패용상태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표찰케이스의 걸이홈과 목걸이용 줄을 연결함과 아울러 옷깃에 부착할 수 있는 수단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집게수단으로 이루어진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집게수단은 고정집게편(21)의 양측에 선회홈편(24)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고정집게편(21)의 후단 절곡편의 홈(27)에 탄성집게편(22)의 후단 돌기(28)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고정집게편(21)의 선회홈편(24)에 형성된 선회홈에는 절곡편(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편(23)이 선회결합되며, 고정집게편(21)과 탄성집게편(22) 사이에는 고리(26)가 결합되어 상기 고리(26)에 목걸이용 줄(10)이 연결되어 있는 집게(20)의 탄성집게편(22)중 후단 돌기(28)의 반대측 선단 즉 집게부측 선단이 'U'형으로 내향절곡되어 걸이구(6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수단은 고정집게편(91)을 'U'형으로 절곡시켜 탄성집게편(92)과 일체로 형성하고 고정집게편(91)과 탄성집게편(92)간의 절곡부에 줄(10)을 끼웠을 때 잘 이탈되지 않도록 아크형의 걸이홈(9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KR2019990015948U 1999-08-05 1999-08-05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KR200171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948U KR200171241Y1 (ko) 1999-08-05 1999-08-05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KR2019990024874U KR200179196Y1 (ko) 1999-08-05 1999-11-13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948U KR200171241Y1 (ko) 1999-08-05 1999-08-05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874U Division KR200179196Y1 (ko) 1999-08-05 1999-11-13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241Y1 true KR200171241Y1 (ko) 2000-03-15

Family

ID=195836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948U KR200171241Y1 (ko) 1999-08-05 1999-08-05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KR2019990024874U KR200179196Y1 (ko) 1999-08-05 1999-11-13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874U KR200179196Y1 (ko) 1999-08-05 1999-11-13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1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33A (ko) * 2014-09-04 2016-03-14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33A (ko) * 2014-09-04 2016-03-14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홀더
KR102097544B1 (ko) 2014-09-04 2020-04-06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196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5270A (en) Flexible, double ended clip used for attaching identification to clothing
US7228651B1 (en) Holder for an identification card
CA2542561C (en) Clip
KR100506302B1 (ko) 모자,배지등을위한모듈식부착시스템
WO2004021825A1 (en) Double clamp card attachment
US5199560A (en) Key case with retractable keys
US6279362B1 (en) Belt clip assembly
ITTO20010459A1 (it) Dispositivo di trattenimento standardizzato per cartellini, cappellini e oggetti simili.
JP2690581B2 (ja) キーリング
KR200171241Y1 (ko) 표찰케이스 부착용 집게
TWI461159B (zh) 卡扣具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JP3436754B2 (ja) 名札類保持用ダブルクリップ
WO2009069102A1 (en) A magnetic spectacles holder device
US6223399B1 (en) Adornment clamping device
US9433251B2 (en) Sleeve and glove keeper watch bracket
KR200240089Y1 (ko) 자석 부착식 장신구
US20170095024A1 (en) 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ing the Closure Point or Fastening Point on the Front-Facing Placket of a Button-Down Shirt
KR200294302Y1 (ko) 부가기능을 갖는 펜던트를 구비한 넥타이
KR200141584Y1 (ko) 표찰 고정용 클립
JPS61500156A (ja) 挾み装置、特に洗濯挾み
KR200204785Y1 (ko) 신분증 패용구
JP3029495U (ja) シャツのカラー保持具
JP2960907B2 (ja) 小型バッグ類のカバー飾り
KR200315028Y1 (ko) 표찰케이스용 목걸이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